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of Car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5, 2009년, pp.673 - 682  

이애란 (원광보건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model which explains factors influencing caring behavior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were the mothers who ha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사회인지이론을 기초로 하여 장애 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 모형을 위한 개념적 기틀을 구축하였다. 사회인지이론에서 환경적 특성, 개인의 인지적 ∙ 정서적 ∙ 생물학적 사건으로서의 내적 요인과 행동은 상호의존적 인과구조로써 서로 쌍방으로 영향을 주는 결정인자인 것으로 설명된다(Bandura, 1997).
  • 이에 어머니는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가진 자녀를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보온, 운동과 휴식, 영양섭취, 청결과 위생, 치아관리,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등의 행위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머니의 돌봄 행위에 대해서 아동의 행동특성, 사회적 지지, 객관적 부담감과 양육 자존감이 어떤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어머니의 돌봄행위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아동의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어머니의 돌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통합적 모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써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어머니, 사회적 요인들을 종합하여 모형을 구축한 후 타당성을 검증하는 탐색적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의 직 ∙ 간접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돌봄 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자존감이 돌봄 행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가장 강력한 영향 요인이라는 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자존감이 돌봄 행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가장 강력한 영향 요인이라는 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어머니의 양육자존감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정서적, 언어적 반응을 많이 해주고 안전한 놀이 환경을 제공하지만(Harty et al., 2006), 자존감이 낮은 어머니는 아동의 행동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단호한 행동을 보이지 못하고 부정적이며 징계와 벌이나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대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Bor & Sanders, 2004).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어떤 건강 문제를 가지게 되는가? 8%), 그 외 청각, 시각, 언어, 지체, 호흡, 간, 심장, 신장, 장루, 정신, 안면, 간질 장애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Registered disable persons data, 2008).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장애 자체의 문제뿐 아니라 학습수행 능력 및 사회생활 적응기술이 저하되어 자기관리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생, 사고, 전염병, 치아, 영양, 배설, 운동과 휴식, 수면 등의 영역에서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Ayyangar, 2002). 이러한 건강 문제들은 발생한 후에 치료하는 것보다 미리 예방하는 것이 입원, 검사, 치료를 위한 의료비를 절감시키고 아동과 가족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아동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2008년 3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의 수는 얼마인가? 국내에서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2008년 3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은 2,137,226명이고, 0-12세에 속하는 장애아동은 2.0%로써 43,017명에 이르며, 이들 중 정신지체가 15,349명(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yyangar, R. (2002). Heal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childhood disability.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13, 793-821 

  2. Bae, B. R.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oungram Books. 

  3.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9th ed.). New York, NY: W.H. Freeman and Company 

  4. Bor, W., & Sanders, M. R. (2004). Correlates of self-reported coercive parenting of preschool-aged children at high risk for the development of conduct problem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8, 738-745 

  5. Branden, N. (1998). Self-esteem every day: Reflections on self-esteem and spirituality. New York, NY: Simon & Schuster 

  6. Eo, Y. S. (2004). Effects of empowerment program on burden on mothers having a child with cerebral pals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7. Eyberg, S. M., & Robinson, E. A. (1983). Conduct problem behavior:Standardization of a behavioral rating scale with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2, 347-354 

  8. Gibaud-Walls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9. Harty, M., Alant, E., & Uys, C. J. (2006).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perception of child language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with a communication disabilit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3, 144-154 

  10. Hassall, R., Rose, J., & McDonald, J. (2005).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ffects of parental cognitions in relation to child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9, 405-418 

  11. Hastings, R. P., & Symes, M. D. (2002).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Parental therapeutic selfefficac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3, 332-341 

  12.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athology, 18, 167-175 

  13. Kim, C. Y., & Kim, S. M. (2000). RAI-HC Assessment Manual Version 2.0/MDS-HC 2.0. Seoul: Korea Medical Consulting Co 

  14. Lee, A. R. (2004).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a mother who has a child with disabilities: A case study of social net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5. Lee, A. R., & Craft-Rosenberg, M. (2002). Ineffective family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care: A concept analysis of proposed nursing diagnosis. Nursing Diagnosis, 13, 5-14 

  16. Lee, A. R., & Han, K. J. (2007).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maternal behavior for health promo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444-453 

  17. Lee, E. H., & Kim, J. S. (2000). Major effect models of social support and its statistical methods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503-1520 

  18. Lee, I. O. (2007). Development of perceived stigma scale for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Lee, J. H., Kim, H. Y., & Lee, J. H. (2007). A study on maternal stress in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ater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5-12 

  20. Lin, N., Ye, X., & Ensel, W. M. (1999).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 344-359 

  21. Montgomery, R. J., Gonyea, J. D.,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 19-26 

  22. Nelson, A. M. (2002). A metasynthesis: Mothering other-than-normal childre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2, 515-530 

  23. Nettleton, S. (1997).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Cho, H. J., Trans.). Cambridge: Pol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24. Park, J. W. (1985). A study on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Registered disable persons data. (2008, June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September 3, 2008, from http://nsportal.stat.go.kr. htm# National 

  26.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 (1999). InterRAI. Retrieved May 10, 2008, from http://www.interrai.org/section/view/?fnode15 

  27. Sanders,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1, 65-73 

  28. Sim, M. K. (1997). A study on self-esteem, coping type and the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673-682 

  29. Song, J. M. (1992). In the parenting stress situati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o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oung Women’s University, Seoul 

  30. Yang, S. J. (1999).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with physical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238-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