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퍼지제어기를 이용한 반사경의 초점 위치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cus Position Control of Reflector Using Fuzzy Controller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1 no.5, 2011년, pp.645 - 652  

정회성 (부경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  김준수 (부경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  김혜란 (부경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  김관형 (동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형기 (부경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태양과 반사경의 법선 벡터와 태양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태양 궤적 추적 장치와 반사경의 오차 보정 장치를 설계하여 반사경의 법선 벡터와 태양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시스템은 태양의 빛을 한 점으로 모을 수 있으며, 모여진 태양광을 광섬유를 통하여 원격지로 자연광을 보내어 유용한 광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중화된 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태양 궤적 추적 장치의 2축과 반사경 오차 보정 장치의 2축으로 구성되어 반사경의 법선 벡터에 대한 복잡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방정식이 존재하므로 제어기 설계가 매우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수학적 해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인간의 제어 해석 능력을 언어적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퍼지제어 기법을 활용하여 태양광을 하나의 정점으로 집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racking system of a reflector to trace the movement of sun. The system was designed to minimize the error between the vertical vector of reflector and the position of sun. The proposed system was able to collect the sun lights at a point as a useful source of l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태양의 자연광을 실내 및 기타 장소에 조명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태양광을 한곳으로 집광할 수 있도록 오목거울형 반사경(reflector)을 부착하여 태양광을 한곳으로 집광하도록 하였다. 집광된 태양광을 다시 광섬유(optical fiber) 다발을 통하여 원거리로 자연광을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본 논문은 태양광 추적 시스템과 태양광 집광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조명장치 구현에 대한 논문으로 2축 제어가 가능한 오목거울형 반사광과 집광된 태양광의 초점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통하여 원거리에서 태양광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실험은 태양광 집광장치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비주기적이고 비선형적인 외란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다.
  • 집광된 태양광을 다시 광섬유(optical fiber) 다발을 통하여 원거리로 자연광을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태양광을 조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태양광 조명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제어는 반사경의 정밀한 위치 제어 기술과 시간에 대한 태양의 고도각(elevation) 및 방위각(azimuth)을 계산하여 태양의 궤도를 추적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이 필수적이다.
  •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은 태양광을 한 점으로 집광하는 오목거울형 반사경을 포함하는 상부의 모듈은 정밀한 위치 제어를 위하여 기어를 포함한 2축 DC 모터를 이용하여 집광되는 초점을 정밀하게 제어 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태양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나가는 하부의 트래커 모듈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천문학적 알고리즘 방식을 활용하여 현재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본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지능형 퍼지제어기(intelligent fuzzy controller)는 태양광 집광 시스템과 같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시스템과 다양한 외란이 존재하는 비선형적인 환경에서의 외란 제거에 대한 퍼지제어기의 장점을 실험 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설계된 태양 추적 시스템 및 반사경에 의한 태양광 초점 위치 제어에 대한 시스템에 제시하였다. 제시된 시스템의 초점 위치 제어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 2분(오후1:51:13초∼오후1:53:13초) 동안 외부에 비주기적인 외란을 가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주어진 외란에 대하여 퍼지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제어에 필수적인 기술은 무엇인가? 이러한 시스템은 태양광을 조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태양광 조명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제어는 반사경의 정밀한 위치 제어 기술과 시간에 대한 태양의 고도각(elevation) 및 방위각(azimuth)을 계산하여 태양의 궤도를 추적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이 필수적이다.
태양광 추적시스템에 사용되는 구현 방식에는 무엇이 있는가?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구현 방식은 광량센서를 이용하는 센서 방식과 천문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센서 방식은 광량센서를 이용하여 태양광의 오차를 측정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며, 천문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식은 연재의 시간 정보와 율리우스 일(JD:Julian Day Number)을 사용하여 태양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태양광을 한 점으로 집광하기 위한 태양 집광시스템은 어떻게 설계되었는가? 한 점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태양 집광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태양의 빛을 오목거울형 반사경을 이용하여 한 지점으로 빛을 모았으며, 모아진 빛을 다시 광섬유를 통하여 광원을 외부로 유도하여 광원이 필요한 곳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한 지점으로 모아진 광원의 초점 주위에 4개의 센서를 배치하여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광원의 초점이 시간에 따라 변화는 현상을 보정하도록 설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관형, 전재환, 강성인, 오암석, 조현철, "Fuzzy 기반의 태양광 추적기 설계", 해양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춘계 15권 1호, pp.577-578, 2011.5. 

  2. 김하나, "PSoC를 이용한 태양 추적 시스템의 집광 편차 보정 장치에 관항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 이도현, "LabView를 이용한 고정도 태양 추적 장치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 Paul Schlyter, Stockholm, Sweden, 정확성 1-2분내의 행성 위치 계산법, http://www.astronote.org 

  5. 정병진, 고재섭, 최정식, 김도연, 정동화, "퍼지제어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고효율 제어", 대한전기학회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2009. 10., pp.243-244 

  6. 박영칠, 김기용, "태양 추적 시스템을 위한 태양위치 계산", 서울産業大學校論文集, 第47輯, 1998, pp 265-273 

  7. Z.G.Piao, J.M.Park, J. H. Kim, G. B. Cho, H. L. Baek, "A Study on the Tracking Photovoltaic System by Program Type", IEEE ICS,(2009), pp 971-973 

  8. 위관복, "Portable Sun Tracking System",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桑野雅彦, "はじめてのPSoCマイコン", 2004, pp 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