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함초 식이의 피부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Diet on the Acne Ski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5, 2009년, pp.750 - 760  

임미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 ,  강상모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함초 섭취 유무에 따른 혈청 지질, testosteron, DHT, 미네랄, WBCSOD 등을 측정하고 피부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함초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항균, 항균 및 항염 작용, 체내 남성 호르몬 간섭에 의한 피지 분비 저하 작용 등을 확인하여 함초가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액 지표 검사 결과, 혈청 total cholesteroltriglyceride 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후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WBC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 항산화 지표인 SOD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함초의 지질 감소에 의한 피지 감소 작용, 염증 반응 감소에 의한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중 미네랄 농도의 경우 함초환 복용군에서 함초 식이 후 Ca, K, Fe 및 Zn이 함초 식이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이들 미네랄의 증가로 인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여드름 피부가 개선될 수 있음 역시 확인하였다.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경우, 블랙헤드 모공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 얼굴 중앙 및 우측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 유분량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이마 및 볼, 코, 턱 및 눈 밑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 상태 역시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함초 식이 후 이마, 볼, 코 및 눈 밑에서의 시험 후 pH가 5.12~5.36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정상 피부 상태인 약산성 pH에 가까워진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함초 식이 시 피부에서의 미생물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함초의 여드름 균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여드름 단계 역시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가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후 여드름 등급이 유의하게 낮아져 여드름 피부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함초는 함초 내에 포함된 미네랄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의 항염, 항균 및 항산화작용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유분, 각질 및 블랙헤드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pH를 저하시켜 여드름 등급이 낮아지는 종합적인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arious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including antioxidative function, antibio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effect of sebiparous reduction due to intervention of the DHT hormon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erum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 염증 개선의 정도를 파악하는 대표적 지표인 여드름 피부에서 함초가 갖는 염증 완화와 피부 개선 효과를 인체를 대상으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체계화된 인체 적용 시험의 예비 시험 자료로 사용되고, 향후 함초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의 개발 활성화에 이바지 하고자 임상을 실시하였다.
  • 이들 ROS는 주위세포의 막지질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를 유발하고, 단백질을 분해하며, DNA를 공격하여 세포사멸을 야기한다(McCord JM 1978). 따라서 이러한 ROS에 의한 여드름 부위 조직 손상을 억제하는 항산화능을 함초가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시험에서는 ROS 제거능을 갖는 체내 SOD(superoxide dismutase)를 측정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백혈구는 여러 원인에 의해 증가될 수있는데 특히 전 염증 단계에서 생성되는 cytokine이 백혈구의 분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Yoon WS 2006). 본 연구에서는 염증 지표 중의 하나로 백혈구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체내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 반응이 감소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는 어떻게 발생되는가? 여드름은 체내에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어 피지가 생성되고, 모공의 각화가 유발되어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미세면포가 형성되고,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부 모공이 막히게 되면 피부 상재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가 증식하게 되어 polymorphonuclear leukocyte(PMNL)를 화학적으로 유인하여 염증을 유발시켜 발생한다(Hwang KW 2006). 이러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현재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 안드로겐제를 비롯한 스테로이드 제제와 retinoid, 항균제, 항산화제이며 prostaglandin 합성 저해제인 ibuprofen(Coates et al 2002) 등이 사용된다.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현재 무엇이 사용되고 있는가? 여드름은 체내에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어 피지가 생성되고, 모공의 각화가 유발되어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미세면포가 형성되고,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부 모공이 막히게 되면 피부 상재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가 증식하게 되어 polymorphonuclear leukocyte(PMNL)를 화학적으로 유인하여 염증을 유발시켜 발생한다(Hwang KW 2006). 이러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현재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 안드로겐제를 비롯한 스테로이드 제제와 retinoid, 항균제, 항산화제이며 prostaglandin 합성 저해제인 ibuprofen(Coates et al 2002)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의 부작용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최근에는 여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을 찾거나 기존 약제의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으면서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아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Swanson JK 2003).
함초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항균, 항균 및 항염 작용, 체내 남성 호르몬 간섭에 의한 피지 분비 저하작용 등을 확인하여 이것이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혈액 지표 검사 결과, 혈청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후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WB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지표인 SOD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함초의 지질 감소에 의한 피지 감소 작용, 염증 반응 감소에 의한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중 미네랄 농도의 경우 함초환 복용군에서 함초 식이 후 Ca, K, Fe 및 Zn 이 함초 식이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이들 미네랄의 증가로 인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여드름 피부가 개선될 수 있음 역시 확인하였다.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경우, 블랙헤드 모공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 얼굴 중앙 및 우측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 유분량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이마 및 볼, 코, 턱 및 눈 밑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상태 역시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함초 식이 후 이마, 볼, 코 및 눈 밑에서의 시험 후 pH가 5.12~5.36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정상 피부 상태인 약산성 pH에 가까워진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함초 식이 시 피부에서의 미생물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함초의 여드름 균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여드름 단계 역시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가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후 여드름 등급이 유의하게 낮아져 여드름 피부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함초는 함초 내에 포함된 미네랄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의 항염, 항균 및 항산화작용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유분, 각질 및 블랙헤드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pH를 저하시켜 여드름 등급이 낮아지는 종합적인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n YG, Kim SK, Shin CS, Min JH (2002) Inhibitory effects of wax gourd extract on melanin formation and acne-forming bacterial growth. Korean J Food Nutr 15: 137-143. 

