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광전기화학적 물 산화용 산화아연 나노막대 광양극의 합성 및 특성평가
ZnO Nanorod Array as an Efficient Photoanode for Photoelectrochemical Water Oxidation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0 no.5, 2020년, pp.239 - 245  

박종현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김효진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ynthesizing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of oxide semiconductors is a promising approach to fabricate highefficiency photoelectrodes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photoelectrochemical (PEC) water splitting. In this work, vertically aligned zinc oxide (ZnO) nanorod arrays are successfully synthesiz...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제작된 광양극의 물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물에 닿는 전극의 면적이일정해야 하기 때문에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여 0.5 ×1.0 cm2의 면적 외의 부분을 차단한 다음에 용제를 사용하여 전극 연결부의 ZnO를 제거함으로써 FTO를 노출 시킨 다음에 3전극 배치를 사용하여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특성을 측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ZnO 나노입자를 씨앗 층(seed layer)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불소가 첨가된 주석산화물(FTO)이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합성한 후에 이것을 광양 극으로 활용하여 PEC물 산화 성능을 검토하였다. 특히, 때려내기(sputtering)방법을 사용하여 ZnO 씨앗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공정 변수인 Zn 타깃(target)의 떼려내기 전력에 따른 구조적, 광학적, 그리고 PEC 물 산화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ZnO 나노입자를 씨앗 층(seed layer)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불소가 첨가된 주석산화물(FTO)이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합성한 후에 이것을 광양 극으로 활용하여 PEC물 산화 성능을 검토하였다. 특히, 때려내기(sputtering)방법을 사용하여 ZnO 씨앗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공정 변수인 Zn 타깃(target)의 떼려내기 전력에 따른 구조적, 광학적, 그리고 PEC 물 산화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열합성법으로 제작된ZnO 나노막대 집합체가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을 위한 광양극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제시될 것이다.
  • 먼저 FTO가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ZnO 나노입자를 씨앗 층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n-형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다.20) ZnO 씨앗 층을 형성하기 위해 때려내기 방법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0~40 W의 전력을 인가하면서 5 mTorr의 Ar 분위기 하에서 1.
  • 먼저 FTO가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ZnO 나노입자를 씨앗 층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n-형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다.20) ZnO 씨앗 층을 형성하기 위해 때려내기 방법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0~40 W의 전력을 인가하면서 5 mTorr의 Ar 분위기 하에서 1.5분 동안 Zn층을 증착시킨 다음에 400 oC에서 건조한 공기 분위기 하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공정을 시행함으로써 Zn층을 산화시켰다. 준비된 ZnO 씨앗 층 위에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는데, 여기서 사용된 수열합성용 용액은 25mM의 질산 제2 아연 6수화물[Zn(NO3)2·6H2O]과 25mM의 헥사메틸렌테트라민(C6H12N4)을 계량한 다음에 자기 교반자를 사용하여 200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 준비된 ZnO 씨앗 층 위에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는데, 여기서 사용된 수열합성용 용액은 25mM의 질산 제2 아연 6수화물[Zn(NO3)2·6H2O]과 25mM의 헥사메틸렌테트라민(C6H12N4)을 계량한 다음에 자기 교반자를 사용하여 200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ZnO 씨앗 층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된 용액에 담근 후 90oC에서 6시간 동안 수열합성법으로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다. ZnO나노막대 집합체가 코팅된 기판은 세척 후 건조한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 공정을 400oC에서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 합성된 ZnO 나노막대 집합체에 대하여 결정상을 알아보기 위해 X선 회절 분석기(XRD)와 라만 분광기(Ramanspectroscopy)를 사용하였고, 미세구조 분석을 위해 냉전계형 장방출 주사전자현미경(SEM)를 이용하였으며,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분광 광도계(UV-Vis-NIRspectrophotometer)를 활용하였다. 제작된 광양극의 물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물에 닿는 전극의 면적이일정해야 하기 때문에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여 0.
  • 6)을 전해질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전극에 전원을 연결한 다음에 전압을-0.8 V에서 1.2 V까지 변화시키면서 솔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전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광변환 효율(photoconversion efficiency)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을 가하지 않은 조건(0 V vs.
  • 2 V까지 변화시키면서 솔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전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광변환 효율(photoconversion efficiency)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을 가하지 않은 조건(0 V vs.Ag/AgCl)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빛을 조사하고 차단함으로써 광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합성된 ZnO 나노막대 집합체의 결정상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X-선 회절 및 라만 산란 실험을 수행하였다.Fig.
  • 불소가 첨가된 주석산화물(FTO)이 코팅된 유리 기판위에 Zn 때려내기 전력을 변화시키면서 형성한 ZnO 나노입자를 씨앗층(seed layer)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n-형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광양극의 광전기화학적 물 산화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X-선 회절, SEM 분석, 그리고 광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통해서 ZnO 나노막대 집합체의 결정상과 구조적 및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 불소가 첨가된 주석산화물(FTO)이 코팅된 유리 기판위에 Zn 때려내기 전력을 변화시키면서 형성한 ZnO 나노입자를 씨앗층(seed layer)으로 활용하는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n-형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광양극의 광전기화학적 물 산화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X-선 회절, SEM 분석, 그리고 광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통해서 ZnO 나노막대 집합체의 결정상과 구조적 및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광전기화학적 전류 밀도-전압(J-V) 특성 곡선들로부터 때려내기 전력이 20 W인 조건에서 수직으로 성장한 ZnO 나노막대 광양극이 가장 우수한 광전류 반응 특성을 나타냄이 밝혀졌고, 이 경우에 0.

