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프.제지산업의 환경적 특성과 대책
Environmental Features and Actions of Pulp & Paper Industry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1 no.3 = no.131, 2009년, pp.13 - 21  

조준형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lp and paper industry is a typical plant industry which usually consume lots of water and energy. Recently,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climate changes around the world, and reinforcement in the regulatory content in transfer and management of chemical material and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펄프·제지산업의 환경문제와 관련 내용을 서술하고 친환경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대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이옥신류는 무엇을 총칭하는 것인가? 폴리염화디벤조-파라디옥신(PCDD)과 폴리염화디벤조플란(PCDF) 및 코프레너PCB를 총칭해서 다이옥신류라 불리우고 있다. 다이옥신류는 두개의 벤젠고리가 두개 혹은 한 개의 산소원자(-O-)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고 수소원자대신에 염소원자가 치환하고 있다.
다이옥신류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다이옥신류는 탄소, 수소, 염소를 포함한 것이 연소하는 공정에서 비의도적으로 생성된다. 주로 다이옥신류의 발생원은 주로 쓰레기 소각에 의해서 발생하며 그 외에도 금속정선 등에 따른 연소등의 열처리 공정, 펄프의 염소표백공정 등에 의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한 많은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 주변에는 화학물질을 사용한 많은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에서의 예를 들면 식품을 밀폐하고 보존하는 플라스틱용기, 식품을 포장하는 랩, 음료 페트병, 비닐포장지 등 식품을 포장, 보존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용도에 대응한 다양한 플라스틱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의 편리성은 다종다양한 화학물질에 의해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펄프제지 폐수처리, 강원대학교 출판부(2007) 

  2. 에너지소비통계, 에너지관리공단(2008) 

  3. 제지산업통계연보, 한국제지공업연합회(2008) 

  4. 바이오에너지.고효율 전환기술개발/셀룰로스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하는 신규발효기술등에 의한 연료용 에탄올 제조 기술개발, NEDO(2004) 

  5. 박찬수, 다이옥신 생성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전북대 환경공학과 석사학위논문(1994) 

  6. 양상현.강윤석, 제지폐수처리장 슬러지의 소각처분에 관한 연구, 도시 및 환경연구7('92.12) pp.23-31(1992) 

  7. 최근 중국의 폐지 이용 증가와 세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제지공업연합회 학술지(제지계) 제429호(2008) 

  8. 윤성일, 펄프폐수에 존재하는 리그닌과 염화 과이아콜의 메탄생성 억제작용과 혐기성 처리,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학위논문(2002) 

  9. 김경연 출처, 대체 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는 바이오 연료, LG경제연구(2001) 

  10. 박찬우, 바이오 에탄올 생성 및 시장상황, 바이오 에탄올 혼합 연료 도입현황, GREEN SAMSUNG(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