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내지봉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land Signal-fire in Chosu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8 no.6, 2009년, pp.47 - 64  

윤재웅 (대구가톨릭대 생활복지주거학과) ,  이철영 (울산과학대학 공간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nland signal-fire which is the main facility of military protective duty for safety of land in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Five types of site plan of signal-fire were observed, which is circle, oval, rectang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봉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조선시대 봉수는 노선에 따라 직봉(直烽)과 간봉(間烽)으로 구분되며, 성격에 따라 경봉수(京烽燧)·내지봉수(內地烽燧)·연변봉수(沿邊烽燧)로 구분된다.1)이중 내지봉수는 연변봉수와 경봉수를 연결하는 육지 내륙봉수로서 복리봉화(腹裏烽火)라고 불리기도 한다.
조선시대 봉수망이 정비된 시기는 언제인가? 조선시대 봉수망이 정비된 것은 조선전기인 세종 5년(1423)2월, 병조의 요청에 따라 남산에 봉화 5소를 설치한 것을 계기로 다섯 개 노선이 운영되면서부터다. 이 때 연변봉수와 경봉수를 연결하는 내지봉수도 대부분 축조되어지게 된다.
봉수유적의 문화제 지어 관리 되는 사례가 적음으로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봉수유적은 전통 문화유산 중에서도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문화재로 지정·관리되는 사례가 적은 편이다. 그 결과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도적인 보호장치도 갖지 못한 상황에서 방치되거나 지방자치단체의 무분별한 복원공사의 대상이 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輿地圖書, 大東地志, 增補文獻備考 

  2. 車相瓚, 朝鮮史外史, 明星社, 1947 

  3. 수원시, 華城城役儀軌上, 新丘文化社, 1977. 

  4. 손영식, 전통과학건축, 대원사, 1996. 

  5. 李元根, 烽燧槪說, 韓國의 城郭과 烽燧 下,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1991 

  6. 金周洪, 慶尙地域의 烽燧(II), 實學思想硏 究23, 毋岳實學會, 2002 

  7. 김주홍외, 韓國의 烽燧, 눈빛, 2003. 

  8. 김주홍, 한국의 연변봉수, 한국학술정보(주), 2007 

  9. 이철영, 조선시대 봉수군의 주거에 관한 연구-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6권 제6호, 2005 

  10. 이철영, 조선시대 연변봉수의 배치형식 및 연대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5권 5호, 2006 

  11. 이철영, 조선시대 동해안지역 연변봉수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7권 2호, 2008. 

  12. 圓寂山烽燧臺保存會, 梁山圓寂山烽燧臺精密地表調査報告, 1991. 

  13. 忠北大湖西文化硏究所, 忠州周井山烽燧臺發掘調査報告書, 1997. 

  1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고양시의 역사와 문화유적(학술조사총서 제3집), 1999. 

  15.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城南天臨山烽燧發掘査報告書(학술조사총서 제12집), 2001 

  16.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宜寧彌陀山城試掘調査報告書, 2003 

  17. 慶南文化財硏究院, 山淸笠巖山烽燧臺地表調査結果報告, 2006. 

  18.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晋州廣濟山烽燧臺(학술연구보고서 第47冊), 2006. 

  19. 경남고고학연구소, 固城天王岾烽燧試掘調査報告書, 2007. 

  20. 우리문화재연구원, 昌寧餘通山烽燧臺遺蹟(학술조사보고 5책), 2007. 

  21. 忠北大中原文化財硏究院, 청주 것대산봉수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자료,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