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성 세균의 환경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주화성 분자 기구
The molecular mechanism of bacterial chemotaxis to environmental pollutant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4 no.1, 2009년, pp.9 - 16  

김혜은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카토준이치 (히로시마대학 선단물질연구과) ,  이상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심현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창수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운동성세균은 영양분에 대하여 유인반응(정주화성)을 보인다는 것은 100여년의 주화성 연구 역사를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 일부 환경오염물질을 분해 가능한 운동성 세균은 환경오염물질에 까지 유인반응을 보인다. 이 환경오염물질 감지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환경오염원까지 자발적으로 이동하여 그 화학물질을 분해하는 레이더 탑재형 환경정화세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환경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주화성 분자기구를 정리하고 향후 전망을 논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otaxis is the movement of an organism toward chemical attractant and away from chemical repellents. Several bacteria are known to cometabolically degrade some pollutants and attracted to the pollutants. The chemotactic responses to these compounds influence the efficiency of bioremediation bec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naphthalene의 정주 화성이 정상인 야생주에 의한 naphthalene 분해속도가 주화성 혹은 운동성을 잃어버린 균주보다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사실은 오염물질의 정화를 위하여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주화성이 강화되도록 세균을 육종시킬 가치가 있음을 증명했다고 하겠다. 본문에서는 운동성 세균의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주화성의 연구가 분자적 수준에서는 어디까지 해명되었는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 讷osa의 주화성 연구를 1990년대 초부터 개시하여 단순히 분자생물학적 주화성 분자기구의 기능해명뿐만 아니라 인류의 삶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학적인 응용을 목적으로 하여 이들 운동성 세균의 환경오염물질 감지기능을 강화한 레이더탑재형 슈퍼 환경정화 미생물의 창제를 표방하였고 다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주화성 응답의 분자기구를 해명하여 이 목표를 실험적으로 검증해 가고 있다 우리는 또한 매 실험마다 동일하고 정밀한 화학물질 농도구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Microfluidic device의 도입으로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주화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이다. 우리는 P. aeruginosa PAO1 의 환경오염물질 인식기구의 해명을 시작으로 하여 다양한 환경오염 정화세균이 환경오염물질 인식기구를 가지도록 육종하여 레이더 탑재형 슈퍼 환경정화 미생물의 창제가 가능하도록 실험적인 검증을 하여 나가고자 한다.
  • 해명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는 P. 讷osa의 주화성 연구를 1990년대 초부터 개시하여 단순히 분자생물학적 주화성 분자기구의 기능해명뿐만 아니라 인류의 삶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학적인 응용을 목적으로 하여 이들 운동성 세균의 환경오염물질 감지기능을 강화한 레이더탑재형 슈퍼 환경정화 미생물의 창제를 표방하였고 다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주화성 응답의 분자기구를 해명하여 이 목표를 실험적으로 검증해 가고 있다 우리는 또한 매 실험마다 동일하고 정밀한 화학물질 농도구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Microfluidic device의 도입으로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주화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이다. 우리는 P.
  • 이는 次沪가 직접적으로 TCE와 결합하여 Che system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세포 외부의 TCE를 감지하는 단백질이 따로 존재하며 하여 이 단백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처리하고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우리는 이 파트너 단백질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중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Fig.

가설 설정

  • a: The chemicals with underline are repellents. 2, 4-D : 2, 4-Dichlorophenoxyacetic acid, 2, 4, 5-T : 2, 4, 5-Trichlorophenoxyacetic acid, 1, 1-DCE : 1, 1-Dichloroethylene, c/s-DCE : c/s-Dichloroethylene, PCE : tetrachloroethylene, TCA : Trichloroethane, TCE : Trichloroethylene, VC : vinyl chloride.
  • 그러나 만약 이런 상황에 부딪혔을 때 세균이 그 물질에 대하여 정주화성을 가지고 있다면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영역까지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분해를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역으로 세균이 오염물질을 기피물질로 인식하고 만다면 설사 분해세균이 강력한 오염물질 분해활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지라도 오염물질의 고동도 영역에서 멀리 도망쳐 버려 결국 미분해 영역이 그대로 남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주화성은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분해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현장적 검토사례는 아직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dler, J. (1966), Chemotaxis in bacteria, Science, 153, 708-716 

  2. Aguilar, J. M. M., A. M. Ashby, A. J. M. Richards, G. J. Loake, M. D. Watson, and C. H. Shaw (1988), Chemotaxis of Rhizobium leguminosarum biovar phaseoli towards flavonoid inducers of symbiotic nodulation genes, J. Gen. Microbiol. 134, 2741-2746 

  3. Ashby, A. M., M. D. Watson, G. J. Loake, and C. H. Shaw (1988), Ti plasmid-specified chemotaxi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C58C1 toward vir-inducing phenolic compounds and soluble factors from monocotyledonous and dicotyledonous plants, J. Bacteriol. 170, 4181-4187 

