$\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 간의 상관
Correlation between Manual Ability Oassification System and Functional Evalua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7, 2009년, pp.248 - 256  

박은영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재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기능적 수행도 평가인 일상생활활동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Children: WeeFIM), 대운동 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손 기능과 대동작 기능,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자료를 바탕으로, MACS와 WeeFIM 및 GMFCS와의 관계와 손 기능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MACS와 GMFCS의 상관은 유의수준.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659이었다. WeeFIM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에서도 총점과의 상관은 유의수준.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 -.576이었다. 손 기능 분류 체계로 평가한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활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도구로써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evaluation systems,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and the functional status (WeeFIM)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o provide th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 체계인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GMFCS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손 기능을 MACS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MACS와 일상생활활동 및 GMFCS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손 기능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을 알아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 체계인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GMFCS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뇌성마비아 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손 기능을 MACS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MACS와 일상생활 활동 및 GMFCS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손 기능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활동을 알아보았다.
  •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결과를 위해서는 평가 및 분류 체계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다른 평가 도구들과의 상관을 알아보는 것은 기초 자료의 제공 측면에서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 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체계인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대 동작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 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체계인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대 동작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MACS의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Bax,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6, pp.295-297, 1964. 

  2. L. Mutch, E. Alberman, B. Hagberg, B, K.Kodama, and M. Velicovic Perat, "Cerebral Palsy Epidemiology: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34, No.6,pp.547-551, 1992. 

  3. K. D. Carnahan, M. Arner, and G. Hagglund," Association between Gross Motor Function (GMFCS) and Manual Ability (MAC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opulation-based Study of 359 Children,"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50, No.8, pp.1-7, 2007. 

  4. A. C. Eliasson, L. Krumlinde-Sundholm, and B. Rosblad,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cale Development and Evidenc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8, No.7, pp.549-554, 2006. 

  5. R. Palisano, P. Rosenbaum, S. Walter, D. Russell, E. Wood, and B. Galuppi,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39, No.4, pp.214-223, 1997. 

  6. P. Rosenbaum, S. D. Walter, S. E. Hanna, R. J. Palisano, and D. J. Russell, "Prognosis for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reation of Motor Development Curves," The J.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8, No.11, pp.1357-1363, 2002. 

  7. C. Morris and D. Bartlett,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mpact and Utilit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6, No.1, pp.60-65, 2004. 

  8. E. Beckung and G. Hagberg, "Neuroimpairments, Activity Limitations,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4, No.5, pp.309-316, 2002. 

  9. A. C. Eliasson, L, Krumlinde-Sundholm, and B. Rosblad, "Using the MACS to Facilitate Comunication about Manual Abilities of Cb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9, No.2, pp.156-157, 2007. 

  10. S. Aneja, "Evaluation of a Child with Cerebral Palsy,"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Vol.71, No.7, pp.627-634, 2004. 

  11. A. Kwolek, M. Majka, and M. Pabis,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roblems and Current Trends," Ortopeidia, Traumatologia, Rehabilitacja, Vol.3, No.4, pp.499-507, 2001. 

  12. M. E. Msall, B. T. Rogers, H. Ripstein, N. Lyon, and F. Wllczenski, "Measurements of Functional Outcom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Vol.8, pp.194-203, 1997. 

  13. D. J. Oeffinger, C. M. Tylkowski, and M. K. Rayens,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Outcome Tools for Assessing Ambulatory Cerebral Palsy: A Multicenter Stud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6, No.5, 2004.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Pub, 2001. 

  15. S. Ostensjo, E. B. Carlberg, and N. K. Vollestad, "Everyday Functioning in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unctional Skills, Caregiver Assistance, and Modifications of the Environment,"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5, No.9, pp.603-612, 2004. 

  16. C. Morris, J. Kurinczuk, R. Fitzpatrick, and P. Rosenbaum,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8, No.12, pp.950-953, 2006. 

  17. P. A. Sperle, K. J. Ottenbacher, S. L. Braun, S. J. Lane, and S. Nochajski, "Equivalence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Administration Methods,"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1, No.1, pp.35-41, 1997. 

  18. C. Morris, B. E. Galuppi, and P. L. Rosenbaum, "Reliability of Family Report for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6, No.7, pp.455-460, 2004. 

  19. A. Colver, SPARCLE Group, "Study Protocol: SPARCLE - A Multi-centre European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 to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MC Public Health, Vol.6, p.105, 2006. 

  20. L. G. Portney and M. P. Watkins,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Appleton & Lange, 1993. 

  21. MACS group, "Using the MAC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bout Manual Abili쇼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Lett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9, No.2, pp.156-157, 2007. 

  22. B. Tieman, R. J. Ralisano, E. J. Gracely, and P. L. Rosenbaum, "Gross Motor Capability and Performance of Mo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Comparison Across Home, School, and Outdoors/Community Settings," Physical Therapy, Vol.84, No.5, pp.419-429, 2004. 

  23. V. F. Plasschaert, M. Ketelaar, M. G. Nijnuis, L. Enkelaar, and J. W. Gorter, "Classification of Manu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der 5 Years of Age: How Reliable is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Clinical Rehabilitation, No.23, Vol.2, pp.164-170, 2009. 

  24. 성태제, 시기자,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