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SIM을 이용한 농업용 수리시설의 용수공급율 평가 - 금강권역을 중심으로 -
Assessment of the Potential Water Supply Rate of Agricultural Irrigation Facilities Using MODSIM - For Geum River Basin -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10, 2009년, pp.825 - 843  

안소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박근애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신영호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단) ,  김성준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업가뭄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가뭄기간 동안의 농업용 수리시설에 의한 용수공급 가능량의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한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36개년(1967-2002)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농업용수 공급측면의 가뭄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 가뭄발생 기간에 농업용수 부족량이 다른 기간에 비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표적인 가뭄 년인 1994, 1995, 2001년의 부족량은 745.8백만 m$^3$, 661.1백만 m$^3$, 696.8백만 m$^3$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유역 평균 용수공급 가능량은 생 공용수의 경우 99.1 %, 농업용수의 경우 84.4 %로 비교적 낮은 공급 가능율을 보였으며, 1994, 1995, 2001년의 농업용수공급 가능량은 74.8 %, 79.2 %, 77.9 %로 소유역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기여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양수장과 보의 기여율은 32.5 %, 집수암거와 관정의 기여율은 4.0 %로 분석되었으며, 집수암거와 관정은 양수장과 보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기여율을 갖지만 농업가뭄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pare for agricultural droughts, the potential discharge to the water supply of irrigation facilities during drought periods is important. Using the MODSIM (Modified SIMYLD) model, water balance networks that consider irrigation facilities were designed for the Geum River Basin, and the pot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소유역별로 하나의 큰 저수지로 가정했기 때문에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방식을 고려하여 값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표적인 저수지를 선정하여 선정된 대표저수지의 운영방식을 입력하였다. 금강유역 총 2,611개 저수지의 유효저수량과 관개면적, 수혜면적을 모두 조사하여 유효저수량과 관개면적, 수혜면적이 큰 순으로 나열한 뒤 저수지 저수량의 시계열 자료의 확보가 용이하며, 금강권역 내에 골고루 분포되는 7개의 저수지 즉, 대아, 예당, 탑정, 경천, 백곡, 미호, 구이저수지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MODSIM 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수 공급 가능량을 평가하고자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하여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고려 유·무에 따른 농업용수공급 가능량과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 시 권역별 용수공급 가능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MODSIM 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농업용수 공급측면에서의 물수지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수공급 가능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수리시설의 용수공급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소유역별로 자체 물 공급원인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하였다. 금강유역 농업용 저수지는 약 2,611개로 이를 모두 고려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소유역에 속해있는 모든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합산하여 이를 하나의 큰 저수지로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또한 하천유지유량, 회귀율, 광역 물 이동량, 공급 우선순위, 댐 운영자료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용수의 공급 가능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다목적 댐 운영자료 외에 농업용 수리시설(저수지, 양수장, 보, 집수암거, 관정 등)을 추가로 고려하여 이들 공급량 및 운영자료 등을 입력 자료로 추가하였다.

