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자가검진 이행정도별 건강신념의 차이와 이행요인
Differences in Health Belief by Compliance Level with Breast Self-Examination and Predictors of BSE among Wome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4, 2009년, pp.472 - 480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health belief by compliance level with breast self-examination (BSE) and the predictors of BSE compliance among women. Metho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163 women were selected for the sample. Data were measured for each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BSE 이행정도를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집단 간에 건강신념변수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BSE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상자별 특성화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규칙적 이행정도를 구분하고 이들 집단 간에 건강신념변수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survey design) 이다.
  • 본 연구는 지난 6개월 간의 BSE 이행정도를 규칙적 이행집단, 불규칙적 이행집단, 불이행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집단 간에 예방적 건강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건강신념 변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BSE 이행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BSE 이행정도를 지난 6개월간의 규칙적 이행집단, 불규칙적 이행집단, 불이행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집단 간에 여성들의 BSE 이행에 영향을 주는 동기적 인지적 요인으로 알려진 건강신념이(Marcus et al., 1997)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본 연구결과는 BSE 이행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대상자에 맞는 특성화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미지역과 한국에서의 유방암 발병의 차이는? 국내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는 유방암은 폐경기 이후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구미지역과 달리 한국에서는 2007년 신규 유방암 진단환자의 15.5%가 20-30대, 66.5%가 40-50대로 나타나(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유방암이 비단 중년 혹은 노년기 여성의 건강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여성의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는 것은? 국내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는 유방암은 폐경기 이후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구미지역과 달리 한국에서는 2007년 신규 유방암 진단환자의 15.5%가 20-30대, 66.
유방암 진단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기발견이 중요한 암 중 특히, 유방암은 병기 1기 이내에 발견되면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므로 조기발견의 절박함이 더하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유방촬영술, 전문가의 유방검진 및 유방자가검진(breast self-examination, BSE)이 활용되고 있다(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9). 이중 전문가 유방 검진은 젊은 여성들이 꺼리는 경향이 있고, 유방촬영술은 1-2년에 한 번, 만 40세 이상에게 권장되는 것으로(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9) 2007년 국내 신규 유방암 진단환자의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nett, J. J. (2000). Optimistic bias in adolescent and adult smokers and nonsmokers. Addictive Behaviors, 25(4), 625-632. 

  2. Becker, M. H., Maiman, L. A., Kirscht, J. P., Haefner, D. P., & Drachman, R. H. (1977).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diction of dietary compliance: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8(4), 348-366. 

  3. Champion V. L. (1985).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determining frequency of breast self examinatio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8(4), 373-379. 

  4. Champion, V. L. (1993). Instrument refinement f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Nursing Research, 42(3), 139-143. 

  5. Champion, V. L., & Skinner, C. S. (2003).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risk, benefits, and barriers by stage of mammography adoption. Journal of Women's Health, 12(3), 277-286. 

  6. Champion, V. L., & Springston, J. (1999). Mammography adherence and beliefs in a sample of low-income African America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6(3), 228-240.? 

  7. Chung, B. Y., Byun, H. S., Kim, K. D., & Kim, K. H. (2008).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8(2), 120-127. 

  8. Elmore, J. G., Armstrong, K., Lehman, C. D., & Fletcher, S. W. (2005). Screening for breast cancer.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10), 1245-1256. 

  9. Erblich, J., Bovbjerg, D. H., & Valdimarsdottir, H. B. (2000). Psychological distress, health beliefs, and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3(3), 277-292. 

  10. Fung, S. Y. (1998).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behavior among Chinese women in Hong-Kong.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3(3), 233-243. 

  11. Green, B. B., & Taplin, S. H. (2003). Breast cancer screening controversies.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16(3), 233-241. 

  12. Hur, H. K., & Park, S. M. (2004). Difference of decisional balance and confidence in the stage of adoption for breast self exam in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3), 493-501. 

  13. Hur, H. K., Park, S. M., & Kim, G. Y. (2004). Factors related to the stage of mammography screening in married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1), 72-81. 

  14. Jirojwong, S., & MacLennan, R. (2003). Health beliefs, perceived self-efficacy, and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Thai migrants in Brisban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3), 241-249. 

  15. Katapodi, M. C., Lee, K. A., Facione, N. C., & Dodd, M. J. (2004). Predictors of perceived breast cancer risk an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risk and breast cancer screening: A meta analytic review. Preventive Medicine, 38(4), 388-402. 

  16.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9). Common knowledge for breast cancer. Retrieved July 17, 2009, from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Web site: http://www.kbcs.or.kr 

  17. Lauver, D., & Angerame, M. (1988).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Cancer Nuring, 11(1), 51-57. 

  18. Lee, E. H., Kim, J. S., & Song, M. S. (2002).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with Korean women. Cancer Nursing, 25(5), 391-395. 

  19. Lee, Y. W., & Lee, E. H. (2001). Predicting fa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4), 551-559. 

  20. Lee, Y. W., Lee, E. H., Shin, K. B., & Song, M. S. (2004).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in their health beliefs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the perform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2), 307-314. 

  21. Lu, Z. J. (1995). Variable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Chinese women. Cancer Nursing, 18(1), 29-34. 

  22. Ludwick, R., & Gaczkowski, T. (2001). Breast self-exams by teenagers: Outcome of a teaching program. Cancer Nursing, 24(4), 315-319. 

  23. Marcus, B. H., Goldstein, M. G., Jette, A., Simkin-Silverman, L., Pinto, B. M., Milan, F., et al. (1997). Training physicians to conduct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Preventive Medicine, 26, 382-388. 

  24. Mikhail, B. I., & Petro-Nustas, W. (2001). Transcultural adaptation of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3(2), 159-165. 

  2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The analysis of patient with cancer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7). Retrieved June 10, 2009, from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eb site: http://stat.mw.go.kr/ 

  26. Nahcivan, N. O., & Secginli, S. (2007). Health beliefs related to breast self-examination in a sample of Turkish women. Oncology Nursing Forum, 34(2), 425-432. 

  27. Nekhlyudov, L., & Fletcher, S. W. (2001). Is it time to stop teaching breast self-examinatio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4(13), 1851-1852. 

  28. Seo, Y. O. (2003). The difference of wom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education after education for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dult Academy of Nursing, 15(1), 5-13. 

  29.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Allyn & Bacon. 

  30. Wagle, A., Komorita, N. I., & Lu, Z. J. (1997). Social support and breast self-examination. Cancer Nursing, 20(1), 42-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