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용액 내 폴리스티렌-폴리에틸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 구조에 대한 소각중성자산란 연구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3 no.5, 2009년, pp.485 - 489  

강병욱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최미주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황규희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광희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진병석 (동덕여자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dPS-PEO)로 형성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소각중성자산란(SAN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ANS 데이터는 코어-쉘 모델의 form factor와 hard-sphere structure factor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곡선 맞춤을 이용하여 미셀 응집수와 코로나 반경을 구하였다. 온도가 $25^{\circ}C$에서 $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미셀 응집수는 229에서 240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코어 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쉘 두께는 6.2 nm에서 5.8 nm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온도 증가에 따라서 PEO 블록의 소수성이 증가함으로써 코로나 내의 친수성 그룹 당 수화 부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deuterated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dPS-PEO) in heavy water were investigated with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SAN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ard-sphere structure factor in combination with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분자 운동성의 치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PS의 Tg (-100 ℃) 보다 닞은 온도 영역에서 미셀간의 사슬 교환이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벌크와 미셀 코어 내의 분자 운동성 차이에 관한 연구는 형광 염료의 편광 소멸(depolarization)에 근간을 둔 형광 이방성 (fluorescence anisotropy) 측정법으로20 차후 상세하게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2)는 단 분산 입자 시스템에 대한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셀 크기가 Gaussian 과 유사한 Schulz 분포의 다분산성 (p) 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p를 추가적인 맞춤 인자로 모델에 혼성하여 산란곡선 맞춤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응집수나 평균 크기에 있어서 시스템을 단 분산 이라 가정하고 구한 경우와 비교해서 그 차이가 없었다.
  • 그러나, 미셀의 응집수나 평균 크기에 있어서 시스템을 단 분산 이라 가정하고 구한 경우와 비교해서 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모든 모델 맞춤은 대상 시스템이 단분산 미셀계라 가정하고 수행하였다.
  • 17로 증가한다는 것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CH2CH2O 그룹 당 수화된 DQ 분자의 수가 대략 13에서 11 수준。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에 DM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산란 곡선 맞춤을 하였다 그러나, PEO의 부피 분율 a2가 코어 근처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코로나 반경이 증가하면 그 값이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산란 곡선 맞춤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Figure 2(d) 에서 제시하는 PEO의 부피 분율이나, 이를 기준으로 얻은 CH2CH20 그룹 당 수화된 DM 분자의 수는 코로나 내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 W. Hamley, The Physics of Block Copolymer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8 

  2. J. S. Pedersen and M. C. Gerstenberg, Macromolecules, 29, 1363 (1996) 

  3. K. Mortensen, W. Brown, K. Almdal, E. Alami, and A. Jada, Langmuir, 13, 3635 (1997) 

  4. I. Goldmints, F. K. Von Gottberg, K. A. Smith, and T. A. Hatton, Langmuir, 13, 3659 (1997) 

  5. G. J. Brown, R. W. Richards, and R. K. Heenan, Polymer, 42, 7663 (2001) 

  6. J. S. Pedersen, C. Svaneborg, K. Almdal, I. W. Hamley, and R. N. Young, Macromolecules, 36, 416 (2003) 

  7. V. Castelletto, I. W. Hamley, and J. S. Perdersen, Langmuir, 20, 2992 (2004) 

  8. Y. S. Yoon and S. C. Kim, Polymer(Korea), 23, 916 (1999) 

  9. Y. S. Yoon and S. C. Kim, Polymer(Korea), 23, 926 (1999) 

  10. G. Hurtrez, P. Dumas, and G. Riess, Polymer Bulletin, 40, 203 (1998) 

  11. L. Zhang, R. J. Barlow, and A. Eisenberg, Macromolecules, 28, 6055 (1995) 

  12. Z. Tuzar, P. Kratochvil, K. Prochazka, and P. Munk, Collect. Czech. Chem. Commun., 58, 2362 (1993) 

  13. R. Xu, M. A. Winnik, F. R. Hallett, G. Riess, and M. D. Croucher, Macromolecules, 24, 87 (1991) 

  14. M. Wilhelm, C. L. Zhao, Y. Wang, R. Xu, M. A. Winnik, J. L. Mura, G. Riess, and M. D. Croucher, Macromolecules, 24, 1033 (1991) 

  15. P. Hickl, M. Ballauff, and A. Jada, Macromolecules, 29, 4006 (1996) 

  16. A. Poppe, L. Willner, J. Allgaier, J. Stellbrink, and D. Richter, Macromolecules, 30, 7462 (1997) 

  17. S. H. Chen, Annu. Rev. Phys. Chem., 37, 351 (1986) 

  18. K. Mortensen and J. S. Pedersen, Macromolecules, 26, 805 (1993) 

  19. E. Jule, Y. Yamamoto, M. Thouvenin, Y. Nagasaki, and K. Kataoka, J. Control. Release, 97, 407 (2004) 

  20. K. Na, D. H. Lee, D. J. Hwang, H. S. Park, K. H. Lee, and Y. H. Bae, Eur. Polym. J., 42, 258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