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GIS Buffering 분석에 기반한 교통축별 최적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 A Criterion on the Selection of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by Transportation Corridor based on GIS Buffering Analysis원문보기
기존 대중교통시스템은 한정된 수송용량, 포화상태인 도로 교통체계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교통수단이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교통당국에서는 기존의 도시철도의 규모를 축소시킨 경량 전철 위주로 신교통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각 도시별로 대중교통(버스 또는 도시철도)을 계획할 때 특별한 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이 없어 해당 지자체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시의 교통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한 대중교통수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대중교통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별로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선정 및 평가에 대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구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 대중교통시스템은 한정된 수송용량, 포화상태인 도로 교통체계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교통수단이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교통당국에서는 기존의 도시철도의 규모를 축소시킨 경량 전철 위주로 신교통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각 도시별로 대중교통(버스 또는 도시철도)을 계획할 때 특별한 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이 없어 해당 지자체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시의 교통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한 대중교통수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대중교통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별로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선정 및 평가에 대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구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existing mass transport system, with its limited capacity and the saturated road networks, has given cause for a new means of transport to be developed, and strong demands for such new means of transport are observed more than ever. However, the traffic authority is seeking a new transport syste...
The existing mass transport system, with its limited capacity and the saturated road networks, has given cause for a new means of transport to be developed, and strong demands for such new means of transport are observed more than ever. However, the traffic authority is seeking a new transport system that focuses more on LRT(Light Rail Transit), a downsized version of the existing urban railroad, rather than one that is appropriate to solve the traffic problems. Moreover, local governm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lanning their own mass transportation(bus or urban railroad) as they have no specified criteria for selecting a mass transport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loud voice that calls for criteria to determine which mass transport system befits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This paper develops a mass-trans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based on the GIS Buffering analysis of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n the city, sets up the capacity for each mass transport system and present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n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for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t also presents a methodology that identifie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selection and evaluation, since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the optimal mass-transport system that can meet the demand by each mass-transportation corridor.
The existing mass transport system, with its limited capacity and the saturated road networks, has given cause for a new means of transport to be developed, and strong demands for such new means of transport are observed more than ever. However, the traffic authority is seeking a new transport system that focuses more on LRT(Light Rail Transit), a downsized version of the existing urban railroad, rather than one that is appropriate to solve the traffic problems. Moreover, local governm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lanning their own mass transportation(bus or urban railroad) as they have no specified criteria for selecting a mass transport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loud voice that calls for criteria to determine which mass transport system befits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This paper develops a mass-trans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based on the GIS Buffering analysis of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n the city, sets up the capacity for each mass transport system and present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n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for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t also presents a methodology that identifie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selection and evaluation, since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the optimal mass-transport system that can meet the demand by each mass-transportation corrid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교통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한 대중교통수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대중교통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현재 도로 중심의 교통체계에서 탈피하여 신교통 수단 선정 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특히 도시의 교통 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하여 대중교통수요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 시스템을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도로 중심의 교통체계에서 탈피하여 신교통 수단 선정 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특히 도시의 교통 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하여 대중교통수요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 시스템을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설 설정
일반적인 대중교통용량은 차량(탑승인원) 용량, 정류장 용량, Bus way 용량으로 나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Bus way는 1개 차로로 가정하여 별도로 고려치 않고 차량용량(탐 승인원) 및 정류장 용량(운행회수)만을 고려하였다. 차량용량은 “우리나라의 버스 전용차로 국내 설치기준 및 도로용량편람”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 차량 규모에 최적인원이 승차하여 승객이 안락한 상태를 느끼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며, 좌석 수에 입석 수(≒3인/m2 or 좌석수의 30~50% 수준)을 더한 값으로 하였다.
제안 방법
차량용량은 “우리나라의 버스 전용차로 국내 설치기준 및 도로용량편람”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 차량 규모에 최적인원이 승차하여 승객이 안락한 상태를 느끼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며, 좌석 수에 입석 수(≒3인/m2 or 좌석수의 30~50% 수준)을 더한 값으로 하였다.
대중교통 수단별 수송용량은 최대용량(Maximum Capacity) 개념이 아닌 설계서비스(Design Capacity) 개념을 사용하고 서비스 수준은 승객의 안락함,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준 C를 기준으로 하며, 운영에 따른 수송용량변화를 고려하여 수단별 임의의 값(Capacity Range)으로 표현하였다.
3. 필요조건은 광역교통축과 간선교통축으로 구분하여 대상 교통축을 선정하고, 대중교통수요를 예측한다. 이를 통해도시규모별 α의 대표 값을 산출하여 대중교통수송용량(공급)을 적용할 수 있다.
성능/효과
1. 대중교통시스템 선정을 위한 기본원칙은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이 있으며, 교통축별로 시스템의 선정 및 평가는 필요충분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중교통시스템을 찾아가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2. 필요조건 산정방법은 회귀분석법과 수요공급법이 있고, 논리적으로 가장 설득력 있고, 교통수요에 감응하는 시스템을 선정할 수 있는 수요공급법이 장점이 있다.
4. 충분조건에서는 필요조건에 의해 결정된 대중교통시스템은 하나 이상 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도시의 교통 축에 적합한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해야 하며, 이는 기하 구조의 적합성, 축 교통용량 초과여부 등의 절대기준과 시스템 소요비용, 지자체 재정자립도 등의 상대기준을 통해 선정할 수 있다.
후속연구
추가적으로 해당도시의 기존 교통체계와 관련계획과 상호 부합하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기존 교통체계상 전철이 중심이 되어 있다면 자연스럽게 환승이 유도되는 경전철이 BRT보다 우수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제시한 최적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에 대해 실제 사례를 적용하여 검증한다면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더욱 가치있는 논문이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축은 무엇으로 구분하여 접근할 수 있는가?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축은 크게 광역교통축과 간선교통축으로 구분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하철 및 버스전용차로 또는 전용도로 등 승용차가 아닌 대중교통만이 다닐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중요하다. 이 때 대중교통수단 특히 버스가 승용차와 경쟁을 위해 필수적인 통행속도의 우선권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광역교통축과 간선교통축별 개요와 교통축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표 3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대중교통시스템의 선정 및 평가의 가장 기초적인 공간적 단위는 어떻게 진행되어야하는가?
대중교통시스템의 선정 및 평가의 가장 기초적인 공간적 단위는 실제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Corridor)별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교통축별로 대중교통 수요를 처리할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여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며, 선정 및 평가는 필요 충분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중교통시스템을 찾아들어가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대중교통시스템의 선정 및 평가의 가장 기초적인 공간적 단위는 실제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Corridor)별로 진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대중교통시스템의 선정 및 평가의 가장 기초적인 공간적 단위는 실제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Corridor)별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교통축별로 대중교통 수요를 처리할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여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며, 선정 및 평가는 필요 충분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중교통시스템을 찾아들어가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8)
건설교통부(2004) 간선 급행버스 시스템(BRT).
건설교통부(2005a) 수도권 BRT 도입 기본구상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국외사례 부분).
건설교통부(2005b) 건설교통부 육상교통국 홈페이지 내부자료.
교통신문(2007) 신교통 수단, 교통칼럼.
서울특별시(2005) 서울시 BRT도입 기본계획.
신희덕(2008)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EU의 신교통대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안태훈(2008) 국내 신교통시스템 도입 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도시철도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TRB(2003) Bus Rapid Transit, TCRP Report 9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