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제지산업의 입지 변동
Locational Shifts in the Korean Paper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2 no.4, 2019년, pp.472 - 487  

조인혜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  장영진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지산업은 거듭되는 원료 및 공정기술의 혁신과 함께 두드러진 입지변동을 겪은 산업으로서 국가 및 지역별 생산 조건의 차이로 인해 해당 산업의 구조 및 입지가 상이하게 전개되고 있어 국가 및 지역별 사례 연구는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국내 제지산업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입지 변동에 주목하고 이를 생산요소 조건과 시장 및 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먼저, 20세기 초반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국내 펄프·제지산업은 생산요소 조건, 특히 원료 조건의 변화와 관련하여 펄프공정 중심에서 제지공정 중심으로 산업의 구조가 변화되었음을 고찰하였다. 둘째, 오늘날 제지산업계에서는 원료와 시장을 입지선정과 관련하여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 말부터 수도권에 대한 입지규제가 시행됨에 따라 제지산업의 입지 변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설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industry has experienced locational shifts in the continuous innovation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 technology. Due to the different conditions of production according to various nations and regions, the structure and location of the paper industry has evolved. Therefore, case studi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종이 및 판지 제조업으로 분류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제지용 펄프 제조업과 원지를 생산하는 종이 및 판지 제조업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한다. 다만 국내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펄프 제조업체가 없으므로 특히 후자에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이후 국내에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진 기계식 펄프·제지 산업을 대상으로 첫째, 국내 펄프·제지 산업의 생산요소 조건 특히 원료 조건의 변화와 관련하여 산업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오늘날 국내 제지산업계에서 중요시하는 주요 입지요인을 제지산업의 입지 특성과 관련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제지산업의 주요 입지요인 으로서 정부 정책이 산업입지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이후 국내에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진 기계식 펄프·제지 산업을 대상으로 첫째, 국내 펄프·제지 산업의 생산요소 조건 특히 원료 조건의 변화와 관련하여 산업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 둘째, 오늘날 국내 제지산업계에서 중요시하는 주요 입지요인을 제지산업의 입지 특성과 관련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제지산업의 주요 입지요인 으로서 정부 정책이 산업입지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의 기계식 펄프·제지산업을 대상으로 원료 조건의 변화에 따른 산업의 구조를 고찰하고, 오늘날 제지 공정 위주의 산업구조 하에서 제지업계가 중요시하는 입지 요인을 산업의 입지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제지산업의 성장과정에서 정부의 입지 규제와 산업의 입지변동의 관련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소재산업 가운데 제지산업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내 제지산업은 일제 강점기를 시작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요소 조건, 특히 원료 조건의 변화와 정부 정책의 영향 등으로 인해 입지에 영향을 받아왔다.
  • , 2012). 이 장에서는 제지산업계에서 주요 입지요인으로 간주하는 원료, 시장 및 용수와 산업입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이장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그리고 1980년대 이후 등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 원료 조건과 펄프 및 제지산업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주1: 반지(半紙)와 미농지(美濃紙)는 일본 종이의 한 종류임.
  • 주: 2016년 현재 국내산 펄프 생산량은 펄프와 인쇄용지를 일관생산하고 있는 무림P&P가 생산한 것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제지산업은 입지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받아왔는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소재산업 가운데 제지 산업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내 제지산업은 일제 강점기를 시작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요소 조건, 특히 원료 조건의 변화와 정부 정책의 영향 등으로 인해 입지에 영향을 받아왔다. 더욱이 국내 제지산업은 북아메리카 및 북유럽의 제지산업을 비롯하여 최근 들어 발전하고 있는 남아메리카 및 동남아시아의 그것과 달리 생산 조건과 입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지리학계의 논의가 요구된다.
제지산업이 고려하는 지리적 특징은? 제지산업에서는 제지공정 중 섬유질 원료와 첨 가제 운반에 대량의 용수가 소요되므로 업계에서는 미시적 스케일의 입지 선정 과정에서 다량의 용 수를 저렴하게 조달할 수 있는 지역을 확보하고자 한다(산업자원부, 1998; 류정용, 2000). 일반적으로 공업용수는 냉각용 또는 세척용으로 이용되는데 비해 펄프 및 제지산업에서는 주로 원료용으로 사 용되고 있다.
해외의 제지산업에 대한 지리적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한편, 제지산업에 대한 지리적 연구는 주로 해외에서 이루어졌다. 해당 산업이 발달한 스웨덴이나 미국, 캐나다 등의 펄프 및 제지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입지선정 및 입지변동에 관심을 둔 지리 학계의 연구가 그것이다(Lindberg, 1953; Hunter, 1955; Hayter, 1978). 이밖에 경제사적 관점으로 북유럽 및 일본의 펄프 및 제지산업에 대한 논의 에서 산업의 분포를 부분적으로 다룬 연구가 있고 (Järvin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순철, 2001, 종이 역사, 예진. 

  2. 김순철, 2007, 종이 역사 II, (주)포장산업. 

