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검증을 통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Zingiber mioga ex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Verification of Cosmeceutical Activ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5, 2020년, pp.1088 - 1099  

엄미선 (장안대학교 뷰티케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siblility of Zingiber mioga as a cosmetic material. For this we carried out biologically activated material characteristic evaluation abou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wrinkle reduction effects using Zingiber mioga extract. To carry out this expe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NO (Nitric oxide) 측정, Procollagen 생성능, Matrix metallo proteinases (MMP)의 저해활성을 측정하는 피부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천연 화장품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하의 성분은 무엇인가? 천연물 중 다년생 초본인 양하는 생강목(Zingiberales), 생강과(Zingiberaceae), 생강속(Zingiber), 양하종(Zingiber mioga)이고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과 제주도 일대에서 자생한다. 양하에는 shogaol, β-phellandrene, zingerene, zingirone 등의 성분의 함유로 진통, 건위, 거담의 효과가 있어[9], 동의보감에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고독과학질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도 양하의 효능에 대한 기록이 있다[10, 11].
양하의 화장품 소재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양하(Zingiber mioga)의 화장품 소재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ZMF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100 ~ 1000 ㎍/㎖의 농도에서 24.15 ~ 79.12%, ZML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22.67 ~ 85.10%였다. ZMF와 ZML는 500 ㎍/㎖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500 ㎍/㎖, 1000 ㎍/㎖ 시료의 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ZMF과 ZML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는 250 ㎍/㎖ 농도에서 ZMF은 89.89%, ZML은 83.68%로 ZML보다 ZMF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고, 1000 ㎍/㎖ 농도에서는 99.72%, ZML은 99.87%로 ZMF와 ZML은 비슷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는 1000 ㎍/㎖ 농도에서는 48.83%, ZML은 18.82%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ZMF가 ZML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Nitric oxide 저해 활성 측정 결과는 ZMF를 10, 25, 50, 100 ㎍/㎖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ZMF는 각 107.1, 108.4, 110.7, 113.7%의 NO 발현량이 저해되어 ZMF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입증하였다. ZMF 의 MMP-1 저해활성은 25 µg/ml의 농도에서 20%의 저해활성을 나타났고,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µg/ml의 농도에서 110% 이상 합성되었으므로 ZMF는 주름개선 소재로 주목할만 하다.
천연물 중 다년생 초본인 양하는 무엇인가? 천연물 중 다년생 초본인 양하는 생강목(Zingiberales), 생강과(Zingiberaceae), 생강속(Zingiber), 양하종(Zingiber mioga)이고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과 제주도 일대에서 자생한다. 양하에는 shogaol, β-phellandrene, zingerene, zingirone 등의 성분의 함유로 진통, 건위, 거담의 효과가 있어[9], 동의보감에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고독과학질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도 양하의 효능에 대한 기록이 있다[10,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W. K. Whang, Y. A. Lee, H. J. An, Y. K. Jo, "Buying Attitude on Cosmetics of Women with Life Style", Kor. J. Aesthet. Cosmetol, Vol.8, No.2, pp. 117-126, (2010). 

  2. Y. S. Han, E. S. Jung,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plant extracts", Kor. J. Aesthet. Cosmetol, Vol.1, No.1, pp. 11-22, (2003). 

  3. N. Asano, E. Tomioka, H. Kizu, K. Matsui, "Sugars with nitrogen in the ring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orus bombycis", Carbohydrate Research, Vol.253, pp. 235-245, (1994). 

  4. C. S. Eun, E. Y. Hwang, S. A. Yang, M. H. Yu,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es of Barely sprout extract", J. Life Sci, Vol.26, NO.5 pp. 537-544, (2016). 

  5. Y. J. Shin,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rtr, Vol.42, No.4, pp. 512-519, (2013). 

  6. A. J. Bailey, S. P. Robinson, G Balian,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intermolecular crosslinks of collagen", Natute 251, pp. 105-109, (1974). 

  7. H. Y. Kim, S. I. Y, J. T. Lee, "Antioxidant Effect of Solvent Fraction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L. with Acetone", J. Appl. Biol. Chem, Vol.54, No.2, pp 89-93, (2011). 

  8. H. Lee, G. S. Jin, Y. R. Son, H. J. Kwon, B. W. Kim,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esmodium heterocarpon Extract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Vol.28, NO.2, pp. 216-222, (2018). 

  9. J. W. Lee, S. U. Chon, S. K. Han, D. G. Choi, J. Ryu,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onents of Zingiber Miogar Ros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15, pp. 203-209, (2007). 

  10. M. S. Cho, "Food Materials and Use Method in Donguibogam", Youlchon org, pp. 569, (2012). 

  11. D. K. Ahn,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haksa, p. 578, (2003). 

  12. K. C. Jang, S. C. Kim, E. Y. Song, K. H. Kim, H. M. Kwon, S. H. Kang, K. H. Park, Y. H. Jung, "Isolation and substances from the rhizome of Zingiber Miogar Rosc",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Vol.46, pp. 246-250, (2003). 

