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conducting metal oxides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gas sensing materials. While zinc oxide is a popular material for such applications, structures such as nanowires, nanorods and nanotubes, due to their large surface area, are natural candidates for use as gas sensors of higher sensitivity. Th...
Semiconducting metal oxides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gas sensing materials. While zinc oxide is a popular material for such applications, structures such as nanowires, nanorods and nanotubes, due to their large surface area, are natural candidates for use as gas sensors of higher sensitivity. The compound ZnO has been studied, due to its 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for use as an n-type semiconducting gas sensor. ZnO has a large exciton binding energy and a large bandgap energy at room temperature. Also, ZnO is sensitive to toxic and combustible gases. The NO gas properties of zinc oxide-single wall carbon nanotube (ZnO-SWCNT)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Fabrication includes the deposition of porous SWCNTs on thermally oxidized $SiO_2$ substrates followed by sputter deposition of Zn and thermal oxidation at $400^{\circ}C$ in oxygen. The Zn films were controlled to 50 nm thicknesses.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 and gas sensing properties were studied for process optimization through comparison of ZnO-SWCNT composites with ZnO film. The basic sensor response behavior to 10 ppm NO gas were checked at different operation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150-300^{\circ}C$. The highest sensor responses were observed at $300^{\circ}C$ in ZnO film and $250^{\circ}C$ in ZnO-SWCNT composites. The ZnO-SWCNT composite sensor showed a sensor response (~1300%)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pure ZnO thin film sensors at an operation temperature of $250^{\circ}C$.
Semiconducting metal oxides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gas sensing materials. While zinc oxide is a popular material for such applications, structures such as nanowires, nanorods and nanotubes, due to their large surface area, are natural candidates for use as gas sensors of higher sensitivity. The compound ZnO has been studied, due to its 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for use as an n-type semiconducting gas sensor. ZnO has a large exciton binding energy and a large bandgap energy at room temperature. Also, ZnO is sensitive to toxic and combustible gases. The NO gas properties of zinc oxide-single wall carbon nanotube (ZnO-SWCNT)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Fabrication includes the deposition of porous SWCNTs on thermally oxidized $SiO_2$ substrates followed by sputter deposition of Zn and thermal oxidation at $400^{\circ}C$ in oxygen. The Zn films were controlled to 50 nm thicknesses.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 and gas sensing properties were studied for process optimization through comparison of ZnO-SWCNT composites with ZnO film. The basic sensor response behavior to 10 ppm NO gas were checked at different operation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150-300^{\circ}C$. The highest sensor responses were observed at $300^{\circ}C$ in ZnO film and $250^{\circ}C$ in ZnO-SWCNT composites. The ZnO-SWCNT composite sensor showed a sensor response (~1300%)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pure ZnO thin film sensors at an operation temperature of $250^{\circ}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후)다 공성의">다공성의 SWCNT에 증착한 후 산화공정(rheotaxial growth and thermal oxidation, RGTO)을 통해 ZnO-SWCNT 복합체를 제작하여 NO 가스의 감지 특성을 보았다. 또한, 나노구조 박막과 복합체 나노구조의 감지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ZnO-SWCNT 복합체의 고성능 NO 가스센서용 소자로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크방전법으로 합성된 SWCNT 템플레이트 위에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과 산화공정을 통하여 ZnO-SWCNT 복합체를 제작하여 NO 가스에 대한 건조공기 분위기에서의 가스감지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제안 방법
탄소나노튜브 증착과 열 산화공정에 따른 박막과 복합체의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결정구조는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라만 분석(Raman spectroscopy)을 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스퍼터링(sputtering)방법으로 균일한 금속 Zn박막을 다공성의 SWCNT에 증착한 후 산화공정(rheotaxial growth and thermal oxidation, RGTO)을 통해 ZnO-SWCNT 복합체를 제작하여 NO 가스의 감지 특성을 보았다. 또한, 나노구조 박막과
후)마그네트론스퍼터를">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이용하여 막대형의 백금(Pt) 전극을 형성하였다. 그 후에 기판을 아크방전 챔버 내의 음극부에 위치시켜 합성과 동시에 기판에 SWCNT 가 증착 되도록 하였다.
">제거 하였다.7) 아연 박막의 증착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아연 금속막을 50 nm 두께로 증착 하였다. 99.
스퍼터링 공정은 아르곤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 증착 후 전기로를 사용하여 RGTO (rheotaxial growth and thermal oxidation) 방식으로 400℃에서 N2와 O2의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산화시켜 산화아연 금속막(ZnO thin film)과 산화아연-단일 벽탄소나노튜브 복합체(ZnO-SWCNT composite)를 제작하였다. 탄소나노튜브 증착과
제작된 복합체의 감도특성은 반응가스 노출에 따른 저항변화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후)저항 변화는">저항변화는 KEITHLY 2400(DC bias voltage source current measure application)을 이용하여 건조공기(dry air) 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유량을 500 sccm 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150℃, 200℃,250℃, 300℃의
후)저항 변화는">저항변화는 KEITHLY 2400(DC bias voltage source current measure application)을 이용하여 건조공기(dry air) 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유량을 500 sccm 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150℃, 200℃,250℃, 300℃의 온도변화를 주어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산화아연박막, 산화아연-단일벽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NO 가스에 대한 감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비교하였다. 센서 감도(sensor response, S)는 가스반응 후 저항(Rg)과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서는 두께가 300 nm인 SiO2 절연층이 형성된 5 mm × 5 mm 크기의 p형 Si 기판 위에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99.999%의 순도를 가진 아연 타겟을 이용하였으며, 공전 전 압력을 2 × 10−6 torr로 유지시킨 후 증착 공정을 수행하였다.