  3. 김유진, 2010, 국내 펄프가격 중기전망에 따른 국내 제지산업의 수익성 변화, 하나금융경영연구소. 

  4. 김정숙.장영진, 2011, "서울시 연탄제조업의 입지 특성과 정부 정책의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2), pp.216-230. 

  5. 김창규, 2014, 제지와 함께한 70년, 신아출판사. 

  6. 김청, 2001, 종이.판지 이야기, (주)포장산업. 

  7. 무림, 1997, 좋은 종이 40년: 무림제지 이야기, 성인문화사. 

  8. 문남철, 2004, "전북지역 자동차산업 입지와 지역산업 실태 및 발전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 261-281. 

  9. 산업자원부, 1998, 제지공정별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기획연구, 산업자원부. 

  10. 신동소, 1980, "제지산업의 원료 확보 전망," 제지계 128, pp.22-27. 

  11. 신혜영.장영진, 2011, "대전.충청권 타올 산업 연계의 공간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58-376. 

  12. 윤승락.조헌정, 2001, "펄프화법의 개요," 조헌정.윤병호.전양.이학래, 펄프.제지공학, 선진문화사, pp. 59-64. 

  13. 이수열, 2017, "식민지 시기 신의주의 일본 제지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7, pp.71-101. 

  14. 이승삼, 1966, "제지계야화 시리이즈 1," 제지계 69, pp.65-68. 

  15. 이유집, 1979, "한국근대제지사화 10," 제지계 121, pp.37-44. 

  16. 이유집, 1980a, "한국근대제지사화 13," 제지계 125, pp.56-60. 

  17. 이유집, 1980b, "한국근대제지사화 14," 제지계 126, pp.53-60. 

  18. 이유집, 1980c, "한국근대제지사초 16," 제지계 128, pp.49-56. 

  19. 이유집, 1993a, "한국근대제지사초 36," 제지계 244, pp.26-30. 

  20. 이유집, 1993b, "한국근대제지사초 37," 제지계 245, pp.30-36. 

  21. 이유집, 1994, "한국근대제지사초 48," 제지계 256, pp.21-30. 

  22. 전광일.류주현.이승철, 2012, "중국 가전산업의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조와 공간적 특징: 청도 하이얼(海爾, Haier) 그룹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2), pp.292-303. 

  23. 전주제지십년사 편찬위원회, 1975, 전주제지십년사. 

  24. 조형균 논문.논설집 간행회, 1987, 종이 30년. 

  25.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6, "펄프.제지산업의 역사 특징과 지구적 의의," 제지계 285, pp.20-25. 

  26. 한국제지공업연합회.한국경제개발협회, 1977, 전국 제지공장 실태조사 보고서: 제지공업의 생산능력에 관한 조사. 

  27. 한국제지연합회, 1984-2016, 종이.판지 및 펄프제조시설 현황. 

  28. 한솔그룹, 2005, 한솔그룹 사십년사. 

  29. 萩野敏雄, 1965, 朝鮮.滿洲.臺灣 林業發達史論, 東京:林野弘濟會, 배재수 편역, 2001, 韓國近代林政史, (주)한국목재신문사. 

  30. Hayter, R., 1978, "Locational decision-making in a resourcebased manufacturing sector: case studies from the pulp and paper industry of British Columbia," Professional Geographer 30(3), pp.240-249. 

  31. Hayter, R., 1997, The Dynamics of Industrial Location: the Factory, the Firm and the Production System,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2. Hunter, H., 1955, "Innovation, Competition and Locational Changes in the Pulp and Paper Industry: 1880-1950," Land Economics 31(4), pp.314-327. 

  33. Jarvinen, J., Ojala, J., Melander, A. and Lamberg, J. A., 2012, The Evolution of Pulp and Paper Industries in Finland, Sweden, and Norway, 1800-2005, in Lamberg, J.-A., Ojala, J., Peltoniemi, M. and Sarkka, T. (Eds.), The Evolution of Global Paper Industry 1800-2050, Springer, pp.19-47. 

  34. Lamberg, J., 2012, The Evolution of Global Paper Industry 1800-2050, Springer, London. 

  35. Lindberg, O., 1953, "An economic-geographical study of the localization of the Swedish paper industry," Geografiska Annaler 35(1), pp.28-40. 

  36. Marchak, P., 2001, "Logging the globe: The changing context for Canadian forestry," The Forestry Chronicle 77(5), pp.854-859. 

  37. Smith, D. M., 1971, Industrial Location: An Economic Geographical Analysis, John Wiley & Sons, New York. 

  38. Takafumi, K. and Tomoko, H., 2012, From the Non-European Tradition to a Variation on the Japanese Competitiveness Model: The Modern Japanese Paper Industry Since the 1870s, in Lamberg, J.-A., Ojala, J., Peltoniemi, M. and Sarkka, T. (Eds.), The Evolution of Global Paper Industry 1800-2050, Springer, pp.135-166. 

  39. Watts, H. D., 1987, Industrial Geography,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