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추출물의 간섬유화 억제활성
Suppressive Activity of Extract of Termialia chebula Retz. on Hepatic Fibrosi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97 - 601  

이현순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구윤창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성상세포(HSC)는 간섬유화와 간경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간손상에 의해 둥근 모양의 간성상세포는 활성화되어 세포외기질(ECM)을 생산하는 myofibroblast와 같은 모양으로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의 특징은 빠른 증식 속도와 collagen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생산이다. 활성화된 간성상 세포의 제거방법은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이다. 가자 추출물은 정상 간세포(rat primary hepatocyte), 간세포주(HepG2) 및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주인 T-HSC/Cl-6에 $1,000{\mu}g/mL$의 농도까지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epatocyte나 HepG2에서는 최고 농도에서도 독성이 없었으나 T-HSC/Cl-6는 U-shape 모양으로 사멸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SC/Cl-6의 사멸이 apoptosis에 의한 것인지를 Annexin-V/PI double staining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apoptosis에 의해 T-HSC/Cl-6의 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HSCs) is known to be responsible for hepatic fibrosis and cirrhosis. When round-shape quiescent HSCs go to activation by liver injury, produc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s increased, and its shape becomes myofibroblast-like shape. The activated HSCs are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의 열수 추출물이 활성화된 HSC의 증식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자 추출물의 간경화 억제활성이 U-shape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과 활성의 본체 및 동물실험을 통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 수행이 필요하나 가자 추출물이 간섬유화 억제 효능이 있으며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자 추출물이 간경화의 주요인자인 활성화된 HSC의 사멸을 유도하여 간섬유화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자는 무엇인가? 사군자과(Combfreetaceae)에 속하는 가자나무(Terminalia chebula Retz.)의 성숙한 열매를 말린 가자(訶子, medicinal terminalia fruit)는 가려늑(訶黎勒), 가리늑(訶梨勒), 수풍자(隨風子), 가리(訶梨), 가려(訶黎)라고 해서 아시아에서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12). 한의학에서는 삽(澁)한 맛과 온(溫)한 약성을 가지며 수렴(收斂), 지혈, 만성 후두염, 후두결핵, 장출혈, 만성자궁염, 이질 등의 치료에 많이 쓰이고 있다(12).
간성상 세포가 간의 섬유화 치료제로서 새로운 표적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만성적인 손상이 지속될 경우, 활성화된 HSC의 빠른 증식과 이에 따른 ECM 즉, collagen의 과다 생산 및 축적으로(7) ECM에 의해서 간세포들이 둘러싸여 결절이 생기게 되고 마침내 병리학적으로 경변(cirrhosis)이 된다. 간에서 약 5% 정도 있는 HSC는 체내 vitamin A의 저장고로서의 역할이 알려졌고(9), 1972년 이들 세포가 간의 섬유화(liver fibrosis) 과정에서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지면서(10) 활성화된 HSC의 증식억제는 간의 섬유화 과정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면서 간의 섬유화 치료제로서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11).
가자 추출물은 어떤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가? 한의학에서는 삽(澁)한 맛과 온(溫)한 약성을 가지며 수렴(收斂), 지혈, 만성 후두염, 후두결핵, 장출혈, 만성자궁염, 이질 등의 치료에 많이 쓰이고 있다(12). 가자 추출물은 항암활성(13), 항당뇨활성(14), 항돌연변이활성(15), 항균활성(16), 충치 예방효과(17)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진에서도 가자 추출물의 활성산소에 의한 간손상 억제 효능이 있음을 in vivo와 in vitro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가자 추출물로부터 얻은 chebulic acid의 항산화 활성과 활성산소에 대한 간보호 활성이 있음을 발표하였다(18,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inzani M, Marra F. Cytokine receptors and signaling in hepatic stellate cells. Semin. Liver Dis. 21: 397-416 (2001) 

  2. Bissell DM, Roulot D, George J.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and the liver. Hepatology 34: 859-867 (2001) 

  3. Friedman SL. Seminars in medicine of the Beth Israel Hospital, Boston. The cellular basis of hepatic fibrosis. Mechanisms and treatment strategies. New Engl. J. Med. 328: 1828-1835 (1993) 

  4. Parsons CJ, Takashima M, Rippe RA. Molecular mechanisms of hepatic fibrogenesis. J. Gastroen. Hepatol. 22: 79-84 (2007) 

  5. Rockey DC. Antifibrotic therapy in chronic liver disease. Clin. Gastroen. Hepatol. 3: 95-107 (2005) 

  6. Kisseleva T, Brenner DA. Role of hepatic stellate cells in fibrogenesis and the reversal of fibrosis. J. Gastroen. Hepatol. 22: 73-78 (2007) 

  7. Vera M, Nieto N. Hepatic stellate cells and alcoholic liver disease. Rev. Esp. Enferm. Dig. 98: 674-684 (2006) 

  8. Moreira RK, Hepatic stellate cells and liver fibrosis. Arch. Pathol. Lab. Med. 131: 1728-1734 (2007) 

  9. Elsharkawy AM, Oakley F, Mann DA. The role and regul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 apoptosis in reversal of liver fibrosis. Apoptosis 10: 927-939 (2005) 

  10. Henderson NC, Iredale JP. Liver fibrosis: Cellular mechanisms of progression and resolution. Clin. Sci. 112: 265-280 (2007) 