대상 데이터

  • 준비된 ZnO 씨앗 층 위에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성장시켰는데, 여기서 사용된 수열합성용 용액은 25mM의 질산 제2 아연 6수화물[Zn(NO3)2·6H2O]과 25mM의 헥사메틸렌테트라민(C6H12N4)을 계량한 다음에 자기 교반자를 사용하여 200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 0 cm2의 면적 외의 부분을 차단한 다음에 용제를 사용하여 전극 연결부의 ZnO를 제거함으로써 FTO를 노출 시킨 다음에 3전극 배치를 사용하여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특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제작된 광양극은 작동 전극으로 사용하고, 기준 전극과 상대 전극은 각각 은-염화은(Ag/AgCl) 전극과 백금 메시(Pt mesh)를 사용하였으며, 1 mM의 Na2SO4 수용액(pH = 6.6)을 전해질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전극에 전원을 연결한 다음에 전압을-0.

이론/모형

  • 23[V]는 물분해 전위를 나타내며, Pi는 입력 가시광선의 세기 밀도[mW/cm2]를 가리킨다. 측정된 Ag/AgCl 기준 전극 대비 인가 전압은 다음과 같은 네른스트 방정식(Nernst equation)을 사용하여 RHE 척도로 변환된다.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C전지 구조가 태양광 물 분해 소자로 널리 사용되는 주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4-6) 일반적으로, 광전기화학전지 물 분해 공정에는 두 가지 전극 반응, 즉 (1) 산소 발생 반응(OER, oxygen evolution reaction)또는 물 산화 반응과 (2) 수소 발생 반응(HER, hydrogenevolution reaction) 또는 물 환원 반응이 포함되고, 그래서 각각의 전극 반응을 분리해야 한다.7) 그리하여 PEC전지 구조가 태양광 물 분해 소자로 널리 사용되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그 구조가 물 산화 반응과 물 환원 반응을 공간적으로 분리한다는 점이다.
ZnO 나노구조체 중 염료감광 태양전지용 전극 소재로 우수하다고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최근에 1차원 ZnO 나노구조체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광전자 소자용 소재로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16) 그중에서 특히, 염료감광 태양전지용 전극 소재로서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수직으로 정렬된 ZnO 나노막대 구조체가 PEC 물 분해용 광양극 소재로서도 유망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7) 수직으로 정렬된ZnO 나노막대 집합체를 제조하는 데 기상-액상-고상(VLS)성장법과 화학기상 증착법(CVD)이 시도된 적이 있는데, 이들 방법은 복잡한 공정, 정교한 장비, 그리고 높은 공정온도가 필요하다.
광전기화학적 전지 시스템에서 광전극 재료의 선택과 설계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광전기화학적 전지 시스템에서는 광전극 재료의 선택과 설계가 결정적으로 중요한데, 그 이유는 대체로 광전극의 광 흡수와 나르개 수송 특성이 물 분해용 PEC전지의 성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8) 지금까지 산화티타늄(TiO2)과 헤마타이트(Fe2O3), 산화아연(ZnO), 산화구리(I)(Cu2O) 같은 산화물 반도체들이 수소 생산용 광전극재료로서 유망한 잠재력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 S. Lewis and D. G. Nocera, Proc. Natl. Acad. Sci. U. S. A., 103, 15729 (2006). 