  4. Parke, D., M. Rivelli, and L. N. Omston (1985), Chemotaxis to aromatic and hydroaromatic acids: comparison of Bradyrhizobium japoniam and Rhizobium trifolii, J. Bacteriol. 163, 417-422 

  5. Parke, D., L. N. Omston, and E. W. Nester (1987), Chemotaxis to plant phenolic inducers of virulence genes i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the absence of the Ti plasmid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J. Bacteriol. 169, 5336-5338 

  6. Vardar, G., P. Barbieri, and K. T. Wood (2005), Chemotaxis of Pseudomonas stutzeri OX1 and Burkholderia cepacia G4 toward ch10rinated ethen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6, 696-701 

  7. Shitashiro, M., J. Kato, T. Fukumura, A. Kuroda, T. Ikeda, N. Takiguchi, and H. Ohtake (2003), Evaluation of bacterial aerotaxis for its potential use in detecting the toxicity of chemicals to microorganisms, J. Biotechnol. 101, 11-18 

  8. Shitashiro, M., H. Tanaka, C. S. Hong, A. Kuroda, N. Takiguchi, H. Ohtake, and J. Kato (2005), Identification of chemosensory proteins for trichloroethylene in Pseudomonas aeruginosa, J. Biosci. Bioeng. 99, 396-402 

  9. Ohga, T., A. Masduki, J. Kato, and H. Ohtake (1993), Chemotaxis away from thiocyanic and isothiocyanic esters in Pseudomonas aeruginosa, FEMS Microbiol Lett. 113, 63-66 

  10. Parales, R. E., J. L. Ditty, and C. S. Harwood (2000), Toluene-degrading Bacteria are chemotactic towards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Benzene, Toluene, and Trichloroethylene, Appl. Environ. Microbiol. 66, 4098-4104 

  11. Grimm, A. C. and C. S. Harwood (1997), alemotaxis of Pseudomonas spp. to the polyaromatic hydrocarbon naphthalene, Appl. Environ. Microbiol. 63, 4111-4115 

  12. Grimm, A. C. and C. S. Harwood (1999), NahY, a Catabolic Plasmid-Encoded Receptor Required for Chemotaxis of Pseudomonas putida to the Aromatic Hydrocarbon Naphthalene, J. Bacteriol. 181, 3310-3316 

  13. Harwood, C. S., M. Rivelli, and L. N. Omston (1984), Aromatic acids are chemoattractants for Pseudomonas putida, J. Bacteriol. 160, 622-628 

  14. Harwood, C. S., N. N. Nichols, M. K. Kim, J. L. Ditty, and R. E. Parales (1994), Identification of the pcaRKF gene cluster from Pseudomonas putida: involvement in chernotaxis, biodegradation, and transport of 4-hydroxybenzoate, J. Bacteriol. 176, 6479-6488 

  15. Samanta, S. K. and R. K. Jain (2000), Evidence for plasmid-mediated chemotaxis of Pseudomonas putida towards naphtha1ene and salicylate, Can. J. Microbiol. 46, 1-6 

  16. Hawkins, A. C. and C. S. Harwood (2002), Chemotaxis of Ralstonia eutropha JMPl34 (pJP4) to the Herbicide 2,4-Dichlorophenoxyacetate, Appl. Environ. Microbiol 68, 968-972 

  17. Bhushan, B., S. K. Samanta, A. Chauhan, A. K. Chakraborti, and R. K. Jain (2000), Chemotaxis and Biodegradation of 3-Methyl-4-Nitrophelnol by Ralstonlaso. SJ98,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5, 129-133 

  18. Samanta, S. K., B. Bhushan, A. Chauhan, and R. K. Jain (2000), Chemotaxis of a Ralstonia sp. SJ98 toward Different Nitroaromatic Compounds and Their Degrad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9, 117-123 

  19. Samanta, S. K., O. V. Singh, and R. K. Jain (2002),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bioremediation, Trends Biotechnol. 20, 243-248 

  20. Marx, R. B. and M. D. Aitken (2000), Bacterial Chemotaxis Enhances Naphthalene Degradation in a HeterogeneollS AqueollS System, Environ. Sci. Technol. 34, 3379-3383 

  21. Stock, J. B. and M. G. Surette (1996),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R. Curtiss III, J. L. Ingraham, E. C. C. Lin, K. B. Low, B. Magasanik, W. S. Reznikoff, M. Riley, M. Schaechter and H. E. Umbarger, 2nd ed. p1103,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22. Stanier, R Y., N. J. Palleroni and M. Doudoroff (1966), The aerobic pseudomonads: a. taxonomic study, J. Gen. Microbiol. 43, 159-271 

