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신안에서 재배되는 비금 섬초의 품종별 식품성분
Food Components by Kind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397 - 1405  

정복미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  강은아 (전남대학교(여수)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신태선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륙과 섬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육지에서 재배하는 포항초와 전남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비금 섬초의 품종별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게르마늄 함량, 유기산 함량, 유리당 함량, 비타민A, C, E 함량, 색도측정,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과 회분은 포항초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 단백과 탄수화물, 조 섬유에서는 비금 섬초의 중생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포항초는 칼륨, 아연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나트륨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비금 섬초의 경우 중만생종은 칼슘, 칼륨, 망간, 나트륨 함량이 포항초에 비해 높았으며, 만생종은 철분, 마그네슘, 망간, 아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중생종은 철분, 구리, 아연 함량만 높게 나타났으며, 조생종은 철분과 구리 함량을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게르마늄 함량의 경우 비금 섬초의 만생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포항초에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의 함량은 옥살산, 구연산, 말산, 개미산의 함량은 비금 섬초의 만생종과 조생종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포항초는 호박산, 초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산, 주석산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은 유당을 제외한 모든 당이 비금 섬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생종과 만생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중생종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 함량은 비금 섬초가 포항초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E 함량은 중만생종을 제외한 비금 섬초에서 포항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데치기 전 명도는 포항초와 섬초의 종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적색도는 중만생종과 만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만생종과 조생종이 높게 나타났다. 데친 후 명도는 비금 섬초의 중만생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적색도는 만생종과 중생종이 가장 높았으며, 중만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는 만생종이 가장 낮았고, 조생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항초와 비금 섬초의 종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데친 후 관능평가를 한 결과 색을 제외한 맛, 단맛, 질감, 좋아함에서 포항초에 비해 섬초의 조생종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component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Pohang spinach of inland and jo-saeng, chung-saeng, man-saeng, chungman-saeng spinach of Bigum located on Jeonnam Shinan. W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에서 생산되는 섬초를 품종별(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중만생종) 구분하여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이를 내륙의 해안가에서 생산되는 시금치와 비교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포항에서 생산되는 포항초를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내륙과 섬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의 성분과 관능 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육지에서 재배하는 포항초와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비금 섬초의 품종별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게르마늄 함량, 유기산 함량, 유리당 함량, 비타민 A, C, E 함량, 색도측정,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과 회분은 포항초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 단백과 탄수화물, 조 섬유에서는 비금 섬초의 중생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설 설정

  • 2)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금치란 무엇인가? 시금치(Spinacia, Spinacia oleracea L.)는 페르시아 원산으로 명아주과에 속하는 자웅이주의 1~2년생 작물로서, 우리나라에는 1500년대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연중 일반 가정에서 상용하는 채소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1). 시금치는 한명으로는 파릉채 또는 뿌리가 곧고 담홍색 이라고 하여 적근채라고도 하는데, 품종과 산지 재배 방법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맛과 형태도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 재래종은 잎사귀가 작고 뿌리 부분의 밑 등이 붉은 색이지만 개량종은 잎사귀가 큰 것이 특징이다(2).
비금 섬초의 수확을 위한 재배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비금 섬초는 주로 재래종으로 조생종은 9월~10월에 종자를 뿌려 20일정도 후에 수확하는 것이고, 중생종은 40일 정도에 수확하며, 만생종은 50일 정도 후에 수확하고, 중만생종은 40~50일 이후에 수확하는 종을 일컫는다.
육지에서 재배하는 포항초의 무기질 함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일반성분은 수분과 회분은 포항초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 단백과 탄수화물, 조 섬유에서는 비금 섬초의 중생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포항초는 칼륨, 아연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나트륨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비금 섬초의 경우 중만생종은 칼슘, 칼륨, 망간, 나트륨 함량이 포항초에 비해 높았으며, 만생종은 철분, 마그네슘, 망간, 아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oon BS, Lee KS. 1995. Food material. Soohaksa, Seoul, Korea. p 76. 

  2. Hyun YH, Koo BS, Song CE, Kim DS. 2000. Food material. Hyungsul Press, Seoul, Korea. p 87-89. 

  3. Lee US. 1994. Korean vegetable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Daegu, Korea. p 147-156. 

  4. Park SS, Jang MS, Lee KH. 1994.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pinach grown in winter green house. J Korean Soc Food Nutr 23: 62-67. 

  5. Lim SJ. 1992. Retention of ascorbic acid in vegetable as influenced by various blanch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8: 411-419. 

