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인 신안 섬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안 섬초(조생종 5건, 만생종 5건), 포항초(조생종 2건, 만생종 2건), 남해초(조생종 2건, 만생종 2건) 및 비닐하우스 시금치(조생종 2건) 등 20건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시금치 잎의 두께는 신안 섬초 > 포항초 > 남해초 > 비닐하우스 시금치 순이었으며, 경도의 경우 포항초 > 남해초 > 신안 섬초 > 비닐하우스 시금치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 측정결과 노지재배 시금치간 특성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비닐하우스 시금치의 경우 측정값 모두 조금 낮은 결과를 보였다. 총 식이섬유는 조생종(3.39~5.38 mg%)이 만생종 (2.94~3.91 mg%)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포항초 > 남해초 > 신안 섬초 > 비닐하우스 시금치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및 총당을 측정한 결과, 유리당의 경우 신안 섬초 4건(조생종 3건, 만생종 1건), 포항초 1건(만생종 1건), 남해초 2건(만생종 1건, 조생종 1건) 등이 타 시료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신안 섬초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총당의 경우 신안 섬초 3건(만생종 2건, 조생종 1건), 포항초 1건(만생종 1건), 남해초 2건(만생종 1건, 조생종 1건)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신안 섬초 조생종 1건(110.45 mg%)과 남해초 조생종 1건(122.66 mg%)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132.23~218.40 mg% 정도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시료별 게르마늄 평균 함량은 신안 섬초가 47.46 ${\mu}g$/kg, 남해초 30.13 ${\mu}g$/kg, 포항초 26.39 ${\mu}g$/kg, 비닐하우스 시금치 25.32 ${\mu}g$/kg 순으로 나타나 신안 섬초가 타 지역 시금치에 비해 많은 게르마늄 함량 분포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안 섬초가 형태학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당 함량, 게르마늄 함량 등이 타 지역 시금치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여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hinan seomcho growing in Jeollanamdo. The samples used were Shinan seomcho(Josaeng, Mansaeng varieties), Pohangcho(Josaeng, Mansaeng varieties), Namhaecho (Josaeng, Mansaeng varieties) and greenhouse spinach(Josaeng varieties). The res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생종과 만생종으로 구분한 신안 섬초와 육지에서 생산되는 시금치 및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시금치를 대상으로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시금치 재래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시금치(Spinach, Spinacia olerecea L.)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생 저온성작물로, 우리나라 재래종은 잎사귀가 작고 뿌리 부분의 밑 등이 붉은색이지만 개량종은 잎사귀가 큰 것이 특징이다(1). 예로부터 겨울철 채소로 영양학적 가치가 뛰어나 국민의 건강식품으로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시금치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carotene과 ascorbic acid, 무기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과 철분, 부드러운 섬유소가 들어있어 발육기의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좋은 알칼리성 식품이다(2).
섬에서 생산되는 시금치로 전남 신안군 비금도 등지에서 재배되는 신안 섬초에 대해 설명하시오. 신안 섬초는 매년 9월에 파종돼 12월부터 이듬해 3월말 농한기 때를 이용해 수확되며, 한겨울 추위 속에서 바닷바람과 눈서리를 견디느라 땅바닥에 붙어 자라며, 옆으로 퍼진 형태로 가운데는 배추속처럼 노란색이 특징이며, 또한 줄기가 적색이고, 잎이 넓고 두꺼우며 다른 지역이나 다른 계절의 시금치에 비해 맛이 좋다고 알려져 겨울철의 신선한 채소로 애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비타민과 무기질 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시금치의 영양학적 특징은? )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생 저온성작물로, 우리나라 재래종은 잎사귀가 작고 뿌리 부분의 밑 등이 붉은색이지만 개량종은 잎사귀가 큰 것이 특징이다(1). 예로부터 겨울철 채소로 영양학적 가치가 뛰어나 국민의 건강식품으로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시금치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carotene과 ascorbic acid, 무기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과 철분, 부드러운 섬유소가 들어있어 발육기의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좋은 알칼리성 식품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yun YH, Koo BS, Song CE, Kim DS. (2000) Food Material. Hyungsul Press, Seoul, Korea, p.87-89 

  2. Lim SJ. (1992) Retention of ascorbic acid in vegetable as influenced by various blanch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8, 411-419 

  3. Lee MH, Han JS, Nobuyuki K, Takahisa M.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pinach produced in autum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306-314 

  4. Kim NY, Yoon SJ, Jang MS. (1993) Effect of blanch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kind of spinach. Korean J. Soc. Food Sci., 9, 204-209 

  5. Park SS, Jang MS, Lee KH. (1994)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spinach grown in the winter greenhouse. J. Korean Soc. Food Nutr., 23, 62-67 

  6. Lim SJ. (1992) Retention of ascorbic acid in vegetables as influenced by various blanch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8, 411-419 

  7. Cha MA, Oh MS. (1996) Changes in mineral content in several leaf vegetable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2, 34-39 

  8. Min HS. (1998)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7, 286-290 

  9.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Maryland, USA 

  10. KFDA. (2007) Food Code, KFDA, Munyoung-sa, Seoul 

  11. Chang HK. (2005)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Korean J. Food Nutr., 18, 63-71 

  12. Chae SK, Kang KS, Ryu ID,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4) Analysis of Food, Jigumunhwa-sa, Seoul, p. 416-419 

  13. Dubois M, Giller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14.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5. Swain T, Hills WE, Or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stuffs ingredient table. 7th ed., p.136 

  17. Jung BM, Kang EA, Shin TS. (2009) Food components by kind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97-1405 

  18.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9.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0.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68-273 

  21. Lee J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504-514 

  22.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s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3. Maxson ED, Rooney LW. (1972) Evaluation of methods for tannin analysis in sorghum grain. Cereal Chem., 49, 719-729 

  24. Lee YS, Joo EY, Kim NW. (2005) Analysis on the components in stem of the Lespedeza bicolor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46-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