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s have become the major issue for the sustainable society and the various regulation has been established for promoting low carbon and green growth in Korea. The paper industry as a large comsumer of energy is forced to cope with these regulation. In this study, the various exampl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온실가스 관리 및 감축은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상황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국제적으로 친환경적인 산업구조를 이룩하여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를 띠는 제지산업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경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관련 사례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세계적인 관심과 이에 따른 다양한 정책과 사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국내 제지산업 역시 변화되는 환경규제 및 기업운영 법제화에 부응하는 환경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가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지산업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환경규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여 보았고 실제 탄소원 흡수사업, 에너지 효율개선, 폐기물의 자원화, 열병합 발전 공정의 도입, 비목질 자원의 활용 등의 5 가지 방법들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제지산업에서의 환경 규제는 치열한 기업간 경쟁 상황에서 진행되지만 산업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술의 도입, 원료의 모색에 대한 노력이 지속된다면 새로운 기업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의 발판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소개된 다양한 관련 기후 변화 대응 환경경영 사례들은 경영전략의 모색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세기 이후 급격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환경 문제점은? 20세기 이후 급격한 산업발전은 인구 증가와 함께 생활수준의 향상 등을 가져왔으나 석탄과 석유 등 화석 연료에 의존한 경제시스템이 공고화 되면서 다양한 지구환경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산업화 및 경제성장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의 지속적인 증가현상은 향후 지구 환경의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여 막대한 재산과 인명 피해를 가져오고,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 아래 지구환경 변화에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어오고 있는데, 1992년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발효와 대표 온실 가스의 지정, 탄소배출권 제도의 등장 등은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국제적 노력의 결과물들로 볼 수 있다.
20세기 이후 급격한 산업발전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20세기 이후 급격한 산업발전은 인구 증가와 함께 생활수준의 향상 등을 가져왔으나 석탄과 석유 등 화석 연료에 의존한 경제시스템이 공고화 되면서 다양한 지구환경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산업화 및 경제성장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의 지속적인 증가현상은 향후 지구 환경의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여 막대한 재산과 인명 피해를 가져오고,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관련 제도를 마련하는 국가는? 이러한 인식 아래 지구환경 변화에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어오고 있는데, 1992년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발효와 대표 온실 가스의 지정, 탄소배출권 제도의 등장 등은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국제적 노력의 결과물들로 볼 수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러한 기후변화 대응노력들은 각국의 경제실정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데 EU 뿐만 아니라 미국, 호주, 일본 등은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실제 그 예로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적용,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등의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다양한 화석연료 대체 자원의 활용과 화석연료의 사용량 절감을 위한 정책 등을 수립하는 등 구체적인 대응 노력을 실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uropean Union, Energy, sustainable, secure and affordable Energy for Europeans (2013). 

  2. Kang. S. M., Li. Y., Park. H. R., The Effects of China's Energy Constraints on Production Efficiency and GHG Emissions Reducing Impacts, The Korea Association for Contemporary Chinese Studies, 14(2): 119-153 (2013). 

  3.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Law No. 11690, Act on allocation and transaction of Green house gas emission (2013). 

  4.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2012). 

  5.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Greenhouse gas Management System (2013). 

  6.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Korea Voluntary Emission Reduction System (2013). - http://kver.kemco.or.kr:8282/index.jsp 

  7. Korea Paper Association, Enviroment Energy, Status of the Waste Paper recycling (2012). - www.paper.or.kr/n_environment/environment_01.asp 

  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m, Forestry and Fisheries, Proposal for GHG Emission Reduction Targe (2011). 

  9. IPCC, Revised 199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Inventories (1996). 

  1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Energy Statistical Year Book (2012). 

  11. Korea Forest Service, History & overseas forestation (2013). - http://www.forest.go.kr/newkfsweb/html/HtmlPage.do?pg/resource 

  12.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2 Tax reform press release (2012). - http://www.mosf.go.kr/news/news02.jsp 

  13. UNFCCC, CDM Project search (2013). - http://cdm. unfccc.int 

  14.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Design Document Form Version 03, Methane Recovery and Utilization Project of Meihekou City Haishan Paper Industry Co., Ltd, UNFCCC CDM project (2012). 

  15.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Design Document Form Version 03, Avoided emissions from biomass wastes through use as feed stock in pulp and paper Kunak, Sabah production i.e. Eko Pulp and Paper Project Version 3.8, UNFCCC CDM project (2011). 

  16. Sung. Y. J., Kim. D. S., Um. G. J., Lee. J. W., Kim. S. B., Park. G. S., Action Plans of Paper Industry Correspond to the Carbon Dioxide Emission Trading Market, Journal of Korea TAPPI, 44(1): 43-51 (2012). 

  17. Kim. D. S., Sung. Y. J., Lee. J. W., Kim. S. B., Park. G. S., Investigation into Method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in Paper Industry with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Journal of Korea TAPPI, 44(2): 49-5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