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증이 거의 없는 새로운 모세혈액 채혈기법인 진공자동채혈법(vacuum assisted auto-lancing)의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전형적인 대체부위인 전완(팔) 부위에서 채혈하여 측정한 혈당값을 표준 채혈부위인 정맥 및 손가락에서 채혈하여 측정한 혈당값과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C대학교병원을 내원한 53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왼손 집게손가락 끝과 왼쪽 전완 부위에서 말초혈액의 혈당을 측정하였고, 곧바로 정맥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전완 부위 혈당 평균값이 손가락보다 정맥 혈당값에 더욱 가까웠으나 이들 간의 차이는 약 10 mg/dL 범위에 불과하여 임상적으로는 동일한 값들로 볼 수 있었다. 측정값들 간에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손가락과 정맥 채혈의 혈당값 간의 상관계수는 0.94, 전완 부위와 정맥 혈당값 간의 상관계수는 0.92, 또한 전완 부위와 손가락 채혈 간의 상관계수는 0.94로 모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따라서 대체부위인 전완 부위 혈당검사의 정확도가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손가락 혈당검사는 상당한 채혈 통증이 수반되어 당뇨 환자들이 자가 검사를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되지만, 전완 부위에서 진공자동채혈하면 통증이 거의 없으므로 만성 당뇨환자들의 자가 질환관리를 위해 매우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blood glucose test with almost painless vacuum assisted auto-lancing technique.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ments in the capillary blood sampled from the alternative (forearm) site we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venous or finger s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에 참여한 피검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표 1 참조), 성 비율이 크게 불균형을 이루지 않았고 다수의 비만자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상호 임상적 연관 관계가 있는 당뇨병 및 고혈압 환자들도 일부(약 20%) 포함되어 있었던 바, 본 연구의 목적 달성에 적합한 실험군이었다. 당뇨 및 고혈압 환자들의 수가 다소 작아서 고혈당 값들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측정된 혈당값의 범위가 정상값의 약 4배에 달하는 최대 400 mg/dL까지 넓었던 바, 본 연구 자료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소형 자가 혈당측정기의 기본 원리는 당의 효소반응 결과로 생성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다[15]. 혈구가 포함되는 전혈을 시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임상병리학에서 기준이 되는 시료인 혈장보다 부피가 커 검사결과가 10-15% 정도 낮게 나온다[16].
  • 당뇨환자의 경우 하루 최소 3회 내지 4회 정도의 자가 혈당측정을 권고하고 있지만, 채혈통증으로 인해 검사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통증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체부위인 전완 부위에서의 채혈을 통해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에 있어, 측정한 혈당값의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수의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정맥과 손가락, 전완 부위에서 혈당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 채혈방법인 손가락 및 정맥 채혈하여 수행한 혈당검사의 혈당값과 대체부위인 전완 부위에서 채혈하여 측정한 혈당값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채혈 부위에 따른 혈당값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완 부위 혈당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함으로써 당뇨 환자들에게 채혈통증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혈당검사시 채혈통증을 제거하는 것은당뇨병의 자가관리를 개선하고 치료이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검사를 통해 가능한 것은? 당뇨병 관리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이 자가 혈당검사(blood glucose test)로써 매일 공복시를 포함하여 일 3~4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당검사는 일상생활 중 혈당 수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측정된 혈당값에 기초하여 생활습관을 교정함으로써 질환관리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매우 필수적이고 중요한 검사이다[4]. 그러나 박석원 등이 시행한 당뇨병 관리실태 조사에 의하면 약 55%의 당뇨환자들만이 설문조사에 응하였고, 이들 중 약 35%만이 자가 혈당검사를 수행한다고 하였다[5].
혈당검사시 통증을 최소화하는 기법 중 하나인 대체 부위를 통한 채혈 기법을 보편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대체부위로는 흔히 팔 안쪽 부위, 전문 용어로 전완(forearm) 부위를 채택하며, 본 연구팀에서는 거의 통증없이 채혈할 수 있는 진공자동채혈법(vacuum assisted auto-lancing technique)을 개발한 바 있다[11]. 그러나 전완 부위와 같은 대체부위에서 채혈하여 수행하는 혈당검사를 보편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혈당 측정값의 정확도가 보장되어야만 한다.
당뇨병의 치료이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2%로 보고하고 있으나[2], 당뇨병으로 진단받고도 질환관리를 하고 있지 않거나 당뇨병이지만 아직 진단받지 못한 환자들을 포함할 경우 훨씬 높은 유병율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유병율이 높은 당뇨병의 치료이행에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발 간호 등이 있으며 잘 관리되는 경우에는 건강한 정상인에 가까운 생활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3]. 당뇨병 관리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이 자가 혈당검사(blood glucose test)로써 매일 공복시를 포함하여 일 3~4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영건, 김응진, 신순현, "한국인 당뇨병의 역학적 연구", 대한당뇨병학회, 제3권, 제1호, pp. 34-72, 1976. 

