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 안전도 모형 개발 -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stomer Safety Model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on the Community Road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0 no.3D, 2010년, pp.205 - 213  

이형록 (한국교통연구원 녹색성장실천연구본부) ,  장일준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장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초록

서울시의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는 2008년 총 41,702건의 교통사고 가운데 3,753건(9%)로 교통사고 발생율은 높지 않은 실정이나, 교통 기초부분의 불합리하고 미비한 제도 및 시설 운영으로 인하여 사고의 잠재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경우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안전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교통사고의 분석 및 영향요인 모형에 관한 국내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비신호교차로 운영의 통행우선권 개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와 안전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안전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 모형을 개발하고 법제도, 도로시설물, 인적요인 중 운전자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운전자가 느끼는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통행방법 및 법제도를 개선한다면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를 높여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in the city of Seoul have 3,753 traffic accidents(9%) of total 41,702 cases in 2008, not high in the occurrence rate of traffic accidents, but seem to have a quite high potential of accidents due to the unreasonable and insufficient operation of s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통행하면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용자 안전도 모형의 평가지표로 법제도, 도로시설, 인적요인을 선정하였으며, 구조방적식을 이용하여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법제도의 개선이 운전자가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통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영향이 많이 미치는 것은 인적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다시 말해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는 비신호교차로의 개선사업시 법·제도 측면, 도로시설물 측면, 인적요인 측면 중 운전자들이 어떠한 요인을 개선시에 이용자들의 안전만족도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있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운전자, 사업용 운전자,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3가지 지표(12개 항목)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어느 지표가 이용자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최종적으로 도로이용자가 느끼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들의 안전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통행하는 일반운전자, 사업용 운전자, 교통 분야 전문가들로 그 대상을 한정하여 모형을 통해 안전도를 분석하였지만 향후에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이용자 안전도를 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가설을 설정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법제도, 도로시설물, 인적요인이 비신호교차로 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므로 그에 부합한 연구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평가 지표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된 3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인간의 개인적인 속성과 감성적 특성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나타내며, 감성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생활도로내 비신호 교차로의 안전도에 관련 있는 구성요소는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용자가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주행할 때 느끼는 의식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안전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도로내 비신호 교차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안전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도로내 비신호 교차로의 안전도 모형을 개발하고 법제도, 도로시설물, 인적요인 중 운전자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또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비신호교차로 운영에 관한 통행우선권 개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와 안전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운전자, 사업용 운전자, 교통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 영향요인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장래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건설 및 운영·관리시 대안들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과 더불어 우리나라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차의 급증은 무엇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나? 오늘날 자동차가 주는 여러 가지 편익으로 인하여 해마다그 수는 급속하게 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급증은 교통사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사고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진 국가로서 OECD 국가 중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상위 5위인 교통사고 다발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상위 몇 위 인가? 이러한 자동차의 급증은 교통사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사고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진 국가로서 OECD 국가 중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상위 5위인 교통사고 다발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2008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중, 서울시에 대한 교통사고 내용은? 66%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2008년 총 41,702건의 교통사고 가운데 생활도 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사고가 3,753건(9%)으로 교통사고 발생율은 높지 않은 실정이나, 기초부분의 불합리하고 미비한 제도 및 시설, 운영으로 안전운전 선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고동석 외 2인(2000)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8권 제6호, pp. 19-32. 

  3. 대한교통학회(2004) 도로용량편람. 

  4. 문영준 외 1인(2001) 비신호교차로 전방향 정지제어 도입 타당성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총서. 

  5. 박용진(1994) 신도시 4지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23-224. 

  6. 이수범(1996)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에 의한 서비스수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4권 제2호, pp. 259-260. 

  7. 이슬기 외 2인(2003)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의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5호, pp. 97-100. 

  8. 이용재 외 1인(2001) 비신호 교차로의 중차량 용량 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2호, pp. 88-98. 

  9. Cristie, B., Delafield, G., Lucas, B., Winwood, M., & Gale, A. (1972) Stimulus complexity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Differential effects of the number and the variety of display elements,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Vol. 26, pp. 155-170 

  10. Attanucci, J.P. and Jaeger, L. (1979) Bus Service Evalution Procedures : A Review, U.S. DOT 

  11. Srour, J. 외 3인 (2003) Freight Information Real-Time System for Transport Evaluation Final Report, U.S. DOT 

  12. Kelley Klaver Pecheux 외 4인 (2004) Automobile Drivers'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on Urban Stree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883, pp. 16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