  2. Behrens WA, Madere R (1991) Vitamin C and Vitamin E status in the spontaneously diabetes BB rat before the onset of diabetes. Metabolism 40: 72-76. 

  3. Coates P, Vyakmam S, Eady EA, Jones CE, Cove JH, Cunliffe WJ (2002) Prevalence of antibiotic-resistant propioni-bacteria on the skin of acne patients: 10-year surveillance data and snapshot distribution study. British J Dermatol 146: 840. 

  4. Cho YC, Ahn JH, Jeon SM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Medical Corp Sci 10: 93-99. 

  5. Choi IW (2000) Clinical study on acne. Korea J App Sci 13: 140-151. 

  6. Chon SM, Jo YC, Ahn JH, Lee KS, Bae TJ, Kang DS (2007)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 145-152. 

  7. Chun KH, Lee CJ, Houh W (1981) The effect of zinc sulfate in acne vulgaris. Korean J Dermatology 19:175-181. 

  8. El SN, Karakaya S (2004) Radical scavenging and iron-chelating activities of some greens used as traditional dishes in Mediterranean diet. Int J Food Sci Nutr 55: 67-74. 

  9. Han SK, Kim SM, Pyo BS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on the lipid oxida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46-49. 

  10. Hwang KW (2006) Treatment of acne. Korea J Med Assoc 49: 63-64. 

  11. Im SA, Kim GW, Lee CK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 components. Nat Prod Sci 9: 273-277. 

  12. James E, Fulton Jr, Elizabeth B (2002) Clearing acne. p 48. 

  13. Jain A, Basal E (2003). Inhibi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mediators of inflammation by Indian herbs. Phytomedicine 10: 34-38. 

  14.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 Crop Sci 10: 93-99. 

  15. Jung YS (2002) The research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Salicornia herbacea extract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new cosmetic materials. MS Thesis Kyungsan University, Kyungbuk, p 27, p 56-59. 

  16. Kim EJ (2009) The effect of seaweeds scaling and glycolic acid peeling on the acne and the hyperpigmentatio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p 21. 

  17. Kim HJ, Bae KH, Lee HJ, Eun JB, Kim MK (1999). Effect of hesperidin extracted from tangerine peel on Cd and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137-149. 

  18. Kim MW (2007)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t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ition 40: 5-13. 

  19. Kligman AM, Katz AG (1968) Pathogenesis of acne vulgaris. Archives of Dermatology 98: 53-37. 

  20. Kritchevsky D (1988) Dietary fiber. Annu Rev Nutr 8: 301-328. 

  21. Masataka Y, Keiko M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22. McCord JM (1978) The biology and pathology of oxygen radicals. Ann Interd Med 89: 122-127. 

  23. Michaelsson C, Juhlin L, Valquist A (1977) Effects of oral zinc and vitamin A in acne. Arch Dermatol 133: 31-36. 

  24. Min JG, Lee DS, Kim TJ, Park DI (2002)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J Food Sci Nutr 7: 105-107. 

  25. Moon SJ (2005) Influence of the improvement on acne skin with the essential oils, clinical demonstration with lavender, teatree, chamomile roman oil on treatment of skin. MS Thesis ChoongAng University, Seoul, p 43. 

  26. Lee DS, Min JG (1999) Analysis report of composition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e L.).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7. Oh HJ (2007) Obesity and trace mineral. Medical Postgraduates 35: 25-27. 

  28. Park MS (2009) A comparison between the acne skin and the sensitive skin in sebum, moisture, the potential of hydrogen, and elasticity in female college studyents.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p 19. 

  29. Park SH. Kim KS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30. Pedro M, Jean BR, Elizabeth M, Ludovic D, Vanina B, Jean F (2002) Prevalence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southwestern Fr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inflammatory and hemostatic marker. Diabetes Care 25: 1371-1377. 

  31. Rosenfield R (2001)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insulin-resistant hyperinsulinemia. J Am Acad Dermatol 45: s95-104. 

  32. Shin HW (2009) The effects of retinol on the Keratosis pilaris, master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 41-42. 

  33.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2002)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34. Swanson JK (2003) Antibiotic resistance of Propionibacterium acnes in acne vulgaris. Dermatol Nursing 15: 359. 

  35. Yoon WS (2006) Association between white and red blood cell counts in peripheral blood and metabolic syndrome. MS Thesis Kosin Medical College, Busan, p 32. 

  36. Cunliffe WJ, Collinick H (2001). Acne; Diagnosis and management. London, Dunitz Ltd. 

  37. Webster GF, Leyden JJ (1980) Characterization of serum independent polymorphonuclear leukocyte chemotactic factors produced by P. acnes. Inflammation 4: 261-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