  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nual statistics of Health insuranc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 2002. 

  3.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제2판, 고려의학, pp.303-308, 2006. 

  4. J. S. Skyler,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Med. Clin. North Am., Vol. 66(4), pp. 1227-1250, 1993. 

  5. 박석원, 김대중, 김재용, 김화영, 민경완, 백세현, 박이병, 박정현, 손현식, 안철우, 오지영, 이준영, 정춘희, 최경묵, "전국표본조사에 의한 우리나라 당뇨병 관리실태", 제 19차 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pp.227-228, 2006. 

  6. 최자윤, "당뇨환자와 일반인의 혈당검사 방법별 지각된 통증정도에 대한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7호, pp. 928-935, 2003. 

  7. R. M. Cowett, & L. D'Amico, "Capillary (Heelstick) versus venous blood sampling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neonate", Biol Neonate, Vol. 62, pp. 32-36, 1992. 

  8. D. P. Barker, & N. Rutter, "Exposure to invasive procedur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Arch Dis Childhood, Vol. 72, pp. 48-49, 1995. 

  9. N. McIntosh, L. van Veen, & H. Brameyer, "Alleviation of the pain of heel prick in preterm infants", Arch Dis Childhood, Vol. 70, pp. 177-181, 1994. 

  10. D. D. Cunningham, T. P. Henning, E. B. Shain, D. F. Young, T. A. Elstrom, E. J. Taylor, S. M. Schroder, P. M. Gatcomb, & W. V. Tamborlane, "Vacuum-assisted lancing of the forearm: an effective and less painful approach to blood glucose monitoring", Diabetes Techno. Ther, Vol. 2, pp. 541-548, 2000. 

  11. 박미숙, 박경순, 김경아, 전명희, 김태임, 이태수, 차은종, "전완부위 최소통증 채혈을 위한 진공 자동 채혈기법", 대한의용생체공학회지, 제25권, 제6호, pp. 557-563, 2004. 

  12. A. J. Brenneman, & D. G. Purcell, "Vacuum assisted lancing device" U.S. Patent No. 6,152,942, 2000. 

  13. 김동균, 원종화, N. P. Sergey, V. M. Viacheslav, E. C. Evgenii,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무혈 혈당측정에 관한 기초연구",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2권, 제1호, pp. 3-6, 1998. 

  14. R. W. Waynant & V. M. Chenault, "Overview of non-invasive fluid glucose measurement using techniques to maintain glucose control in diabetes millitus", LEOS newsletter, Vol. 12(2), pp. 3-6, 1998. 

  15. J. G. Webster(Eds.), "Encyclopedia of medical devices and instrumentation" Vol. 3. Canada: Glucose sensors, John-Wiley & Sons Inc. 1988. 

  16. E. K. Paul, S. W. Ruth, & B. N. John, Carbohydrates: In henry JB editor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by laboratory methods" pp. 214, WB Saunders, 2001. 

  17.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nsensus statement on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Diabetes Care, Vol. 10, pp. 95-99, 1987. 

  18. K. Jungheim & T. Koschinsky, "Glucose monitoring at the arm: Risky delays of hypoglycemia and hyperglycemia" Diabetes Care, Vol. 25(6), pp. 956-960, 2002. 

  19. K. Jungheim & T. Koschinsky, "Risky delays of hypoglycemia detection by Glucose monitoring at the arm", Diabetes Care, Vol. 24(7), pp. 1303-1304, July, 2001. 

  2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nsensus statement on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Diabetes Care, Vol. 17, pp. 81-86,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