  23. Dunn, N. W. and I. C. Gunsalus (1973), Transmissible plasmid coding early enzymes of naphthalene oxidation in Pseudomonas putida, J. Bacteriol. 114, 974-979 

  24. Yen, K. M. and I. C. Gunsalus (1982), Iasmid gene organization: Naphthalene/salicylate oxidation, Proc. Natl. Acad .Sci. USA. 79, 874-878 

  25. Omston, L. N. and D. Parke (1976), Properties of an inducible uptake system for beta-keto adipate in Pseudomonas putida, J. Bacteriol. 125, 475-488 

  26. Ditty, J. L. and C. S. Harwood (2002), Charged Amino Acids Conserved in the Aromatic Acid/H+ Symporter Family of Permeases Are Required for 4-Hydroxybenzoate Transport by Pcak from Pseudomonas putida, J. Bacteriol. 184, 1444-1448 

  27. Wu, H., J. Kato, A. Kuroda, T. Ikeda, N. Takiguchi, and H. Ohtake (2000),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Chemotactic Transducers for Inorganic 

  28. Armitage, J. P. (1993) Signal transduction, J. Kurjan & B. L. Taylor, p43, Academic Press, San Diego 

  29. Kuroda, A., T. Kumano, K. Taguchi, T. Nikata, J. Kato, and H. Ohtake (1995),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hemotactic transducer gene in Pseudomonas aeruginosa, J. Bacteriol. 177, 7019-7025 

  30. Taguchi, K., H. Fukutomi, A. Kuroda, J. Kato, and H. Ohtake (1997), Genetic identification of chemotactic transducers for amino acids in Pseudomonas aeruginosa, Microbiology, 143, 3223-3229 

  31. Moulton, R. C. and T. C. Montie (1979), Chemotaxis by Pseudomonas aeruginosa, J. Bacteriol. 137, 274-280 

  32. Moench, T. T. and W. A Konetzka (1978), Clemotaxis in Pseudomonas aeruginosa, J. Bacteriol. 133, 427-429 

  33. Kato, J., A. Ito, T. Nikata, and H. Ohtake (1992), Phosphate taxis in Pseudomonas aeruginosa, J. Bacteriol. 174, 5149-5151 

  34. Stove, C. K , X. O. Pham, A L. Erwin, S. D. Mizoguchi, P. Warrener, M. J. Hickey, F. S. L. Brinkman, W. O. Hufnagle, D. J. Kowalik, M. Lagrou, R. L. Garber, L. Goltry, E. Tolentino, S. Westbrock-Wadman, Y. Yuan, L. L. Brody, S. N. Coulter, K. R. Folger, A. Kas, K. Larbig, R. Lim, K. Smith, D. Spencer, G. K.-S. Wong, Z. Wu, I. T. Paulsen, J. Reizer, M. H. Saier, R. E. W. Hancock, S. Lory, and M. V. Olson (2000),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PA01, an opportunistic pathogen, Nature, 406, 959-964 

  35. Hong, C. S., M. Shitashiro, A. Kuroda, T. Ikeda, N. Takiguchi, H. Ohtake, and J. Kato (2004), Chemotaxis proteins and transducers for aerotaxis in Pseudomonas aeruginosa, FEMS Microbiol. Lett 231, 247-252 

  36. Kato, J., T. Nakamura, A. Kuroda, and H. Ohtake (1999)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hemotaxis Genes in Pseudomonas aeruginosa,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155-161 

  37. Masduki, A., J. Nakamura, T. Ohga, R. Umezaki, J. Kato, and H. Ohtake (1995), 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emotaxis mutants and genes of Pseudomonas aeruginosa, J. Bacteriol. 177, 948-952 

  38. Darzins, A (1994), Characterization of a Pseudomonas aeruginosa gene cluster involved in pilus biogenesis and twitching motility: sequence similarity to the chemotaxis genes of the gli이ng bacterium Alyxococcus xanthus, Mol. Microbiol. 11, 137-153 

  39. Mao, H., P. S. Cremer, and M. D. Manson (2003), A sensitive, versatile microfluidic assay for bacterial chemotaxis, Proc. Natl. Acad .Sci. USA. 100, 5449-5454 

  40. Nikata, T., K. Sumida, J. Kato, and H. Ohtake (1992), Rapid Method for Analyzing Bacterial Behavioral Responses to Chemical Stimuli, Appl Environ. Microbiol. 58, 2250-2254 

  41. Kim, H. E., M. Shitashiro, A. Kuroda, N. Takiguchi, H. Ohtake, and J. Kato (2006),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hemotactic Transducer in Pseudomonas aeruginosa PAOl for Positive αlemotaxis to Trichloroethylene, J. Bacteriol. 188, 6700-67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