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료 종류별 사육수온이 전복 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5 no.2, 2009년, pp.121 - 126  

조성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학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조영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학 해양환경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Two types of feed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at water temperatures of 20 and $23^{\circ}C$, and 23 and $26^{\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복치패에서부터 상품크기까지 성장시키는데 3-4년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정사육수온을 규명하여 사육함으로서 빠른 성장을 이루어 양식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전복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양식생산을 위해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먹이인 건조다시마와 전복용 배합사료 공급시 사육수온이 전복 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복류 양식에서 효율적인 전복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8년 우리나라 전복류 양식 총생산량은 총 5,145 톤으로 2008년 패류양식 총생산량인 약 34만 톤의 2%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가치의 면에서는 전복양식 총생산금액이 약 1,700억원으로 패류양식 총생산금액인 약 3,707 억원의 46%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우리나라 패류 양식업에 있어서 전복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KNSO, 2009). 우리나라 전복양식의 경우 겨울철에는 전복의 사육 및 수질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자연산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 를 주된 먹이로 공급하고 있지만 해조류내의 주요 영양소 함량이 전복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로 하는 요구량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복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겨울철을 제외한 시기에는 자연산 해조류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겨울철에 많이 생산되는 해조류를 미리 준비하여 건조시킨 건미역이나 건다시마를 주로 공급하고 있으나 이들 해조류의 건조나 보관 과정에서 야기되는 영양소 파괴나 불균형으로 인하여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복의 안정적인 양식생산을 위해 무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따라서 전복의 안정적인 양식생산을 위하여 전복용 배합사료의 개발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까지 전복용 배합사료 개발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보고된 바 있으며 (Uki et al., 1986a, b; Mai et al.
2008년 우리나라 전복류 양식 총생산량은 얼마인가? 2008년 우리나라 전복류 양식 총생산량은 총 5,145 톤으로 2008년 패류양식 총생산량인 약 34만 톤의 2%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가치의 면에서는 전복양식 총생산금액이 약 1,700억원으로 패류양식 총생산금액인 약 3,707 억원의 46%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우리나라 패류 양식업에 있어서 전복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KNSO, 2009). 우리나라 전복양식의 경우 겨울철에는 전복의 사육 및 수질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자연산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 를 주된 먹이로 공급하고 있지만 해조류내의 주요 영양소 함량이 전복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로 하는 요구량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복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irginia, USA. 

  2. Bautista-Teruel, M.N., Fermin, A.C. and Koshio, S.S. (2003) Diet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asinina: animal and plant protein sources. Aquaculture, 219: 645-653. 

  3. Britz, P.J. (1996) The suitability of selected protein sources for inclusion in formulated diets for the South African abalone Haliotis midae. Aquaculture, 140: 63-73. 

  4. Cho, S.H., Park, J., Kim, C. and Yoo, J.H. (2008) Effect of casein substitution with fishmeal, soybean meal and crustacean meal in the diet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Aquaculture Nutrition, 14: 61-66. 

  5. Diaz, F., del Rio-Portilla, MA., Sierra, E., Aguilar, M. and Re-Araujo, A.D. (2000) Preferred temperature and critical thermal maxima of red abalone Haliotis rufescens. Journal of Thermal Biology, 25: 257-261. 

  6.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7. Garcia-Esquivel, Z., Monetes-Magallon, S. and Gonzalez-Gomez, M.A. (2007) Effect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fee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content of juvenile green abalone, Haliotis fulgens, fed on a balanced diet. Aquaculture, 262: 129-141. 

  8. Hahn, K.O. (1989) Nutrition and growth of abalone. In: Handbook of Culture of Abalone and Other Marine Gastropods (Hahn, K. O. ed.), pp. 135-156. CRC Press. Florida, USA. 

  9. KNSO (200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SIS Statistical DB, Daejeon, Korea. 

  10. Lee, S. and Park, H.G. (1998) Evaluation of dietary lipid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Aquaculture, 11: 381-390. [in Korean] 

  11. Lee, S., Yun, S.J. and Hur, S.B. (1998a)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Aquaculture, 11: 19-29. [in Korean] 

  12. Lee, S., Lim, Y., Moon, Y.B., Yoo, S.K. and Rho, S. (1998b) Effects of supplemental macroalgae and Spirulina in the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Aquaculture, 11: 31-38. [in Korean] 

  13. Lee, S., Yun, S.J., Min, K.S. and Yoo, S.K. (1998c) Evaluation of dietary carbohydrate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Aquaculture, 11: 133-140. [in Korean] 

  14. Lim, T. and Lee, S. (2003) Effect of dietary pigment sources on the growth and shell color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Aquaculture, 36: 601-605. 

  15. Mai, K., Mercer, J.P. and Donlon, J. (1995a) Comparative studies on the nutrition of two species of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L. and Haliotis discus hannai Ino. III. Responses of abalone to various levels of dietary lipid. Aquaculture, 134: 65-80. 

  16. Mai, K., Mercer, J.P. and Donlon, J. (1995b) Comparative studies on the nutrition of two species of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L. and Haliotis discus hannai Ino. IV. Optimum dietary protein level for growth. Aquaculture, 136: 165-180. 

  17. Naidoo, K., Maneveldt, G., Ruck, K. and Bolton, J.J. (2006) A comparison of various seaweed-based diets and artificial feed on growth rate of abalone in land-based aquaculture system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18: 437-443. 

  18. Uki, N., Kemuyama, A. and Watanabe, T. (1985) Development of semipurified test diets for abalone.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51: 1825-1833. 

  19. Uki, N., Kemuyama, A. and Watanabe, T. (1986a) Optimum protein level in diets for abalone.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52: 1005-1012. 

  20. Uki, N., Sugiura M. and Watanabe, T. (1986b) Requirement of essential fatty acids i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52: 1013-1023. 

  21. Viana, M.T., Lopez, L.M. and Salas, A. (1993) Diet developmen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fulgens evaluation of two artificial diets and macroalgae. Aquaculture, 117: 149-156. 

  22. Yoo, S.K. (1998) Shallow-Sea Culture. 625 pp. Guduk Publishing Co. Busan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