가설 설정

  • 2)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한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성은 지류와 본류를 구분하고, 금강권역 내 농업용수리시설 각각에 대해서 소유역별 하나의 큰 시설물로 가정하여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수리시설의 용수공급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소유역별로 자체 물 공급원인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하였다. 금강유역 농업용 저수지는 약 2,611개로 이를 모두 고려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소유역에 속해있는 모든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합산하여 이를 하나의 큰 저수지로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유출량 자료도 전체 소유역 유출량에서 농업용 저수지유역의 유출량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금강유역 내 농업용 저수지는 2,611개소, 양수장은 1,337개소, 보는 2,883개소, 집수암거는 593개소, 관정은 3,120개소로 이들 농업용 수리시설물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해당 소유역 별로 속해있는 모든 수리시설물의 각각의 저수용량, 양수량, 취수량, 채수량 등을 합산하여 소유역 하나당 하나의 수리시설물로 가정하기로 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양수장, 보는 주로 수리답에 용수를 공급하며, 양수장, 집수암거, 관정은 관개전에 용수를 공급한다.
  • 양수장, 보의 공급량 자료는 하루 10시간, 1년에 120일(5월∼8월) 동안 가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집수암거, 관정은 자료는 1년에 270일(2월∼10월) 동안 가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들 년 자료를 월 자료로 변환하였다(Tables 3 and 4).
  • 왼쪽의 기여율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월별 기여율 패턴을 보면 양수장과 보(PD)는 5월∼8월에 가장 높은 기여율을 보이고, 집수암거와 관정(CW)은 2월∼10월 동안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농업용 수리시설의 공급량자료 구축 시양수장과 보의 공급량은 1년에 120일(5월∼8월) 동안 가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집수암거와 관정의 공급량은 1년에 270일(2월∼10월) 동안 가동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DSIM란 무엇입니까? MODSIM은 미국 텍사스의 수자원 개발부(1972)가개발했던 네트워크 모형인 SIMYLD를 미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Labadie 교수가 수정하여 개발한 모형이다. 이모형은 일반화된 하천유역 네트워크 모형(river basin network model)으로 네트워크 최적화기법인 Lagrangian relax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수계산 보다는 효율이 매우 좋은 정수계산 방식을 선형네트워크의 해법으로 적용하였으며, 매트릭스 계산은 개량된 simplex method를 확장한 표준선형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수계산방식이 필요한 정도의 정확도를 갖는 해를 계산할 수있도록 하였다.
농업용수 공급은 무엇을 기준으로 합니까? 우리나라와 같이 물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벼농사 위주의 농업에서 가뭄으로 인한 농업용수의 부족은 심각한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농업용수 공급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그 전체 용량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단위면적 대비 관개량을 기준으로 한다. 즉 전체적으로 물이 풍부하다 하더라도 관개시기인 봄과 여름에 가뭄으로 인해 물을 제대로 공급해주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댐 운영에 필요한 자료중에서 최대 저수용량 및 최소 저수용량이란 무엇입니까? 댐의 최대 저수용량은 댐의 이수측면의 최대용량으로서 상시만수위 때 저수용량이 된다. 최소 저수용량은 댐의 이수측면의 최저수위인 저수위 때 저수용량을 나타낸다. 저수지 운영 초기수위의 저수용량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만수위 때 저수용량을 적용하였는데 이 가 정치는 운영기간이 짧을 경우 조작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본 연구에서처럼 30년간의 장기간 운영의 경우 운영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건설교통부 (1999). 수자원의 최적화 연구(Ⅲ). 

  2. 건설교통부 (2006). 금강유역조사. 

  3. 건설교통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고서. 

  4. 안상진, 최병만, 곽현구, 김혁호 (2006). "유역의 최적 용수배분계획 수립을 위한 Network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65∼369. 

  5. 유주환 (2005). "물 공급 안전도 평가에 MODSIM을 적용한 물 수지 분석 방법 제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1B호, pp. 9∼17. 

  6. 유주환, 윤석영, 김승 (2000a). "수자원의 공급 우선권을 반영한 물 수지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49∼452. 

  7. 유주환, 윤석영, 김승 (2000b). "물 수지 계산 결과 검토: 시간간격과 수요기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65∼468. 

  8. 유주환, 이동률, 이한구 (2000c). "물 공급 안전도 평가를 위한 물 수지 분석: Ⅰ. 분석방법." 대한토목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69∼472. 

  9. 유주환 이동률, 김영식 (2000d). "물 공급 안전도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Ⅱ. 분석과 결과."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53∼456. 

  10. 윤석영, 유주환 (1999). "MODSIM을 이용한 물 수지 분석 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418∼423. 

  11. 이광만, 윤석영, 김현준 (1998). "Network Flow Model을 이용한 유역 물수지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97∼102. 

  12. 이광만, 이재응, 심상준, 고석구(1999). "Network Optimization Model 을 이용한 수자원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2권, 제2호, pp. 143∼152. 

  13. 정태성, 강신욱, 고익환, 황만하 (2007). "금강유역에서의 KModsim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지, 제27권, 제3B호, pp. 319∼329. 

  14. 차기욱, 정태성, 고익환 (2007).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금강상류지역 지표수-지하수 연계운영 및 갈수기 용수공급방안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지, 제27권, 제5B호, pp. 507∼513. 

  15. 한국수자원공사 (1998) 다목적댐 운영 실무 편람 

  16. Bertsekas, D.P., and Tseng, P. (1988a). "Relaxation methods for minimum cost ordinary and generalized network flow problems." Operations Research, Vol. 36, pp. 93-114. 

  17. Frevert, D.K., Labadie, J.W., Larson, R.K., and Parker, N.L. (1994). "Integration of water right and network flow modeling in the Upper Snake River Basin." Proceedings of the 21st Annual Conference,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ASCE, Denver, Colo., USA. 

  18. Graham, L.P., Labadie, J.W., Hutchison, I.P., and Ferguson, K.A. (1986). "Allocation of augmented water supply under a priority water right syste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No. 7, pp. 1083-1094. 

  19. Labadie, J.W., Bode, D., and Pineda, A. (1986). "Network Model for decision-support in municipal raw water supply."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2, No. 6, pp. 927-940. 

  20. Law, J., and Brown, M. (1989). "Development of a large network model to evaluate yield of a proposed reservoir." Computeriz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Water Managers, ASCE,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