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Triclosan과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의 액취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Body Wash Containing Triclosan and Bamboo Salt on Axillary Malodor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5 no.3, 2009년, pp.219 - 228  

노석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윤우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지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유형욱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황동성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최승만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정래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강상진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장석윤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의 액취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in vitro 항균시험 및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교차설계로 진행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 Corynebacterium xerosis, Corynebacterium jeikeium를 균주로 한 in vitro 항균 실험에서 모두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를 전반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와 균수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피시험자 전체에서 이상반응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에 대한 감소효과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 deodorant body wash with 1.0 wt% of triclosan and 0.4 wt% of bamboo salt, which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axillary malodor. In this studies, in vitro antibacterial study and the clinical study, which was designed by randomized assignment, double-blind and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doriferous materials인 isovaleric acids의 gradual dilution을 제대로 판정할 수 있는 전문가로 정하였다.
  • 이전에는 hexachlorophene, tetrachlorosalicylanilide, bithionol, thiram 등과 같은 항균성분을 배합하여 외용으로 비누, 바디워시, 스프레이제재 등을 활용하였으나[10] 자극 및 알레르기 반응, 접촉피부염 등의 부작용이 있어서 최근에는 제한소취 효능이 있는 aluminum chlorohydrate 제제와 항균작용이 있는 triclosan과 trichlorocarbanilide 등이 체취방지제의 주 효능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11]. 본 연구의 목적은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의 액취 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in vitro 항균 시험 및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교차설계로 진행한 임상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취란? 액취는 아포크린 한선질환으로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악취성 발한이며, 주로 액와에서 발생된다[1]. 액취의 특유한 냄새는 겨드랑이 등 특정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아포크린 한선에 있는 세균의 일종인 피부상재균에 의해 분해되거나[2,3] 또는 자가 산화되어 불쾌한 냄새의 지방산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4].
액취는 왜 발생하는가? 액취는 아포크린 한선질환으로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악취성 발한이며, 주로 액와에서 발생된다[1]. 액취의 특유한 냄새는 겨드랑이 등 특정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아포크린 한선에 있는 세균의 일종인 피부상재균에 의해 분해되거나[2,3] 또는 자가 산화되어 불쾌한 냄새의 지방산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4]. 유발하는 대표적인 상재균은 diphtheroids이다[5,6].
액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상재균은? 액취의 특유한 냄새는 겨드랑이 등 특정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아포크린 한선에 있는 세균의 일종인 피부상재균에 의해 분해되거나[2,3] 또는 자가 산화되어 불쾌한 냄새의 지방산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4]. 유발하는 대표적인 상재균은 diphtheroids이다[5,6]. 아포크린 한선 분비물의 화학적 조성은 개인차가 있어서 느끼는 정도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사춘기에 땀 분비가 시작되므로 주로 사춘기 이후에 액취가 나타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S. Roh, Primary Colored Dermatology, IVC Co., Ltd, 767 (2006) 

  2. I. M. Freedberg, A. Z. Elsen, K. Wolff, K. F. Austen, L. A. Goldsmith, S. I. Katz, and T. B. Fitzpatrick,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5th eds, McGraw Hill, NewYork, 810 (1999) 

  3. W. C. Noble and D. Somerville, Microbiology of human skin, Saunders, London, 273 (1974) 

  4. P. M. Baxter and J. V. Reed, The evaluation of underarm deodorants, Int. J. Cos. Sci., 5, 85 (1983) 

  5. J. J. Leyden, K. J. McGinley, E. Holzle, J. N. Labows, and A. M. Kligman, The microbiology of human axillary and its relationship to axillary odor, J. Invest. Dermatol., 77, 413 (1981) 

  6. Y. H. Bang, J. H. Kim, S. W. Paik, S. H. Park, I. T. Jackson, and R. Lebeda, Histopathology of apocrine bromhidrosis, Plast Reconst. Surg., 98, 288 (1996) 

  7. S. L. Moschella and H. J. Hurley, Dermatology, 3rd eds, Philadelphia Saunders, 1495 (1992) 

  8. I. M. Freedberg, A. Z. Elsen, K. Wolff, K. F. Austen, L. A. Goldsmith, S. I. Katz, and T. B. Fitzpatrick,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5th eds, McGraw Hill, NewYork, 811 (1999) 

  9. H. J. Wang, T. Y. Cheng, and T. M. Chen, Surgical management of axillary bromidrosis-a modified skoog procedure by an axillary bipedicle flap approach, Plast Reconstr. Surg., 98, 524 (1996) 

  10. S. H. Chang, Clinical study of soap containing 1 % triclosan and bamboo salt for acne patients, The Newest Medical Journal, 38(2), 51 (1995) 

  11. D. J. Rhonda, B. J. Hanuman, L. N. Jerry, and S. L. Andrew, Triclosan: a review of effectiveness and safety in health care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8(2), 184 (2000)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whole explanation for the judgement of deodorants (2008) 

  13. E. H. Choi and S. W. Lee, The effect of antiperspirant & deodorant spray with aluminum chlorohydrate and triclosan on axillary malodour, The Newest Medical Journal, 44(9), 15 (2001) 

  14. P. Combemale, M. Faisant, C. Azoulay-Petet, M. Dupin, and J. Kanitakis, Neutrophilic eccrine hidradenitis secondary to infection with serratia marcescens, Br. J. Dermatol., 142, 784 (2000) 

  15. W. C. Noble and D. A. Somerville, Microbiology of Human Skin, 2, Sauders. London, 273 (1974) 

  16. K. Ikai, Deodorizing experiments with ion exchange resins, J. Invest. Dermatol., 23, 411 (1954) 

  17. J. N. Labows, G. Preti, E. Hoelzle, J. Leden, and A. Kilgman, Steroid analysis of human apocrine secretions, Steroids, 34, 249 (1979) 

  18. J. Killian, Evalu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of testing deodoran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hlorophyll and its derivatives, J. Soc. Cos. Chem., 3, 30 (1952) 

  19. F. Lyman and T. E. Furia, Antisepics Irgasan DP 300, Ind. Med. Surg., 38, 45 (1969) 

  20. T. E. Furia and A. G. Schenkel, New broad spectrum bacteriostat soap, Chem. Spec., 44, 47 (1968) 

  21. C. A. Bartzokas, Irgasan DP 300, Ciba-Geigy (1987) 

  22. P. J. Rennie, D. B. Gower, K. T. Holland, A. I. Mallet, and W. J. Watkins, The skin microflora and the formation of human axillary odor, Int. J. Cosmet. Sci., 12, 197 (1990) 

  23. P. J. Rennie, D. B. Gower, and K. T. Holland,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of human axillary odor and the cutaneous microflora, Br. J. Dermatol., 124, 596 (1991) 

  24. B. Antranik, Antiperspirants and deodorants, Clinics in Dermatology, 19(4), 398 (2001) 

  25. Y. S. Kim, The therapy of bamboo salt, Kwanghyewon (1993) 

  26. W. S. Sohn, Y. J. You, and C. Y. Kim, The inhibition effect of common salt or bamboo salt on the growth of various oral bacteri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15(2), 255 (1991) 

  27. C. Y. Kim, S. C. Chung, and W. S. Sohn, The inhibition effect of the toothpaste containing common salt or bamboo salt on the dental plague and gingivit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15(2), 26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