  6. http://naver.com Doosan Encyclopedia. 

  7. Jang MS, Kim NY. 1994.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kinds of spinach by various levels of salt in blanching water.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8. Yeoung YR, Jung MK, Lee MR, Hong SJ, Chun CH. 2004. Growth and yield response between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in summer cultivation of spinach in alpine area. Kor J Hort Sci Technol 22: 278-282. 

  9. Lee MR, Yeoung YR, Kim BS, Hong SJ. 2004.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during PE film storage of summer spinach 'Kwangchae' grown in alpine area. Kor J Hort Sci Technol 22: 288-293. 

  10. Lim JW. 2001.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oductivity of spinach under protected cultivation in the summer season. PhD Dissertation.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p 1-56. 

  11. Lee CH. 1983. A study on content of the minerals in spinach.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4-36. 

  12. Min HS. 1998.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86-290. 

  13. Iwatani Y, Arcot J, Shrestha A. 2003. Determination of folate contents in some Australian vegetables. J Food Compost Anal 16: 37-48. 

  14. Nisha P, Singhal R, pandit A. 2005. A study on degradation kinetics of riboflavin in spinach (Spinacea oleracea L). J Food Engineering 67: 407-412. 

  15. Zhu YG, Huang YW, Lin YX. 2003. Iodine uptake by spinach culture: effects of iodine species and solution concentrations. Environ Int 29: 33-37. 

  16. Lee EY, Kim YA. 1994.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soybean sprout and spinach. Korean J Soc Food Sci 10: 381-385. 

  17. Kim ES, Im KJ. 1977. A study on oxalic acid and calcium content in Koreans foods. Korean J Nutrition 10: 104-110. 

  18. Jaworska G. 2005. Content of nitrates, nitrites, and oxalates in New Zealand spinach. Food Chem 89: 235-242. 

  19. Savage GP, Vanhanen L, Mason SM, Ross AB. 2000. Effect of cooking on the soluble and insoluble oxalate content of some New Zealand foods. J Food Compost Anal 13: 201-206. 

  20. Kim YH. 1973. A study on the variation of vitamin C content in cooked spinach by the cookery method. The Korean Home Econ Assoc 11: 44-56. 

  21. Favell D. 1988. A comparison of the vitamin C content of fresh and frozen vegetables. Food Chem 62: 59-64. 

  22. Lee DY, Yoon HS. 1998. The change of nitrate, nitrite and ascorbic acid content in spinach as processing and storaging. Aeric Res Bull Kyungpook National Univ 6: 113-120. 

  23. Lee SH, Choe EO, Lee HG, Park KH. 2001. Factors affecting the components of chlorophyll pigment in spinach during storag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73-80. 

  24. Lopez-Ayerra B, Murcia M, Garcia-Carmona F. 1998. Lipid peroxidation and chlorophyll levels in spinach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nd after industrial processing. Food Chem 61: 113-118. 

  25. Lee AR. 1992. Changes in color of spinach leaves by blanching. Korean J Soc Food Sci 8: 15-20. 

  26. Maeda N, Hada T, Murakami-Nakai C, Kuriyama I, Ichikawa H, Fukumory Y, Hiratsuka J, Yoshida H, Sakaguchi K, Mizushina Y. 2005. Effects of DNA polymerase inhibi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of lipase-hydrolyzed glycolipid fractions from spinach. J Nutr Biochem 16: 121-128. 

  27. Matsubara K, Matsumoto H, Mizushinal Y, Mori M, Nakajima N, Fuchigami M, Yoshida H, Hada T. 2005. Inhibitory effect of glycolipids from spinach on in vitamin and ex vivo angiogenesis. Oncol Rep 14: 157-160. 

  28. Park JY, Heo JC, Woo SU, Shin HM, Kwon TK, Lee JM, Chung SK, Lee SH. 2007. Spinacia oleracea extract protects against chemical-induced neuronal cell death. Korean J Food Preserv 14: 425-430. 

  29. Kim NY, Yoon SJ, Jang MS. 1992. Effect of blanch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kind of spinach. Korean J Soc Food Sci 9: 204-209. 

  30.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32. Lee MH. 2005. A study on changes of nutritive components during growth periods and cooking methods of spinach.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Korea. 

  33. Kawashima LM, Valente Soares LM. 2003. Mineral profile of raw and cooked leafy vegetable consumed in southern Brazil. J Food Compost Anal 16: 605-611. 

  34.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68-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