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 vitro 및 In vivo에서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flora In vitro and In viv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587 - 1594  

오미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하여 용매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에서 장내유해균인 C. perfringens, C. difficile, E. limosum 및 B. fragilis 모두가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생육 억제환의 크기가 가장 크게 생성되었다. 장내유익균인 B. bifidum, L. acidophilus는 인진쑥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생성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동물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하여 비만식이군에서 장내유해균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진쑥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은 억제시키고, 장내 유익균은 증식시키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 인체 장내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장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인진쑥 추출물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내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agar diffusion method, the solvent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showed growth inhibition against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particular, the chloroform fraction of Artemisia c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내 미생물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시키면서 장내 유익균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in vitro 상에서 알아보고, 이를 in vivo 상에 적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진쑥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능성 물질 함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내 미생물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시키면서 장내 유익균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in vitro 상에서 알아보고, 이를 in vivo 상에 적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진쑥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능성 물질 함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04 CFU/g 이하로 존재하는 병원성 및 유해 미생물은 무엇이 있는가? 그 종류는 약 350~500여종 에 달하고, 이들 세균의 90% 이상은 혐기성 균주인 Bifidobacterium, Eubacterium, Bacteroides로 이들은 109~11 CFU/g 정도를 차지한다(18). Lactobacillus,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Veillonella 등은 105~8 CFU/g 정도이며 Clostridium perfringens, Staphylococcus, P roteus 및 Pseudomonas 등 병원성 및 유해 미생물은 104 CFU/g 이하 로 존재한다. 이들 미생물은 상호 공생이나 길항작용을 하며 균형을 이루고 장내 균총을 형성하고 있다(19).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기도 하는 인진쑥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우리나라 냇가나 강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높이가 약 30~100 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하여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인진, 인진호 또는 추호라 불린다(1). 인진쑥의 주요성분으로는 수분 81.4%, 단백질 5.2%, 지질 0.8%, 당질 4.0%, 섬유질 3.7%, 회분 2.7%와 특수 성분으로 정유성분 등이 있으며(2) caffeic acid, 방향족 oxycarbonic 및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고(3), 또한 녹엽단백질원으로서 필수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 어서,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무기질 중 칼슘과 칼륨의 함량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으로, vitamin A와 C의 함량은 일반 야채류를 포함한 산야채류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인진쑥에 대한 연구로는 오래 전부터 간질병 개선을 목적 으로 간 보호 효과(5,6), 항균작용(7-9), 항암 효과(10,11), 항산화 효과(12), 항돌연변이 효과(13), 과산화지질에 대한 효과(14,15), 혈압강하작용, 당뇨 증상 완화 및 고혈당증의 치 료 효과(16)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진쑥은 무엇인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우리나라 냇가나 강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높이가 약 30~100 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하여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인진, 인진호 또는 추호라 불린다(1). 인진쑥의 주요성분으로는 수분 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TJ, Jang JS.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VI.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Corp., Seoul, Korea. p 259. 

  2. Lee SG. 2005. The therapeutic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hepatic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Vet Clin 22: 206-213. 

  3. Park SH, Kwak JS, Park SJ, Han JH. 2004. Effects of beverage includ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on fatigue-recovery materials, heart rate and serum lipids in university male athle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39-846. 

  4. Kim HT, Kim JW, Lim MK, Yeo SG, Jang KH, Oh TH, Lee KW. 2007. Antimicrobial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pathogenic bacteria in vitro. J Vet Clin 24: 130-136. 

  5. Han EK, Jin YX, Yoo YS, Jung EJ, Lee JY, Chung CK. 2009.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16-1023. 

  6. Lim SS, Kim MH,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797-802. 

  7. Cho HY, Yoon SY, Park JJ, Yun KW, Park JM.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129-132. 

  8. Kim HC, Gil BS, Lee YH. 2001.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Korean J Ecol 24: 137-140. 

  9. Chae GC, Auh QS, Chun YH, Hong JP.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a capillaris THUNB on oral bacteria. Korean J Oral Med 34: 169-177. 

  10. Hwang YK, Kim DC, Hwang WI, Han YB. 1998.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1: 799-808. 

  11.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12.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13. Kim JO, Kim YS, Lee JH, Kim NN, Lee SH, Moon SH, Park G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14.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serum lip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12-18. 

  15. Cheong JY, Oh TY, Lee KM, Kim DH, Ahn BO, Kim WB, Kim YB, Yoo BM, Hahm KB, Kim JH, Cho SW. 2002. Suppressive effects of antioxidant DA-9601 on hepatic fibrosis in rats. Korean J Hepatol 8: 436-444. 

  16. Twaij HA, Al-Badr AA. 1988. Hypoglycemic activity of Artemisia herba alba. J Ethnopharmacol 24: 123-126. 

  17. Cummings JH, Macfarlane GT. 1991. The control and the consequences of bacterial fermentation in the human colon. J Appl Bacteriol 70: 443-459. 

  18. Mitsuoka T. 1990. Bifidobacteria and their role in human health. J Ind Microbiol 6: 263-268. 

  19. Isolauri E, Salminen S, Ouwehand AC. 2004. Probiotics. Best Pract Res Clin Haematol 18: 299-313. 

  20. Holzapfel WH, Haberer P, Snel J, Schillinger U, Huis in't Veld JH. 1998. Overview of gut flora and probiotics. Int J Food Microbiol 41: 85-101. 

  21. Mitsuoka T. 1992. Intestinal flora and aging. Nutr Rev 50: 438-446. 

  22. Cho IS, Han YH, Lee GY, Park KY. 2007. Search for medicinal plants on improvable effect of intestinal microflor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26-29. 

  23. Ha MH, Park WP, Lee SH, Heo HJ, Cho SH. 2007.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runs mune byproduct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Preserv 14: 183-187. 

  24. Moon YG, Song CY, Yeo IK, Kim GY, Heo MS. 2008.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uaeda maritima extract. J Life Sci 18: 776-781. 

  25. Jung SM, Choi SI, Park SM, Heo TR.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4-568. 

  26. Lee SY, Kim JG, Baik BJ, Yang YM, Lee KY, Lee YH, Kim MA. 2009.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 1-11. 

  27. Lofland D, Difuntorum S, Waller A, Clements JM, Weaver MK, Karlowsky JA, Johnson K. 2004.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eptide deformylase inhibitor BB-83698. J Antimicrob Chemother 53: 664-668. 

  28.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9.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s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30. Mitsuoka T. 198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intestinal flora. Bifidobacteria Microflora 1: 3-24. 

  31. Bae JH. 2003.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Nutr 36: 147-153. 

  32.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 251-258. 

  33.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