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겔화 공정과 초임계 건조 공정을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스 구조체 내부에 실리카 에어로겔 합성
The Synthesis of Silica Aerogel in the Macroporous Ceramic Structure by Sono-gel Process and Supercritical Dry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세라믹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47 no.6 = no.331, 2010년, pp.553 - 559  

홍선욱 (재료연구소 엔지니어링세라믹그룹) ,  송인혁 (재료연구소 엔지니어링세라믹그룹) ,  박영조 (재료연구소 엔지니어링세라믹그룹) ,  윤희숙 (재료연구소 엔지니어링세라믹그룹) ,  황기영 (국방과학연구소) ,  이영우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ynthesis behavior of nanoporous silica aerogel in the macroporous ceramic structure was observed using TEOS as a source material and glycerol as a DCCA(dry control chemical additive). Silica aerogel in the macroporous ceramic structure were synthesized through a sono-gel process. The wet gel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실리카 에어로겔의 상용화 연구는 주로 상압건조법(ambient drying method)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정 변수의 확보 차원에서 건조 후 에어로겔의 특성이 우수한 CO2 초임계 건조 공정을 선택하였다. 또한 DCCA(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 첨가제로 glycerol를 사용하여 가수분해 및 중합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한 기공 분포를 가지는 겔을 제조함으로써 다공성 세라믹 내부에 실리카 에어로겔의 복합화 공정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no-gel 공정은 졸-겔 법과 달리 어떤 특징이 있는가? 초음파 합성공정(sono-gel process)은 졸-겔법에 있어서 금속 알콕사이드 용액의 가수분해 및 축중합 반응시 초음파를 걸어주면 겔화반응이 촉진되고, 생성 겔의 특성이 변화되는 것이 Zarzycki 등에 의해 밝혀졌다. 일반 졸-겔 법과는 달리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한 sono-gel9,13) 공정의 특징은 겔화 시간이 짧아진다. 예를 들면 종래의 방법으로 겔화에 수일이 필요한 것이 2~3시간에서 겔화된다.
초임계 건조공정에서 계면장력에 의한 겔의 수축과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제로 연구되고 있는 것은? 38 MPa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 조업이 가능하며,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알콜 및 수계 초임계 건조 공정에 비하여 단순한 공정장치로 인하여 경제적이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저온 초임계 건조 중에 계면장력에 의한 겔의 수축과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DCCA(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 첨가제로서 glycerol를 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의 기공 및 입자크기를 균일하게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12)
실리카 에어로겔은 무엇인가? 실리카 에어로겔(aerogel)은 이산화규소(SiO2) 나노 구조체가 부직포처럼 성글게 얽혀 있어 전체 부피의 98%가 공기로 가득 들어차 있으며 기공 크기가 약 5~50 nm 범위의 메조기공을 갖는 다공체이다.2,3) 나노 기공성 에어로겔은 실리카 수화겔(hydrogel)을 초임계 건조하여 투명성과 낮은 밀도를 갖는 초다공성 실리카 에어로겔을 제조한 이후에 알루미나, 산화티타늄 등 다양한 물질로 합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H. Chae, Y.-W. Kim, I. H. Song, H. D. Kim, and J. S. Bae, “Effects of Template Size and Content on Porosity and Strength of Macroporous Zirconia Ceramics,” J. Kor. Ceram. Soc., 46 [1] 35-40 (2009). 

  2. I. S. Han, J. C. Park, S. Y. Kim, K. S. Hong, and H. J. Hwang, “Fabrication and Network Strengthening of Monolithic Silica Aerogels Using Water Glass,” J. Kor. Ceram. Soc., 44 [3] 162-68 (2007). 

  3. P. H. Tewari, A. J. Hunt, and K. D. Loffus, “Ambient-Temperature Supercritical Drying of Transparent Silica Aerogel,” Mater. Lett., 3 [9-10] 363-67 (1985). 

  4. M. Cantin, M. Casse. L. Koch. R. Jouan. P. Messtran D. Roussel. P. Bonin, J. Moutel, and S. J. Techner, “Silica Aerogels Used as Cerenkove Radiators,” Nucl. Instrum. Meth., 118 177-82 (1974). 

  5. P. H. Tewari. A. J. Hunt, and K. D. Lofftus. “Advances in Production of Transparent Silica Aerogels for Window Glazings,” pp. 31 in Aerogels. ed J. Fricke, springer progress in physics, Springer, Heidelberg, New York, 1986. 

  6. S. D. Bhagat, Y.-H. Kim, Y. S. Ahn, and J. G. Yeo, “Rapid Synthesis of Water-Glass Based Aerogels by In-situ Surface Modification of the Hydrogels,” App. Surf. Sci., 253 3231-36 (2007). 

  7. N. Husing and U. Schubert, “Aerogel-Airy Materials: Chemistry, and Properties,” Angew. Chem. Int. Ed., 37 22-45 (1998). 

  8. A. Soleimani Dorcheh, and M. H. Abbasi, “Silica Aerogl; Synthesis,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J. Mater. Proc. Technol., 199 10-26 (2008). 

  9. J. Zarzycki and L. Esquivias, “Sonogel, An Aternative Method in Sol-gel Processing,”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in Ultrastructure Processing of Ceramics, Ceramics, Glasses and Composite session, San Diego, Feb. 23-7, 1987. 

  10. S. Y. Kim, K. H. Lee, S. Y. Bae, and K.-P. Yoo, “Syntesis of Transparent Hydrophobic Low-Density Silica Aerogel by Modified Two-Step Sol-Gel Processing and Low Temperature Supercritical Drying,” Kor. Chem. Eng. Res., 36 [2] 293-99 (1998). 

  11. A. Venkateswara RaO, G. M. Pajonk, D. Haranath, and P. B. Wagh, “Effect of Glycerol on Monolithicity, Density, Microhardness and Sintering Temperature of TMOS Silica Aerogels,” Micro. Mater., 12 63-9 (1997). 

  12. A. Venkateswara RaO and Manish M. Kulkarni, “Effect of Glycerol Additive on Physical Properties of Hydrophobic Silica Aerogels,” Mater. Chem. Phys., 77 819-25 (2002). 

  13. S. W. Kuk, “A Study o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ica Aerogel,” pp. 9-55,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7. 

  14. D. J. Suh and T. J. Park, “Effect of Aging Conditions on the Pore Structural Properties of Titania Aerogels,” J. Mater. Sci. Lett., 16 490-9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