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어머니 건강교육프로그램이 자녀 건강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on Health Care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338 - 346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가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건강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여 효과를 검정한 비동등성 사전사후 대조군 실험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로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6명으로 총 54명이다. 건강교육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 토론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은 주 2회 교육으로 총 4주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전반 2주간은 신체적 건강교육 내용이며, 후반 2주간은 사회심리적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사전, 사후, 추후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repeated measure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 프로그램 적용 후, 그리고 4주후에 따라 건강관리행위 수준은 향상되고,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건강교육프로그램이 대상자의 건강요구에 적합하였고, 건강관리행위 수준 향상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도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건강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to help mother's cope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s health,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 discussion with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험 처치로 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로 진행하였다.
  •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과정의 어려움과 부담을 줄여주고, 아동의 건강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지식과 장애 아동의 신체적, 사회심리적 건강에 대한 적절한 정보 제공 및 지지적인 도움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 향상을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아동의 건강 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 건강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건강관리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연구대상자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로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6명으로 총 54명이다. 건강교육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 토론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은 주 2회 교육으로 총 4주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전반 2주간은 신체적 건강교육 내용이며, 후반 2주간은 사회심리적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발달장애 아동에게 부모의 양육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발달장애 아동은 일상생활 능력 결여, 대인관계 형성 결여 및 만성적인 건강문제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직접 돌보는 부모의 양육역할이 중요하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역할은 정상 아동과 마찬가지로 아동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는 아동 양육의 질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1].
발달장애 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연구에선 어떤 순서로 건강요구를 하는가? 발달장애 아동 양육과정에서 볼 수 있는 흔한 건강문제로는 간질, 심장마비, 알러지 질환, 당뇨병, 비만, 영양문제(변비, 설사, 치아 문제), 골절과 탈구, 우울증, 야뇨, 언어장애, 응급처치 및 약물요법으로 인한 문제 등이 있는데 주로 건강문제를 신체적 장애나 증상 유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7,8]. 장애 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연구에서는 장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습득, 인지발달 및 학업, 대인관계, 행동 및 정서, 감각, 운동, 생리적 변화에 따른 성교육, 배설 및 위생관리, 의료적 관리, 수면, 영양 및 식습관 순으로 건강요구가 있었으며, 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이상 증상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9]. 따라서 발달장애에서 처방되는 약물이나 수술을 비롯한 물리치료,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어머니 대상 건강교육들이 활발히 실시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H. Kim, M.K. Ji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 18, no. 4, pp. 285-305, 2015. DOI: http://dx.doi.org/10.17641/KAPT.18.4.2 

  2. H.J. Shin, The Meaning of Nurturing Experience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Family and Culture, vol. 26, no. 2, pp. 80-125, 2014. 

  3. S.Y. Ahn,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Mothers have on Child Abuse,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 58, no. 1, pp. 219-238, 2015. 

  4. J.M. Levy, Promoting Family Health and Resilience, Exceptional Parent, vol. 33, no. 2, pp. 54-57, 2003. 

  5. H.J. Ju, H.J. Seo, S.H. Bang, B.U. Jeon, A Research Review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6, no. 4, pp. 39-66, 2012. 

  6. S.W. Ha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giving Self-efficacy, Parental Stress and Maternal Sensitivi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2, pp. 145-161, 2011. 

  7. K.Y. Kim, Medical Diagnosis and problem of the developmental delayed chil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8, no. 2, pp. 81-96, 2004. 

  8. H.Y. Kim, J.H. Lee, Experience on Health Care Needs of Moth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 Nursing Science, vol. 16, no. 1, pp. 44-50, 2004. 

  9. Y.R. Han, M.H. Lee, M.R. Bang,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who are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 12, no. 1, pp. 44-56, 2006. 

  10. W.J. Jo, An Empirical Study on the Health Behavior of Adults, [Doctor dissertation], 1986, Seoul; Yonsei University. 

  11. H.J. Ju, C.K. Kim, Survey Research on the Family Health Care : Focusing on the Married Women in Seoul.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3, no. 1, pp. 1-27, 1996. 

  12. R.R. Abidin, Parenting Stress index (PSI): Professional manual, pp 12-125,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13. H.M. Park, A Study on Parental Stress Based on the Parenting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1994, Seoul; Ewha University. 

  14. H.J. Song, J.D. Ok, A Study on State of th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3, no. 1, pp. 179-198, 2014. DOI: http://dx.doi.org/10.15870/jsers.2014.03.53.1.179 

  15. K.B. Kyzar, A.P. Turnbull, J.A. Summers, V.A. Gomez,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to Family Outcomes: A Synthesis of Key Findings from Research on Severe Disability, Research &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 37, no. 1, pp. 31-44, 2012. DOI: http://dx.doi.org/10.2511/027494812800903247 

  16. R. Paul, Behavioral and Family Systems Interventions in Developmental Disability: towards a Contemporary and Integrative Approach,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vol. 28, no. 1, pp. 51-66, 2003. DOI: http://dx.doi.org/10.1080/1366825031000086894 

  17. D.M. Patricia, G.S. Denise, R. Guilbert, F.F. Ralph, W.G. Lawrence, A.M. Douglas, A Meta-analysis of Trials Evaluating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ree groups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32, no. 3, pp. 157-173,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738-3991(97)00037-2 

  18. J.K. Le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ssociated with Feelings of Guilt among Korean Mother of Children with Autism& aspect of Feelings of Guil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vol. 13, no. 1, pp. 149-166, 2013. 

  19. K.S. Oh, Effects of a Social Support Group on Burden and Well-being of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7, no. 2, pp. 389-400, 1998. 

  20. C.J. Dunst, C.M. Trivette, D. Hamby, B. Pollock, Family Systems Sorrelates of the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Handicap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4, pp. 204-218, 1990. DOI: http://dx.doi.org/10.1177/105381519001400303 

  21. K.H. Bae, Y.S. Chu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4, pp. 115-137, 2008. 

  22. D.K. Le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22, no. 2, pp. 161-188, 2013. 

  23. E.M. Cho, S.M. Cheon, Y.S. Lee, The effects of Supportive Group Counseling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Mother of Childre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18, no. 1, pp. 49-71, 2011. 

  24. H.J. Jung, S.S. Kim, Study of Effect that Economic Stress and Depression have on Child Neglect in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Mother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6, no. 3, pp. 257-275. 

  25. H.E. Kim, E.S. Bae, J.H. Jang, J.H. Moon. The Case Study of Network Program for Disabled Children's Family Support. 2014. 

  26. M.K. Kim, I.S. Kwon, Influence of Self Esteem,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Welln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2, no. 1, 2016.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6.22.2.87 

  27. J.P. McGrail, A. Rieger, Coping humor and Family Functioning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58, no. 1, pp. 89-97, 2013. DOI: http://dx.doi.org/10.1037/a0031556 

  28. Y.G. Seo.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198-4211.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