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362 - 1372  

장자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김미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나트륨 섭취군을 분류하여 노인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35명의 조사대상자 중 42.96%인 58명이고나트륨 섭취군에 속하였다. 생활습관에서 음주, 간식횟수, 외식횟수, 수분섭취량에서 고나트륨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반류, 젓갈류, 장아찌, 조림류, 국물 섭취량, 간장과 소금의 추가량에 관한 식습관 점수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의 나트륨에 관한 영양지식 총점이 남녀노인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남자노인은 나트륨과 인스턴트식품, 나트륨과 인공조미료에 관한 문항에서, 여자노인은 나트륨과 질병과의 관계, 나트륨 섭취권장량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Na index 14의 김치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멸치볶음에서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총 나트륨 섭취량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남자노인 1562.49 mg, 여자노인 1227.82 mg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면류를 통한 섭취량이 70% 이상이었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Na index 14 점수(p<0.05),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p<0.01), 나트륨 섭취 관련 식습관 점수가 낮았다. Na index 14 점수에 대해 세끼 식사의 규칙성, 식사량의 적정성, 천천히 식사함(p<0.01) 항목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Na index 14 점수가 높을수록 인스턴트 국류(p<0.01), 탕류(p<0.01), 죽류(p<0.01), 스프류(p<0.01), 면류(p<0.01), 레토르트류(p<0.01)의 섭취가 높았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과잉 섭취 노인의 특성 및 섭취요인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고나트륨 섭취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oadly profile the dietary pattern of elderly who consumed a higher amount of sodium compared to lesser sodium consumers. Na index 14, an instan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FFQ) of 40 items characterizing a high amount of sodium and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나트륨 섭취군을 분류하여 노인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35명의 조사대상자 중 42.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과잉 섭취 노인의 특성 및 섭취요인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고나트륨 섭취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들의 영양 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 현재까지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노인의 건강상태 및 영양소 섭취실태(8-16), 고혈압, 당뇨병 등 질환을 가진 노인의 영양상태 및 개선방안(17-21)에 관한 연구는 있지만, 나트륨 과잉섭취 노인에 대한 특성과 섭취요인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Na index와 나트륨 섭취 관련 식습관을 근거로 하여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을 분류한 후 이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 패턴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의 과잉섭취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식염섭취의 경우 지역에 따라 다르나 10∼16 g을 초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혈액의 부피를 증가시키면서 norepinephrine의 분비를 증가시켜 말초혈관의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압과 부종을 일으키며 위암과 궤양의 발생과도 관계가 있다(3).
노인의 건강상태는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단지 수명 연장보다는 사는 동안 좀 더 나은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삶을 살기를 원하게 되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노인의 건강상태가 중요한데, 노인의 건강은 생활습관, 식생활 및 영양섭취, 질병상태, 그리고 사회ㆍ 심리ㆍ경제적인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노인의 식습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에서 일반적인 식습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항목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노인의 식습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식습관 조사지와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습관 조사지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식습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항목은 식사의 규칙성, 음식의 다양성, 식사의 양, 식사 속도, 식욕정도, 식사대상에 대한 식습관 문항 등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습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항목은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e JS, Kwon SO, Paik HY. 2006.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longevity areas-Ⅲ. Relation among self-rated health,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in rural elderly-. Korean J Nutr 39: 286-298. 

  2.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정책실. 2005. 전국 노인 생활 실태 및 복지 욕구조사. 보건복지부. 

  3. Son SM, Huh GY, Lee HS.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677-692. 

  4.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서울시민의 건강수준 및 의료이용 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Moon HK, Joung HJ. 1999. Dietary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Korean J Nutr 32: 90-100. 

  7. Kang NE, Lee JY.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8: 357-366. 

  8. Lim YJ, Choi YS. 2008. Dietary behaviors and seasonal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620-629. 

  9. Park MY, Chun BY, Jo SJ, Jeong GB, Huh CH, Kim GR, Park PS. 2008.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aged females in a rural long life community by the stage model of dietary behavior chang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34-45. 

  10. Lim YJ, Choi YS. 2007.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the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8-67. 

  11. Yoon HJ, Lee HK, 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0-57. 

  12. Lee YN, Lee HJ, Lee HS, Jang YA, Kim CI. 2006. Nutritional status and its improvement strateg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2006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roceedings. p 16-34. 

  13. Kim MW, Han HK, Choi SS, Lee SD. 2005. A study on dietary patter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by food habit index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892-904. 

  14. Cha BK.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Wan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880-891. 

  15.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216-223. 

  16. Han HK, Choi SS, Kim MW, Lee SD.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101-110. 

  17. Yim KS. 2008.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640-652. 

  18. Kim MJ, Kim JH. 2008.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intakes and plasma antioxidant levels in Korean elderly with diabetes living in Ul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276-287. 

  19. Yoon HJ, Lee SK. 2006. Effect of home-visi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high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346-360. 

  20. Kim JH, Kim MJ, Kwak HK. 2006. Obesity indices and plasma total antioxidant status in hypertensive elderly living in Ul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279-288. 

  21. Chung SH, Sohn CM. 2005. Nutritional status of hospitalized geriatric patients using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645-653. 

  22. Yoon HJ. 2004. The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nd effect of meal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risk of malnutri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3. Park SJ. 2004. Evaluation nutrient intake limiting factors and recipe development for the elderl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4. Huh GY. 2003.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and development of FFQ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5.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26. Lee JY. 2001. A study of salt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ult females. Korean Food & Nutr 14: 430-440. 

  27. Son SM, Heo KY. 2002.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381-390. 

  28. Kim HW, Kim YJ, Bae SK, Shim GS. 2001. Studies on the principal taste components in soup base of commercial ramyons. Korean J Food Sci & Technol 33: 28-32. 

  29. Lee BS, Kim MS, Kim YS, Lee NS, Kwon KJ, Lee YS. 2007. The elderly nutrition care for the elderly welfare . Kwangmoonkag,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