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ZnO 분말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Glass 기판위에 증착한 Zn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Glass Thin Films Grown by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with a Powder Target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8 no.5, 2009년, pp.394 - 401  

선정호 (조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강현철 (조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ZnO 분말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glass 기판 위에 증착한 Zn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소결된 ZnO ceramic target을 사용하는 보통의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ZnO 분말 target을 사용하였다. ZnO 박막은 wurtzite (0002) 우선배향면으로 성장하였다. 초기의 ZnO 박막은 매우 평평한 층구조로 증착되었고,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섬구조로 전이하였다. 400-1000 nm 광원에 대하여 평균 88% 이상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220 nm 시편의 경우, 3.23 eV의 near bandedge emission 흡수단을 측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ports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glass thin films grown by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with a powder target. In contrast to ZnO ceramic target typically used, a ZnO raw powder target was sputtered in this study. ZnO grew with the (0002) preferred orient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분말형 ZnO target을 이용하여 glass 기판 위에 증착한 Zn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상온에서 ZnO 박막을 증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0002) 우선성장방향을 갖는 결정질 박막으로 성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ZnO ceramic target 대신 사용한 ZnO 분말 target의 RF magnetron sputtering 증착법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Glass 기판위에 증착한 Zn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inc Oxide는 어떤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Zinc Oxide (ZnO)는 3.37 eV의 bandgap 에너지(Eg)와 상온에서 60 meV의 exciton 결합에너지 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다 [1-6]. 또한 나노와이어, 나노점, 나노벽 등 저차원 나노구조체로 제작되었을 때, 기존의 bulk 상태에서 보고된 광학적, 전기적 특성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임으로서 ZnO 나노구조체를 적용한 field-emission-transistor [7],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8], gas sensor [9] 등 신기능 전자소자로의 활용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ITO(Indium Tin Oxide, In2O3-SnO2)박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n2O3-SnO2)박막으로서 광학적, 전기적 특성(면저항<10 Ω/□, 가시광투과도>80%)이 매우 우수하다 [10-12]. 하지만 사용되는 원료 재료인 In이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낮아 제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열처리가 제한적이다(<500℃). 아울러 높은 원료 단가로 인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ITO 투명전극의 대체 재료로서 ZnO 박막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3,14].
투명전극은 어떤 물성이 요구되는가? ZnO의 응용 가능성 중 하나는 바로 투명전극이다. PDP, LCD, OLED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TFT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투명전극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광투과도(optical transmittance), 낮은 저항(resistivity), 그리고 우수한 박막 표면 거칠기(roughness)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n2O3-SnO2)박막으로서 광학적, 전기적 특성(면저항<10 Ω/□, 가시광투과도>80%)이 매우 우수하다 [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V. A. Coleman and C. Jagadish, Zinc Oxide Bulk, Thin Films and Nanostructures-Process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s edited by C. Jagadish, S. Pearton (Elsevier, Amsterdam, 2007), Ch. 1 

  2. S.-S. Park, J.-M. Lee, S.-J. Kim, S.-W. Kim, M.-S. Yi, S.-H. Kim. S. Maeng, and S. Fujita, Nanotechnology 19, 245708 (2008) 

  3. S. Komura, D. Kim, S. Wakaiki, and M. Nakayama, J. Kor. Phys. Soc. 53, 38 (2008) 

  4. D. S. Park, J. H. Yu, J. H. Kim, T. S. Jeong, and C. J. Youn, J. Kor. Phys. Soc. 53, 3250 (2008) 

  5. 김준제, 박준용, 김홍승, 이원재, 조채룡, Sae Mulli 58, 471 (2009) 

  6. Y.-S. No, D.-H. Park, T.-W. Kim, J.-W. Choi, and W.-K. Choi, J. Kor. Vac. Soc. 18, 213 (2009) 

  7. W.-K. Hong, J. I. Sohn, D.-K. Hwang, S.-S. Kwon, G. Jo, S. Song, S.-M. Kim, H.-J. Ko, S.-J. Park, M. E. Welland, and T. Lee, Nano Lett. 8, 950 (2008) 

  8. J.-H. Lim, C.-K. Kang, K.-K. Kim, I.-K. Park, D.-K. Hwang, and S.-J. Park, Adv. Mater. 18, 2720 (2006) 

  9. H. T. Wang, B. S. Kang, F. Ren, L. C. Tien, P. W. Sadik, D. P. Norton, and S. J. Pearton, Appl. Phys. Lett. 86, 243503 (2005) 

  10. Ray Swati, R. Banerjee, N. Basu, A. K. Batabyal, and A. K. Barua, J. Appl. Phys. 54, 3497 (1983) 

  11. C. Cuillen, J. Herrero, Thin Solid Films 510, 260 (2006) 

  12. S. H. Cho, Y. J. Hong, C. G. Son, Y. G. Han, Y. H. Jeong, G. C. Gwon, B. H. Hong, G. S. Cho, and E. H. Choi, J. Kor. Vac. Soc. 18, 54 (2009) 

  13. A. Yamada and B. Sang, M. Konagai, Appl. Surf. Sci. 112, 216 (1997) 

  14. M. N. Islam, T. B. Ghosh, K. L. Chopra, and H. N. Acharya, Thin Solid Films 280, 20 (1996) 

  15. N. M. Sbrockey and S.i Ganesan, III-Vs Review 17, 23 (2004) 

  16. K. Matsubara, P. Fons, K. Iwata, A. Yamada, K. Sakurai, H. Tampo, and S. Niki, Thin Solid Films 431-432, 369 (2003) 

  17. J.-C. Lee, Y.-D. Kim, P.-K. Song, J.-H. Lee, Y.-S. Kim, and C.-S. Son, J. Kor. Phys. Soc. 53, 416 (2008) 

  18. K. C. Park, D. Y. Ma, and K. H. Kim, Thin Solid Films 305, 201 (1997) 

  19. K. Wasa and S. Hayakawa, Handbook of sputter deposition technology (Noyes Publications, Westwood, 1992) 

  20. S. H. Seo and H. C. Kang, submitted (2009) 

  21. L. G. Parratt, Phys. Rev. 95, 359 (1954) 

  22. S. K. Sinha, Phys. Rev. B 38, 2297 (1988) 

  23. B. E. Warren, X-ray Diffraction (Addison-Wesley Pub. Co, 1969) p. 253 

  24. I. W. Kim and K.-M. Lee, Nanotechnology 19, 355709 (2008) 

  25. E. A. David and N. F. Mott, Philos. Mag. 22, 903 (1970) 

  26. 김덕규, Sae Mulli 56, 143 (2008) 

  27. S.-K. Kwon, D.-W. Kim, Y.-H. Jung, and B.-J. Lee, J. Kor. Phys. Soc. 55, 99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