  2. P. V. Kamat, J. Phys. Chem. C, 111, 2834 (2007). 

  3. C.-J. Winter, Int. J. Hydrogen Energy, 34, S1 (2009). 

  4. A. Kudo and Y. Miseki, Chem. Soc. Rev., 38, 253 (2009). 

  5. X. Chen, S. Chen, L. Guo and S. S. Mao, Chem. Rev., 110, 6503 (2010). 

  6. F. E. Osterloch, Chem. Soc. Rev., 42, 2294 (2013). 

  7. Y. Yang, D. Xu, Q. Wu and P. Diao, Sci. Rep., 6, 30158 (2016). 

  8. Y. Liu, Y. Gu, X. Yan, Z. Kang, S. Lu, Y. Sun and Y. Zhang, Nano. Res., 8, 2891 (2015). 

  9. M. Y. Wang, L. Sun, Z. Q. Lin, J. H. Cai, K. P. Xie and C. J. Lin, Energy Environ. Sci., 6, 1211 (2013). 

  10. D. A. Wheeler, G. M. Wang, Y. C. Ling, Y. Li and J. Z. Zhang, Energy Environ. Sci., 5, 6682 (2012). 

  11. Z. Kang, Y. S. Gu, X. Q. Yan, Z. M. Bai, Y. C. Liu, S. Liu, X. H. Zhang, Z. Zhang, X. J. Zhang and Y. Zhang, Biosens. Bioelectron., 64, 499 (2015). 

  12. Z. Kang, X. Q. Yan, Y. F. Wang, Z. M. Bai, Y. C. Liu, Z. Zhang, P. Lin, X. H. Zhang, H. G. Yuan and X. J. Zhang, Sci. Rep., 5, 7882 (2015). 

  13. A. Fujishima and K. Honda, Nature, 238, 37 (1972). 

  14. B. Min and H. Kim, Korean J. Mater. Res., 29, 196 (2019). 

  15. X. Chen and S. S. Mao, Chem. Rev., 107, 2891 (2007). 

  16. J. Hu, T. W. Odom and C. M. Lieber, Acc. Chem. Res., 32, 435 (1999). 

  17. N. Beermann, L. Vayssieres, S.-E. Lindquist and A. Hagfeldt, J. Electrochem. Soc., 147, 2456 (2000). 

  18. M. H. Huang, S. Mao, H. Feick, H. Yan, Y. Wu, H. Kind, E. Weber, R. Russo and P. Yang, Science, 292, 1897 (2001). 

  19. J.-J. Wu and S. C. Liu, Adv. Mater., 14, 215 (2002). 

  20. L. Liu, K. Hong, T. Hu and M. Xu, J. Alloys Compd., 511, 195 (2012). 

  21. L. M. Fudzi, Z. Zainai, H. N. Lim. S.-K. Chang, A. M. Holi and M. S. Ali, Materials, 11, 704 (2018). 

  22. R. Zhang, P.-G. Yin. N. Wang and L. Guo, Solid State Sci., 11, 865 (2009). 

  23. P. Sinsermsuksakul, J. Heo, W. Noh, A. S. Hock and R. G. Gordon, Adv. Energy Mater., 1, 1116 (2011). 

  24. J. Taug, R. Grigorovici and A. Vancu, Phys. Stat. Sol., 15, 627 (1966). 

  25. V. Srikant and D. R. Clarke, J. Appl. Phys., 83, 5447 (1998). 

  26. T. Hisatomi, J. Kubota and K. Domen, Chem. Soc. Rev., 43, 7520 (2014). 

  27. D. T. Sawyer, A. J. Sobkowiak and J. Roberts, Jr., Electrochemistry for Chemists, 2nd ed., p. 196,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