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각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ACLT and FIM, MMSE-K, and MFT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9, 2009년, pp.287 - 294  

이상헌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상지기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38명으로 인지기능은 알렌인지주순검사(Allen Cognitive Level Test) 와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creening Exam-Korea)로, 일상생활활동은 기능적독립성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로, 뇌졸중 상기 기능은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로 검사하였다.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알렌인지수준과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기능적독립측정, 뇌졸중 상기기능검사 간에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p<.05). 본 연구에서는 알렌인지수준 검사와 일상생활활동과의 상관성 및 인지평가도구로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고 편마비 환자 적용에 있어 문제의 가능성과 이에 따른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CLT(Allen Cognitive Level Test) and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MFT(Manual Function Test). 38 elderly persons with stroke were recruit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is us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독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덧붙여 국내에서 알렌인지수준검사와 타당성이 제시된 한국형간이 정신상태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병 행하였다.
  • 감독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덧붙여 국내에서 알렌인지수준검사와 타당성이 제시된 한국형간이 정신상태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병 행하였다.
  •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는 환즉 상지의 운동 기능 손상을 평가하고 재활 과정에서 가능 회복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데 목적이 있다 8개의 영역과 3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은 가능하면 1점, 불가능하면 0점으로 처리한다.
  • 감독 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덧붙여 알렌인지수준검사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및 뇌졸중 상지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였다. 인지기능평가 도구인 알렌인지수준검사와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인 기능적독립성즉정의 모든 항목 간에는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였다(p<05).
  • 알렌인지수준 과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하여 기능적 독립성 측정 점수에 따른 도움, 보조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면 환자의 재활을 위한 치료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28]. 따라서 본 연구는 알렌인지수준검사와 기능적 독립성 측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알렌인지수준에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지도 . 감독 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알렌인지수준검사와 기능적독립성측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지도 . 감독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감독 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타당도가 제시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검사와 기능적독립성측정 간에 상관관계 분석을 하고 알렌인지수준에 따른 기능적독립측정의 점수 분포 분석를 통하여 일상생활활동 수행 시 지도 . 감독 및 보조의 양, 수행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상지기능장애가알렌인지수준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위하여 부가적으로 뇌졸중 상지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이성란, 권혁철,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 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지, 제10권, 제3호, pp.42-51, 2003. 

  2. 김장락, 홍대용, 박성학, " 혈관질환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대한예방의학회지, 제21 권, 제5호, pp.669-678, 1995. 

  3. L. T. Carter, B. E. Howard, and W. A. Oneil, "Effectiveness of cognitive skill remedia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Am J Occup Ther, Vol.37, pp.320-326, 1983. 

  4. T. Filiatrault, A. B. Aresenault, and E. Dutil,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s: A study of three tests for persons with hemiplegia," Am J Occup Ther, Vol,45, pp.806-810, 1991. 

  5. L. Mercier, T. Audet, K. Nakamure, S. Higuchi, and Y. Motohashi, "Physical Performance Tests After Stroke: Reliability and Validity," Arch Phys Med Rehabil, Vol.79, No.3, pp.253-259, 2001. 

  6. M. Zwecker, S. Levenkrohn, Y. Fleisig, G. Zeilig, A. Ohry, and A. Adunsk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ognitive FIM Instrument, and the Lowei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Relation to Functional Outcome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Vol.83, pp.342-345, 2002. 

  7. 서문자, 편마비 환자의 퇴원 후 적응상태와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적 요구, 서울대학교, 1998. 

  8. 이제홍, 유종윤, 성인영, "뇌졸중 환자에서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과 기능적 회복과의 상관관계"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576-582, 1996. 

  9. T. W. McAllist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affective disorder," Compr Psychiatry, Vol.22, pp.527-586, 1981. 

  10. T. K. Tatemichi, D. W. Desmond, and Y. Stern,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pattern, and relationship to functional abilities. J. Neurol Psychiatry, Vol.57, No.2, pp.202-207, 1994. 

  11. 정진화, 송창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시지각 기능 및 상지 운동기능간의 상관성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6호, pp.251-264, 2005. 

  12. 이재신, 이택영, 이지연, 유은영, 최신작업치료학 개론, 탑메디오피아, 2004. 

  13. C. K. Allen,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Little Brown, 1995. 

  14. C. K. Allen, Allen Cognitive Level(ACL) Test: Test. S&S/Worldwide, 1990. 

  15. A. D. Henry and K. Moore, M. Quinlivan, and M. Triggs, "The relationship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to damographics, diagnosis, and disposition among psychiatry inpatients," Am J Occup Ther, Vol.52. No.8, pp.638-643, 1998. 

  16. E. P. McAnaname, M. L. Rogosin-Rose, E. A. Scott, R. T. Joffe, and M. Kelner, Discharge planning in mental health: The relevance of cognition to community living. Am J Occup Ther, Vol.53, No.2, pp.129-35, 1999. 

  17. D. I. Velligan, J. E. True, R. S. Lefton, T. C. Moore, and C. V. Flores, "Valid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s Assessment: a tri-ethnic comparision," Psychiatry Res, Vol.56, pp.101-109, 1995. 

  18. 임혜원, 안종국, "뇌졸중 환자의 기능평가도구인 MBI와 FIM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pp.41-51, 1993. 

  19. 홍순탁, 박형숙, 정은순, "IM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가능상태 평가에 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창간호, pp.73-82, 1998. 

  20. M. F. Folstein, S. E. Folstein, and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Vol.12, pp.189-198, 1975. 

  21. 소희영, 주경옥, 정미하, 김혜영, "시 노인의 인지 기능", 재활간호학회지, 제7권, 제22호, pp.179-186, 2004. 

  22. 최승원, 안창일, 김용희, "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잔류 인지문제 판단의 타당도 연구: K-MMSE와 K-MMAS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3 호, pp.547-564, 2003. 

  23. Lewis, Elder Care in Occupational Therapy. Slack Incorporated, 2003. 

  24. 정희, 조경자, 신정비, "뇌졸중 환자의 지각기능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21-127, 1990. 

  25. 김금순, 노국희, "재가 뇌졸중 환자의 환경상태, 기능적 독립, 질병으로 인한 장애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권, 제5호, pp.143-154, 2005. 

  26. 전은영,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 상태(FIM) 및 가정간호 요구도 분석", 재활간호학회지, 제8 권, 제2호, pp.149-15, 2005. 

  27. 황수진, 이수영, 이정아, "노인에게 있어서 Berg 균형척도, Timed Up & Go 검사, 기능적 독립평가 (FIM)의 상관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 11권, 제1호, pp.27-33, 2004. 

  28. O. Hwang and K. Cho, "Transl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FIM instrument and Guide," Kor J Rehabil Nurs, Vol.4, No.2, pp.232-239, 2001. 

  29. D. I. Velligan, C. C. Bow-Thomas, and R. Mahurin, A. Miller, A. Dassori, and E. Fernando, "Co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s Assessment," Psychiatry Res, Vol.80, pp.287-298, 1998. 

  30. D. Voydetch, M. Jensen, B. Sigford, and J. Mehr, Relationaship between the Allen Cognitive Levels and the Rancho Los Amigos Cognitive Level, Brain Injury Association Conference, 2002. 

  31. S. N. Lee, A. Gargiullo, S. Brayman, and J. C. Kisney, H. C. Jones, and M. Shotwell, "Adolescent performance on the Allen Cognitive Levels Screen," Am J Occup Ther, Vol.57, No.3, pp.342-346,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