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기호식품섭취와 어린이기호식품정책과의 관련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Policy based on Special Act on Safety Control of Children's Dietary Lif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2, 2019년, pp.106 - 116  

우태정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유지혜 (창원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children's favorite foods intak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olicy environmen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afety Control of Children's Dietary Life for suggesting a supportive policy strategy. Methods: The subjects were 4th grade students (n=1,638)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한 연구결과들은 아동의 바람직한 기호식품섭취와 식생활 환경 조성에 더 유용하고 실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 수립 방향의 근거 자료가 될 것이며, 아동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기호식품 섭취 현황 및 어린이기호식품관련 정책이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에 미치는 관련을 분석하여 어린이기호식품 관련정책 수립 방향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현황 및 어린이기호식품 정책과 아동의 기호식품섭취 관련성을 분석하여 어린이기호식품 정책 수립 방향을 제언하고자 수행하였다. 식품과 건강관련 정책은 대상자의 식품선택과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에 해당되며 가이드라인, 마케팅, 법규 등을 포함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현황 및 어린이기호식품 정책과 아동의 기호식품섭취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어린이 기호식품 정책 수립 방향을 제언하고자 수행하였다. 서울, 대구, 대전, 경기, 충남, 전북,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47개교, 2,407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1,638명(남아 791명, 4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 식생활 정책을 통해 효과적인 건강증진 결과를 낳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어린이기호식품정책에 대한 인지도, 유용성, 구매의향, 교육경험은 기호식품섭취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중요한 결과로 여겨진다. 아동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주로 음식을 섭취하고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교육 등을 받고 있으므로 정책을 통해 효과적인 건강증진 결과를 낳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를 연계한 적극적인 정책기반 중재사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아동들에게 권장되는 식행동이나 충분히 섭취해야 할 식품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식생활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된다면 아동의 바람직한 식습관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식품과 식품광고의 증가로 아동을 스스로 식품을 선택하는 주체자로 대두되는 변화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무엇인가? 맞벌이 부모의 증가, 간편식품의 다양화 및 접근성 증가, 외식비율 증가, 아동의 사교육 활동 증가 등으로 인해 아동의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낳고 있는데, 특히 아동의 용돈 증가나 아동을 주 타깃으로 하는 식품과 식품광고의 증가 등은 아동을 스스로 식품을 선택하는 구매의 주체자로 대두시키고 있다[1, 2].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정부에서는 2003년을 어린이 안전 원년으로 선포하고 2007년에는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하였으며, 2008년에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여 2009년부터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2].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서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환경 조성과 영양관리를 위해 학교 주변의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지정, 고열량·저영양 식품과 정서저해 식품의 판매 금지, 광고의 제한 및 금지,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성분 표시 도입 및 품질인증제도 도입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은 무엇인가?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에 관한 정책은 정부, 지역사회, 학교 등 여러수준에서 시행될 수 있는데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과 이에 따른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은 국가수준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2008년에 제정되어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은 아동에게 유익한 식생활 환경조성을 위한 사항을 규정하여 아동들의 올바른 식생활실천을 돕고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제정된 법이다[14]. 이 법에 따라 정부 부처 및 각 시도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4): 453-463. 

  2. Kim HR. An overview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policy for children and tasks ahead.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0;161: 27-36. 

  3. Na EY. Children and adolescents as respondents to advertising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sanctions. Korean Journal Consumer Advertising Psychology 2006; 7(1): 131-163. 

  4. Cassady D, Vogt R, Oto-Kent D, Mosley R, Lincoln R. The power of policy: a case study of healthy eating among children. Am J Public Health 2006; 96(9): 1570-1571. 

  5. Cullen KW, Thompson DI. Texas school food policy changes related to middle school a la carte/snack bar foods:potential saving in kilocalories. J Am Diet Assoc 2005; 105(12): 1952-1954. 

  6.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3rd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6. p. 31-49, 198. 

  7. Kim YJ, Han SN.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to unhealthy food outlets within residential district and obesity: using data from 2013 Census on Establishments and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5): 463-476. 

  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pecial act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style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9[cited 2016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9. Kim BR.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Assoc Pract Arts Educ 2009; 21(4): 19-33. 

  10. Cho EA, Lee SK, Heo GJ.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69-179. 

  11. Kang HS, Lee NH, Lee EJ, Cho SH. Consumption and perception of high caloric, low nutrient dense food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J Korean Diet Assoc 2012; 18(3):234-247. 

  12. Koo HJ, Kim SY. Analysis of purchasing behaviors of processed foods in 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2): 1929-1936. 

  13. Lee MS, Kim JH, Lee BS, Lee YN, Son SM, Lee JW.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 Paju: Kyomunsa; 2017. p. 164. 

  14. Hong JI, Jeong HS.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Korean J Culinary Res 2012; 18(5): 176-189. 

  15. Kim HY, Pae MK.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snack preference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smartpho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1): 40-52. 

  16. Heo GJ, Nam SY, Lee SK, Chung SJ, Yoo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226-242. 

  17. Vader AM, Walters ST, Harris TR, Hoelscher DM. Television viewing and snacking behaviors of fourth- and eighth-grade schoolchildren in Texas. Prev Chronic Dis 2009; 6(3): A89. 

  18. Lee GO. A content analysis of food advertising on children's television: examination of food advertising regulation issues. Korean J Broadcast Telecommun Res 2010; 10:41-69. 

  19. Rothschild ML. Carrots, sticks, and promi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health and social issue behaviors. J Mark 1999; 63(4): 24-37. 

  20. Tate EB, Unger JB, Chou CP, Spruijt-Metz D, Pentz MA, Riggs N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high calorie, low nutrient food intake: mediating effects of child-perceived adult fast food intake. Health Educ Behav 2015; 42(2): 163-170. 

  21. Te Morenga LA, Howatson AJ, Jones RM, Mann J. Dietary sugars and cardiometabolic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s on blood pressure and lipids. Am J Clin Nutr 2014; 100(1): 65-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