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가발전 손전등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n independent electric power generating portable flashlight by using solar batte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8, 2009년, pp.1795 - 1801  

김홍일 (대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태양광과 자가발전을 이용한 휴대가능한 손전등 기술로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수동으로 자가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주간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태양광을 이용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회전하여 전기를 발전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하였다. 빛의 밝기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 렌즈를 이용하여 빛을 집광시켜 빛의 밝기를 개선하며, 저소비전력 회로를 구성하여 램프 방전 시, 소비전력을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배터리 충전 및 외부 휴대용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안정적인 정전압/정전류 회로를 구성하여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배터리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과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과방전 회로를 구성하고,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보호회로를 장착하였다. 또한 가정용 아답터를 이용하여 상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자가발전 손전등을 구현하였으며, 평상 시 주간에는 태양광으로 충전이 가능하며, 또한 가정용 사용전원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광학 렌즈기술을 적용하여 빛의 밝기가 극대화되어 원거리 조사기능이 가능하며, 야간에도 독서가 가능한 백색 자연광을 발산하도록 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portable flashlight which can manually generate the electricity by using sunlight was develope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no-electricity condition. Battery is charged by using solar battery during the day, but when sunlight is not avali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과 자가발전을 이용한 휴대가능한 손전등 기술로서, 친환경적이며 기존 손전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클립톤 전구를 대신하여 고휘도 LED를 사용하고 이를 구동하는 저소비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현함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광학 렌즈 기술을 이용하여 빛의 발산 효율을 극대화 한자가발전 손전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수동으로 자가발전을 한다든가, 주간에 태양열을 이용하여 충전하므로 인해 배터리의 교환이 불필요한 자가발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과 자가발전을 이용한 휴대가능한 손전등 기술로서, 친환경적이며 기존 손전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클립톤 전구를 대신하여 고휘도 LED를 사용하고 이를 구동하는 저소비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현함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광학 렌즈 기술을 이용하여 빛의 발산 효율을 극대화 한자가발전 손전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수동으로 자가발전을 한다든가, 주간에 태양열을 이용하여 충전하므로 인해 배터리의 교환이 불필요한 자가발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에너지 자원량은 전 세계 에너지 소요량 대비 몇 배에 이르는가? 그 중요성으로 보면 계속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는 무한정의 영구적인 에너지이다. 독일 기후변화 협의회에서 나온 조사치에 의하면 태양에너지 자원량은 현재 전 세계 에너지 소요량 대비 2,850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풍력, 바이오매스 등은 각 200배, 20배 정도의 규모이다[5].
유럽 신재생에너지협회의 전망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어떻게 전망되는가? 전체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004년 13% 수준에 불과하지만 환경위기에 대한 세계적인 공감대 형성과 교토의정서 등 국가 간 협약,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 등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2]. 유럽 신재생에너지협회의 전망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전체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001년 19% 수준에서 2020년 35% 수준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전망에 따르면 전체 재생에너지량은 2020년에는 2001년의 3배 수준에 이르러 같은 기간 약 1.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 해수력 발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규모나 지역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고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태양열 발전의 경우 소규모 시스템에서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풍력, 해수력 발전은 발전 단위는 크지만 지형환경에 따른 제약이 크다. 수소력은 폭발 위험 등이 존재해 확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유호천, 장문식, "태양에너지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2000년-2002년 학회지 논문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2권 4호, 12월, 2002. 

  2. 김영환, 조일식, 이의준, 현명택, 강은철,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열-전기 동시생산을 위한 PV-Solarwall 단위모듈 성능평가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5권 3호, 12월, 2005. 

  3. Duffie John A. and Beckman William A.,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 John Wiley & Sons, Inc., 1991. 

  4. 조덕기, 강용혁, "국내 태양에너지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및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5권 3호, 9월, 2005. 

  5. 이관호, "환경비용을 고려한 재생에너지의 경제성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4권 4호, 12월, 2004. 

  6.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3, KS air-conditioner: KS C 9306. 

  7. 조덕기, 강용혁, 이의준, 오정무, "국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최적 설치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4권 3호, 9월, 2004. 

  8. 조덕기, 강용혁, 이의준, 오정무, "태양광발전단지 건설을 위한 태양광자원 정밀조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4권 3호, 9월, 2004. 

  9. D. L. King, J. M. Gee et al, Measurement Precautions for High-Resistivity Silicon Solar Cells, IEEE, pp. 555-559, 1987. 

  10. 조덕기, 강용혁, 오정무, "고지대 일사량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3권 3호, 9월,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