  13. G. S. Jeong, S. I. Im, B. M. Jung, Comparison of nutritional constituents of native Yangha (Zingiber Miogar) in Yeosu and Cheju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7, pp. 715-716, (2005). 

  14. J. H. Shin, S. J. Lee, N. J. Sung, "Effects of Zingiber Miogar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1, pp. 679-684, (2002). 

  15.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pp. 1199-1200, (1958). 

  16. N. Fellegrini, R. Ke, M. Yang, C. Rice-Evans, "Screeniu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Vol.299, pp. 379-389, (1999). 

  17. S. Marklund, G. Marklund,"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Vol.47, pp. 469-474, (1974). 

  18. J. Carmichael,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J. B. Mitchell,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Vol.47, pp. 936-942, (1987). 

  19. L. Marcocci, J. J. Maguire, M. T. Droylefaix, L. Packer,"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201, pp. 748-755, (1994). 

  20. J. Gross, C. M. Lapiere,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 a tissue culture assay", Proc Natl Acad Sci USA, Vol.54, pp. 1197-1204, (1962). 

  21. M. Krupsky, A. Fine, J. L. Berk, R. H. Goldstein, "Retinoic acid-induced inhibition of type I collagen gene expression by human lung fibroblasts", Biochemica. Biophysica. Acta. Vol.1209, pp. 335-341, (1994). 

  22. E. K. Park, S. R. Ahn, D. H. Kim, E. W. Lee, H. J. Kwon, B. W. Kim, T. H. Kim, "Effects of unripe apple polyphenols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 and type-1 procollagen in ultraviolet irradiated human skin fibroblas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Vol.57, pp. 449-455, (2014). 

  23. W. Brand-Williams, M. E. Cuvelier, C. Berset,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Wiss. u-Tech, pp. 28, 25-30, (1995). 

  24. J. E. Ancerewicz, P. A. Migliavacca, B. Carrupt, F. Testa, R. Bree, J. P. Zini, S. Tillerment, D. Labidalle, A. M. Guyot, C. A. Chauvent-Monges, A. L. Ridant, "Structure property relationships of trimetazidine derivatives and model compounds as potential antioxidants", Free Rad. Biol. Med, Vol.25, pp. 113-120, (1998). 

  25. J. S. Lee, H. H. Jang, G. Y. Song,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activity of Rehmanniae Radix Jung Kwa Obtained by Different Heat Processing Times",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pp. 59-69, (2013). 

  26. Y. D. Kim,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Root and Aerial Parts of Zingiber Miogar 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p. 55-57, (2017) 

  27. H. J. Lee, N. W, A. J. Kim,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Sulgidduk Prepared with Yangha Buds (Zingiber Miogar R)", J. Kor. Soc. Food Cult., Vol.29, No.6, pp. 615-622, (2014). 

  28. R. L Prior, X. Wu, K. Schaich,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3, No.10, pp. 290-4302, (2005). 

  29. R. Van den Berg, G. R. M. M. Haenen, H. Van den Berg, A. Bast,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Vol.66, pp. 511-517, (1999). 

  30. J. V. Bannister, G. R. Bannister, "Aspects of the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of superoxide dismutase", J. Crit Rev Biochem, Vol.22, pp. 111-180, (1987). 

  31. J. M. McCor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e funtion for erythrocuprein(Hemocuprein). J. Biol. Chem, Vol.244, No.22, p. 6049, (1969). 

  32. J. G. Park, B. S. Karmer, S. M. Steninberg, J. Carmichael, J. M. Collins, J. D. Minna, A. F. Gazdar,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J. Cancer Res, Vol.47, pp. 5875-5884, (1987). 

  33.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Vol.65, pp. 55-63, (1983). 

  34. S. Kwon, R. L. Newcomb, S. C. George, "Mechanisms of synergistic cytokin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human alveolar epithelial cells", Nitric Oxide, Vol.5, No.6 pp. 534-546, (2001). 

  35. T. J. Guzik, R. Korbut, T. Adamek-Guzik. "Nitric oxide and superoxide in inflammation and immune regulatio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Vol.54, No.4 pp. 469-487, (2003). 

  36. J. K. Kundu, Y. J. Surh, "Emerging avenues linking inflammation and cancer", J.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52, No.9 pp. 2013-2037, (2012). 

  37. H. Nagase, J. F. Woessner, "Matrix metalloproteinases", J. Biol. Chem, Vol.274, pp. 21491-21494, (1999). 

  38. J. M. Yoo, Y. J. Kang, H. B. Pyo, E. S. Choung, S. Y. Park, J. H. Choi, G. J. Han, C. H. Lee, T. J. Kim,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rice wine cake on human fibroblast", J. Life Sci, Vol.20, pp. 1838-1843, (2010). 

  39. M. Martinez-Esparza, C. Jimenez-Cervantes, F. Solano, J. A. Lozano, J. C. Garcia-Borron, "Mechanisms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Eur. J. Biochem, Vol.255, No.27 pp. 139-146, (19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