  11. Kisseleva T, Brenner DA. Role of hepatic stellate cells in fibrogenesis and the reversal of fibrosis. J. Gastroen. Hepatol. 22: 73-78 (2007) 

  12. Kirtikar KR, Basu BD. Terminalia chebula. Vol. 1, pp. 1020-1023. In: Indian Medicinal Plants. Kirtikar KR, Basu BD (eds). 2nd ed. Lalit Mohan Basu Publications, Allahabad, India (1935) 

  13. Saleem A, Husheem M, Harkonen P, Pihlaja K. Inhbition of cancer cell growth by crude extract and the phenolics of Terminalia chebula Retz. fruit. J. Ethnopharmacol. 81: 327-336 (2002) 

  14. Sabu MC, Kuttan R. Antidiabetic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J. Ethnopharmacol. 81: 155-160 (2002) 

  15. Kaur S, Arora S, Kaur K, Kumar S. The in vitro antimutagenic activity of Triphala-an Indian herbal drug. Food Chem. Toxicol. 40: 527-534 (2002) 

  16. Malekzadeh F, Ehsanifar H, Shahamat M, Levin M, Colwell RR. Antibacterial activity of black myrobalan (Terminalia chebula Retz)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t. J. Antimicrob. Ag. 18: 85-88 (2001) 

  17. Jagtap AG, Karkera SG. Potential aqueous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as an anticaries agent. J. Ethnopharmocol. 68: 299-306 (1999) 

  18. Lee HS, Jung SH, Yun BS, Lee KW. Isolation of chebulic acid from Terminalia chebula Retz. and its antioxidant effect in isolated rat hepatocytes. Arch. Toxicol. 81: 211-218 (2007) 

  19. Lee HS, Won NH, Kim KH, Lee H, Jun W, Lee KW.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in vivo and in vitro. Biol. Pharm. Bull. 28: 1639-1644 (2005) 

  20. Bissell DM, Hammaker LE, Meyer UA. Parenchymal cells from adult rat liver in nonproliferating monolayer culture. I. Functional studies. J. Cell Biol. 59: 722-734 (1973) 

  21. Bonney RJ. Adult liver parenchymal cells in primary culture characteristics and cell recognition standards. In Vitro 10: 130-142 (1974) 

  22. Kim JY, Kim KM, Nan JX, Zhao YZ, Park PH, Lee SJ, Sohn DH. Induction of apoptosis by tanshinone I via cytochrome C release in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Pharmacol. Toxicol. 92: 195-200 (2003) 

  23. Zhao YZ, Kim JY, Park EJ, Lee SH, Woo SW, Ko G, Sohn DH. Tetrandrine induces apoptosis in hepatic stellate cells. Phytother. Res. 18: 306-309 (2004) 

  24. Castagnoli C, Alotto D, Cambieri I, Casimiri R, Aluffi M, Stella M, Alasia ST, Magliacani G. Evaluation of donor skin viability: Fresh and cryopreserved skin using tetrazolioum salt assay. Burns 29: 759-767 (2003) 

  25. Telli C, Serper A, Dogan AL, Guc D. Evaluation of the cytotoxicity of calcium phosphate root canal sealers by MTT assay. J. Endodont. 25: 811-813 (1999) 

  26. Wising C, Azem J, Zetterberg M, Svensson LA, Ahlman K, Lagergrd T. Induction of apoptosis/necrosis in various human cell lineages by Haemophilus ducreyi cytolethal distending toxin. Toxicon 45: 767-776 (2005) 

  27. Elingold I, Isollabella MP, Casanova MB, Celentano AM, Prez C, Cabrera JL, Diez RA, Dubin M. Mitochondrial toxi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 prenylated flavonoid isolated from Dalea elegans. Chem.-Biol. Interact. 171: 294-305 (2008) 

  28. Iredale JP, Arthur MJ. Hepatocyte-matrix interactions. Gut 35: 729-732 (1994) 

  29. Issa R, Zhou X, Constandinou CM, Fallowfield J, Millward- Sadler H, Gaca MD, Scoliman I, Trim N, Knorr A, Arthur MJ, Benyon RC, Iredale JP. Spontaneous recovery from micronodular cirrhosis: evidence for incomplete resolution associated with matrix cross-linking. Gastroenterology 126: 1795-1808 (2004) 

  30. Fu Y, Zheng S, Lu SC, Chen A.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growth of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glutathione synthesis. Mol. Pharmacol. 29: 1465-1473 (2008) 

  31. Yun HS, Do SH, Jeong WI, Yang HJ, Yuan DW, Hong IH, Lee HR, Lee IS, Kim YK, Choi MS, Kim HA, Jeong KS. Cytotoxic effects of the conjugated linoleic acid isomers t10c12, c9t11- CLA, and mixed form on rat hepatic stellate cells and CCl(4)- induced hepatic fibrosis. J. Nutr. Biochem. 19: 175-183 (2008) 

  32. Horani A, Muhanna N, Pappo O, Melhem A, Alvarez CE, Doron S, Wehbi W, Dimitrios K, Friedman SL, Safadi R. Beneficial effect of glatiramer acetate (Copaxone) on immune modulation of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Am. J. Physiol.-Gastr. L. 292: 628- 63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