절연층이 형성된 5 mm × 5 mm 크기의 p형 Si 기판 위에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Fig.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이용하여 막대형의 백금(Pt) 전극을 형성하였다. 그 후에 기판을 아크방전 챔버 내의 음극부에 위치시켜 합성과 동시에 기판에 SWCNT 가
후)촉매 금속(Ni,">촉매금속(Ni, Fe, Mo)을 채운 흑연봉을 소스로 하여 450 torr H2의 수소분위기에서 150 A/cm2의 아크방전 전류로 합성하였고, 함께 증착 된 비정질의 탄소는 정제과정을 통해 제거 하였다.7)
성능/효과
후)아연금속막(a)과">아연금속 막(a)과 산화아연 박막(b), 그리고 탄소나노튜브와의 복합체(c)의 X-선 회절 분석과 라만 분석(d)을 나타낸 것이다. 관찰된 모든 X-선 회절 피크들은 격자상수 a = 0.325 nm와 c = 0.521 nm 인 육방 wurtzite ZnO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3(b)).
후)감소하는">감소 하는 반면에 박막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복합체의 경우 최적 작동온도는 250℃로 1300%의 감도를 보이며 박막(260%)과 비교하여 5 배 감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아연 박막에서 300℃까지 최대 감도에 다다르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ZnO-SWCNT 복합체는
후)감도 변화를">감도변화를 보여준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스의 흡착 반응성 또한 증대되어 센서의 감도가 향상되고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
6(b)에 나타내었다. 5회에 걸친 반복 테스트 결과 1300%의 비교적 안정된 감도를 보이며 센서의 우수한 반복 특성 및 안정성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5회에 걸친 반복 테스트 결과 1300%의 비교적 안정된 감도를 보이며 센서의 우수한 반복 특성 및 안정성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복합체 센서는 최대감도 온도에서 11초의 빠른 반응시간과 비교적 느린 회복시간(240초)을 보였다. 이는 복합체의 구조적인 특성에서 비롯된 높은
후)달려 있다는">달려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ZnO-SWCNT 복합체 센서가 보다 넓은 유효 표면반응 면적을 가짐으로써 통상적 구조인 박막 센서보다 높은 감도와 낮은 작동온도 특성을 나타내 NO 가스에 대한 감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후)가스감지 특성을">가스감지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작동온도 250℃에서 산화아연 박막과 비교하여 5배 높은 감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작동온도, 높은 감도 특성과 더불어 빠른 응답시간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후)응답 시간을">응답시간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를 템플레이트로 활용하여 가스에 대한 유효 표면반응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센서의 감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0 ppm의
후속연구
후)산화 알갱이가">산화알갱이가
고르게 배열되어 있었다. 이는 산화아연 입자의 조밀한 구조가 갖는 약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화아연 계 가스센서의 가스감도가 주로 활성층의 미세구조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였을 때 표면적의 증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가스감도와 낮은 작동온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Fig. 2(c)).
후)표면 반응">표면반응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센서의 감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0 ppm의 농도범위에서 1300%의 안정된 반복특성을 보임으로서 낮은 작동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안전한 NO 가스 센서제작에 복합체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직접적으로 시사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계 가스센서의 문제점은?
한편,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구조적으로 표면 대 체적의 비(surface-to-volume ratio)가 크기 때문에 가스 표면 반응의 유효면적이 넓고 따라서 가스 감지체로서 유망하다고 기대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계 가스센서는 상온에서 뛰어난 감도를 나타내지만 가스반응이 불안정하고 비가역적이며 제작 공정이 복잡한 점 등의 해결해야 될 문제점들이 많다.5,6)따라서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하여 재료의 가스감지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었다.
가스센서란?
가스센서는 주위가스환경에 혼재되어있는 특정가스의 존재여부와 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소자를 총칭한다. 1962년 세이야마(Seiyama)1)에 의해 산화아연 박막에서 가스감지 효과를 처음으로 발견한 이래로 반도성 금속산화물은 가스센서용 감지체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반도성 금속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가스센서의 장단점은?
반도성 금속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가스센서는 감지 대상 가스의 흡착과 탈착에 의한 감지체 표면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한다. 하지만, 저비용, 저전력 소모, 미세공정의 적합성등과 같은 유리한 측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00oC- 500oC의 높은 작동온도와 낮은 가스 선택성, 낮은 감도를 가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2)
참고문헌 (11)
T. Seiyama, A. Kato, K. Fujiishi and M. Nagatani, Anal. Chem., 34, 1502 (196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