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의 특징
A Study on the Traits of Multicultural Society of Rural Areas in Korea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6 no.4, 2009년, pp.743 - 773  

임형백 (성결대학교) ,  이성우 (서울대학교) ,  강동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multicultural society of rural areas in Korea. USA immigration law permits permanent settlement but Korea immigration law prohibits permanent settlement. USA adopted the territorial principle but Korea adopted the personal(nationality) principle. So a larg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가 서구국가와 다른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는 서구국가와 다른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한국농촌은 결혼이민자에 의하여 다문화사회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결혼이민자 문제가 사회적 이슈와 정책의제로 선정되기 위해서 80~90만의 단기거주노동자와 17만여 명의 결혼이민자, 그리고 2만 여명의 귀화인 등 100만 명이라는 존재와 수적규모를 수단으로 사용하고, 실제 정책의제 선정과 채택 단계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배타적ㆍ전략적 사고를 하게 된다. 둘째, 서구국가의 경우 결혼이민자는 다문화주의와는 거리가 먼 문화적인 병합일 뿐이나 한국농촌에서는 다문화사회의 가장 큰 원인이다. 셋째, 한국의 결혼이민자는 빈곤과 연계된 이주경로와 연결되어 있다.
농촌지역의 국제결혼율은 몇 %를 넘었는가? 한국의 국제결혼율은 2004년 이후 2008년까지 꾸준히 11%를 넘어섰고, 농촌지역의 국제결혼율은 35%를 넘어섰다.1) 2009년 6월 기준으로 함평, 보은, 임실, 단양은 40%를 넘어섰다.
서구에서 다문화주의를 채택한 국가는? 서구에서 다문화주의를 채택한 국가들은 대개 공식이민을 받아들이고 있는 영ㆍ미 계통의 국가들이다. 이들 국가들은 이민자들을 받아들임에 있어서 일정정도의 규제를 통하여, 자국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과 재산을 가진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경기도교육청. (2006). 행정사무감사자료. 

  2. 교육과학기술부. (2008.10).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방안. 교육과학기술부발표자료. 

  3. 교육인적자원부 외 12개 중앙부처 공동발간. (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 통합 지원 대책. 

  4. 김민정, 유명기, 이혜경, & 정기선.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9(1), 159-193. 

  5. 김은미, & 김지현. (2008). 다인종.다민족 사회의 형성과 사회 조직: 서울의 외국인 마을 사례. 한국사회학, 42(2), 1-35. 

  6. 김이선, 김민정, & 한건수.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7. 김이선, 황정미, & 이진영. (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네이선 글레이저(Nathan Glazer). (2009). 우리는 이제 모두 다문화인이다. 서종남.최현미 옮김. 서울: 미래를소유한사람들. 

  9. 라셀 살라자르 파레냐스(Rjacel Salazar Parrennas). (2009). 세계화의 하인들. 문현아 역. 여성문화이론연구소. 

  10. 마르코 마르티니엘로(March Martiniello). (2002).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윤진 옮김. 서울: 한울. 

  11. 법무부. (2009.06).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통계 자료. 

  12.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13. 브루노 레온(Bruno Leone). (1993). 민족주의. 김호성 역. 서울: 인간사랑. 

  14. 설동훈. (2005). 이민과 다문화사회의 도래. 김영기 편. 한국사회론. 전북대학교출판부, 3-23. 

  15. 설동훈. (2009). 한국의 다문화사회 정책: 현재와 미래. 제2회 세계인의 날 기념 이민정책포럼 자료집, 23-43. 

  16. 설동훈, 김현미, & 한건수.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7. 신경섭. (2008). 미국이민법. 서울: 새로운사람들. 

  18. 신용하. (1985). 민족 형성의 이론. 신용하 편. 민족이론. 문학과지성사, 13-58. 

  19. 오윤자, 라휘문, & 외 3인. (2009).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모델 및 발전방안. 공개세미나자료집. 

  20. 외국인정책위원회. (2006.05.26). 제1회 외국인정책회의자료. 

  21.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 외 엮음.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아카데미, 321-349. 

  22. 이순태. (2007). 다문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외국인의 출입국 및 거주에 관한 법제 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3. 이용일. (2007). 이민과 다문화 사회로의 도전: 독일의 이민자 사회통합과 한국적 함의. 서양사론, 92, 219-254. 

  24. 이주연, & 김성일. (2006). 국제결혼이주여성가족의 지역사회와의 갈등양상 및 통합방향. 2006 전국사회학대회 자료집, 241-243. 

  25. 임형백. (2005). 통일 이후에 대비한 안양시의 발전을 위한 시론. 안양학 논총, 5, 195-209. 

  26. 임형백. (2007a). 한국농촌의 국제결혼의 특징. 농촌지도와 개발, 14(2), 471-491. 

  27. 임형백. (2007b). 한반도종단철도와 대륙횡단철도에 의한 아시아 공간구조변화와 안양시의 대응전략. 안양학논총, 7, 313-334. 

  28. 임형백. (2008).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과제: 다문화주의모형과 동화모형의 갈등. 경인행정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1-27. 

  29. 임형백. (2009a).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사회연구, 2(1), 161-185. 

  30. 임형백. (2009b). 한국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다문화사회의 차이와 정책 차별화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1), 51-74. 

  31. 임형백. (2009c).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사회통합을 위한 다층적 접근. 2009 전기사회학대회 미발간자료집. 

  32. 임형백, & 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서울대학교출판부. 

  33. 장미혜, 김혜영, 정승화, 김효정, & 조소영. (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4. 팀 에덴서(Tim Edensor). (2008).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박성일 옮김. 서울: 이후. 

  35. 폴 테일러(Paul C. Taylor). (2006). 인종: 철학적 입문. 강준호 옮김. 서울: 서광사. 

  36. 한건수. (2006). 농촌지역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7. 행정자치부. (2005). 지방자치단체예산개요 참고자료. 

  38. 홍기원, 백영경, 노명우, 이재은, & 정보원. (2006).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39. 홍기혜. (2000). 중국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40. Anderson, B. (1983). Theory of Nationalism an Imagined Communities. London: Verso. 

  41. Higham, J. (1984). Send These To Me: Immigrations in Urban America, rev.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2. Hobsbawn, E. (1991).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programme, myth,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Kymlicka, W (ed.). (2005a). The Rights of Minority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44. Kymlicka, W (ed.). (2005b).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Clarendon Press. 

  45. Kymlicka, W., & He B (ed.). (2005). Multiculturalism in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46. Lieberson, S., & Waters, M. C. (1988). From Many Strands: Ethnic and Racial Groups in Comtemporary America.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47. McConnell, C. R., Brue, S. L., & Macpherson, D. A. (2003). Contemporary Labor Economics (6th ed.). New York: McGraw-Hill. 

  48. NIC(National Intelligence Council)(2008). Global Trends 2025: A Transformed World.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s 2025 Project. (www.dni.gov/nic/NIC_2025_project.html) 

  49. OECD. (2008.06). OECD Health Data 2008. Paris: OECD. 

  50. Phillips, A. (2007). Multiculturalism without Culture.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Piper, N., & Roces M. (2003). Introduction: Marriage ad Migr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in N. Piper and M. Roces (eds.). Wife of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Pub 

  52. Taylor, C. (1994).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A. Cutmann ed.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