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 일부 지역 초등학교의 정상 아동과 비만 아동 간의 식습관 및 비만 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Food Habit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betwee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2, 2009년, pp.143 - 156  

홍선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  김영아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eneral environment, life style, dietary behavior and food habit between the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number of subject was 98 obese children, 347 normal children. General characteristi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 시내 일부 지역에서 아동 비만이 발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인 7~11세에 해당되는 초등학생 1학년부터 4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반 환경 조사와 식행동 및 식습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상 아동군과 비만 아동군으로 나누어 비만 관련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비만 아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자 기대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 시내 일부 지역에서 아동 비만이 발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인 7~11세에 해당되는 초등학생 1학년부터 4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반 환경 조사와 식행동 및 식습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상 아동군과 비만 아동군으로 나누어 비만 관련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비만 아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자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비만은 여러 성인병과의 관련성으로 인하여 현대 사회에서 문제시 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칼로리의 양과 소비하는 칼로리 양의 불균형으로 체내에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되는 상태라 정의하고 있다(Nam & Lee 2006, Kim et al 2000, Jo KJ 2004). WHO에서는 비만은 만성적 질병이며 현재 널리 퍼져 있는 질병이라 인식하고 있다(WHO 2000).
비만 아동은 성인이 된 후 어떤 질병이 발현될 수 있는가? 특히 아동 비만의 경우에는 성인 비만과는 달리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모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 자체도 더 심하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비만 아동의 경우는 성인이 된 후에 심혈관 질환, 당뇨, 기타 만성질환 등의 질병이 발현될 가능성이 크며, 성인이 되기 전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등에 걸릴 위험이 크다(Dietz et al 1998). 아동 비만의 경우에는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뚱뚱하다 여기며 고민하는 정서적인 스트레스가 동반되면서 정상 아동보다 학교 생활 적응도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도 아동 비만의 예방 및 치료는 시급하다고 생각된다(An & Park 2006).
비만 아동이 성인보다 증상도 심하고 치료의 어려움도 있는 이유는? 특히 아동 비만의 경우에는 성인 비만과는 달리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모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 자체도 더 심하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비만 아동의 경우는 성인이 된 후에 심혈관 질환, 당뇨, 기타 만성질환 등의 질병이 발현될 가능성이 크며, 성인이 되기 전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등에 걸릴 위험이 크다(Dietz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 ES, Park HS (2006) Research on school adaptability and the mental-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verweight children. J Korean Society for Child Physical Education 7: 43-62. 

  2. Dietz WH (1997) Periods of risk in childhood for the development of adult obesity-what do we need to learn. Americas Society for Nutritional Sciences 127: 1884S-1886S 

  3. Dietz WH (1998)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youth.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01: 518-525. 

  4. Guo SS, Roche AF, Chumlea WC, Gardner JD, Siervogel RM (1994) The predictive value of childhood body mass index values for overweight at age 35 y. Am J Clin Nutr 59: 810-819. 

  5. Guo SS, Wu W, Chumlea WC, Roche AF (2002) Predicting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hood from body mass index valu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m J Clin Nutr 76: 653-658. 

  6. Hong CH, Hwang SW, Hyun IS (2003) Relationship of adolescent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and childhood obesity in high school student in Jeju island.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113-125. 

  7. Jeong WS, Lee HS, Park UI (2005)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obesity improvenment by changing the living habits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of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 125-134. 

  8. Jo KJ (2004) The research study on the food habi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Food Culture 19: 106-117. 

  9. Joo EJ, Park ES (1998) Effect of and obese index on breakfast and snack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487-496. 

  10. June YB, Lee KY, Park TJ, Ha SJ, Moon HJ, Son YW (2006) The parental control over their child's weigh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being overweight or obese. J Korean Oriental Association for Study of Obesity 15: 37-43. 

  11. Kang YJ, Hong CH, Hong YJ (1997)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30: 382-839. 

  12. Kim EK, Lee AR, Kim JJ, Kim MH, Kim JS, Moon HK (2000) The differnce of biochemical ststus dietary habits and dietary behaviours according to the obesity degree obese children.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6: 161-170. 

  13. Kim HA (2004) Comparison of normal weight vs obese children in terms of family factors eating and sociocognitive facto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ts 10: 300-310. 

  14. Kim HS, Kim HL, Hong SC (2002) The prevalence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n Jeju city. J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7: 66-80. 

  15. Kim KA, Kwun IS, Kwon CS (2001) Potential real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yungbuk area. Korean J Nutr 34: 664-670. 

  16.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Cause of death. 

  17. Kwon HK, Kim YO, Lee YH, Kwon SK, Cho BK, Kim YN (1999) A study on pattern of between school children of Kwachon-city. J Korea Acad Dent Health 23: 113-125. 

  18. Lee HS, Jeong WS, Park UI (2003) The dietary behavior of obese and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maternal guidance for their dietary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831-839. 

  19. Lee JC, Kim MH (2005) A study on dietary related factor and blood parameters of obese children residing in Samcheok.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 190-204. 

  20. Lee JR, Park CM (2004) Study on an actual condition and relevant factors of obesity of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35-54. 

  21. Lee KM, Mun JM (2004) A study on obese realities and factor analysi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2: 31-60. 

  22. Lee MY, Kim SK, Chang KJ (2002)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lifestyle and blood lipid profile of obese children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803-813. 

  23. Lee SS (2004)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heir preference for fast food.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 204-213. 

  24. Lee TY, Lee JH, Kwon KH, Shin ES, Kim SY, Nam HS (2006)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of Daejeon city.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 37-51. 

  25. Lee YJ(2000)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related among of obese children in Inchon. MS Thesis Inha university Inchon. 

  26. Lee YJ, Jang KJ (1999) A comparative study of obese children and children on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tion 4: 504-511. 

  27. Nam JH, Lee MY (2006) The study of food habit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Yangju city K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and Nutr 19: 153-160. 

  28.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food hibits and life 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Kyeonggi province. Korea J Community Nutrition 5: 586-597. 

  29. Park J, Ryu SY, Lee CG, Ann HO, Park YB, Park SK, Moon KR, Yang ES, Rho YI, Bae HY (1998) The associated factors with obesity in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7: 134-141 

  30. Ramachandran A (2002) Prevalence of overweight in urban Indian adolescent school children. Diabetes Res Clin Pract 57: 608-615. 

  31. Richard JD, Christine LW (2001) Obesity Research: The health lssue 9: 239S-243S. 

  32.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Korea J Community Nutrition 9: 566-577. 

  3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34.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1998) Standard of physical growth for Korean infants and adolescence 

  3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Survey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36. Wang SK (2007) Pravalence of obesity food habits and daily nutrition intakes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 in Daejeon. J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e 16: 631-642. 

  37. WHO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n WHO Consultation Technical report serious No 894: 1-256. 

  38. You JS, Choi YJ, Kim IS, Jang KJ, Chyun JH (1997)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eating habits and life styles of 5th grade students in Inch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13-22. 

  39. Yu OK, Cha Y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obesity assessment method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Jeonju. Korea J Human Ecology 9:8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