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2 no.3, 2012년, pp.103 - 108
정재홍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 이상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 박제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Having a de Broglie wavelength of a fe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응집물질물리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 물질의 고체상태를 연구하는 응집물질물리학이란 넓은 의미에서 고체상태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상전이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런 물질의 상전이는 수없이 많은 모습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격자(lattice), 전하(charge), 스핀(spin), 궤도(orbital)의 네 가지 자유도에 기반하여 이해할 수 있다. | |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전통적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 이런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격자 구조뿐 아니라 자성 구조 및 미시적 동역학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접근하여야 한다.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전통적 방법에는 X-선 산란, 중성자 산란 등이 있고, 동역학 연구에는 라만 분광법, 중성자 산란 분광법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자성소재 연구에서 중요한 중성자 산란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연구의 구체적인 예를 들고자 한다. | |
자성재료의 연구가 스핀과 궤도의 구조와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예시는? | 이중 스핀과 궤도는 자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자성재료의 연구는 이런 스핀과 궤도의 구조와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물질 내 전자의 스핀이 어떻게 배열되는가에 따라 상자성, 강자성, 반강자성이 일어나고, 다른 자유도와 결합하면 스핀-격자 상호작용, 스핀-궤도상호작용 등 복잡한 현상이 일어난다. |
물리학과첨단기술 18, 5월호 (2009).
T. Mason, Physics Today 59, 44 (2006).
T. Kamiyama, private communications (2003).
J. D. Jorgensen, M. A. Beno, D. G. Hinks, L. Soderholm, K. J. Volin, R. L. Hitterman, J. D. Grace, and Ivan K. Schuller, Phys. Rev. B 36, 3608 (1987).
J. D. Jorgensen, B. W. Veal, W. K. Kwok, G. W. Crabtree, A. Umezawa, L. J. Nowicki, and A. P. Paulikas, Phys. Rev. B 36, 5731 (1987).
J. Park, S. Lee, M. Kang, K.-H. Jang, C. Lee, S. V. Streltsov, V. V. Mazurenko, M. V. Valentyuk, J. E. Medvedeva, T. Kamiyama, and J.-G. Park, Phys. Rev. B 82, 054428 (2010).
S. Lee, A. Pirogov, M. Kang, K.-H. Jang, M. Yonemura, T. Kamiyama, S.-W. Chenog, F. Gozzo, N. Shin, H. Kimura, Y. Noda, and J.-G. Park, Nature 451, 805 (2008).
F. Boue, R. Cywinski, A. Furrer, H. Glattli, S. Kilcoyne, R. L. McGreevy, D. McMorrow, D. Myles, H. Ott, M. Rubhausen, and G. Weill, Neutron Scattering and Complementary Experimental Techniques. The ESS Project, Volume II, Chapter 5. ESS Council, Druckerei Plump (2002).
B. Brockhouse and A. T. Stewart, Phys. Rev. 100, 756 (1955).
R. M. Kicklow, G. Gilat, H. G. Smith, L. J. Raubenheimer, and M. K. Wilkinson, Phys. Rev. 164, 922 (1967).
T. J. Sato, S.-H. Lee, T. Katsufuji, M. Masaki, S. Park, J. R. D. Copley, and H. Takagi, Phys. Rev. 68, 014432 (2003).
J. Jeong, E. A. Goremychkin, T. Guidi, K. Nakajima, G. S. Jeon, S.-A. Kim, S. Furukawa, Y. B. Kim, S. Lee, V. Kiryukhin, S.-W. Cheong, and J.-G. Park, Phys. Rev. Lett. 108, 077202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