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해일 결합모형의 범람 적용성
Applicability of Inundation Simulation with the Coupled Tide-Surge Model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3 no.4, 2010년, pp.270 - 278  

박선중 ((주)혜인이엔씨 기술연구소) ,  강주환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토목공학) ,  윤종태 (경성대학교 건설) ,  정태성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선행연구에서 우리나라 남해안을 대상으로 상용모형인 MIKE21 모형을 사용하여 실시간 조석 및 조석-해일 결합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마산해역에서 범람모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제 적용에 앞서 가상적인 인공구조물의 범람에 대한 영향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범람 모의에 인공구조물을 포함시킨 결과 침수속도가 지체되어 침수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침수심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실해역에 대한 결합모형과 폭풍해일모형의 범람 적용을 비교한 결과, 침수면적과 침수심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최대 범람에 이르는 시간은 결합모형이 보다 타당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licability of the MIKE21 model as a real time coupled tide-surge model had been examined at the previous study. In this study, another applicability of the model as an inundation model is also examined. Prior to real cases, effect of artificial structures on the inundation is analyzed.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인 MIKE21 모형의 실시간 조석 및 조석-해일 결합모의를 토대로 마산해역에서 범람모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최대 격자간격 21,870 m에서 최소 격자간격 10m까지의 총 8단계 계산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수심 및 지형자료가 정확히 구현될 수 없는 큰 격자의 수심을 작은 격자의 상세수심으로 보정하는 과정을 전 영역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도 높은 범람모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MIKE21 모형의 조석과 해일이 결합된 실시간 모의 적용성 검토(박선중 등[2010])에 이어 범람모의에 대한 적용성 및 효용성을 검토한 연속 논문으로, 적용성이 검증된 조석-해일 결합 모형을 이용해 조석과 해일의 비선형 효과를 감안할 수 있는 동적결합된 정밀격자의 범람모형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마산해역을 대상으로 태풍 MAEMI 내습당시 발생된 해일범람 현상을 재현하였고 인공구조물 고려 여부가 범람 재현에 미치는 영향성을 파악하였다.
  • 현재 대부분의 범람모의는 1/1,000 및 1/5,000 수치지도에서 확보한 등고선 및 표고값을 추출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건물 등과 같이 지형상에 존재하는 인공구조물 및 수목과 같은 자연지물 객체의 표고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1,000 수치지도 내에 포함된 건물 정보로부터 취득한 가상의 표고자료를 활용해 인공구조물이 고려된 마산만 범람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인공구조물 고려 여부에 따른 범람양상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선 경계에서의 침수/노출을 모의하기 위한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를 위해서는 태풍 내습시 조석, 폭풍해일 등 장주기 해수위 변동과 고파랑 등에 의한 수면 상승 뿐 아니라 연안역의 얕은 수심에서의 바닥마찰의 영향, 그리고 계산영역이 지속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범람특성 등의 구현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안선 경계에서의 침수/노출을 모의하기 위한 방법은 초창기 폭풍해일모형에 널리 적용된 방법(Flather와 Heaps[1975]; Falconer와 Owens[1987])인 해안선을 따라 가상벽(imaginary wall)을 설정하고 해안선을 통한 흐름을 강제로 차단하는 방법과 Leendertse[1967]의 침수/노출 알고리즘을 근간으로 한 이동경계기법(moving boundary scheme)으로 구분할 수 있다(Xie et al.[2004]).
이동경계기법이 적용된 모형은 무엇을 구현할 수 있는가? [2004]). 이동경계기법이 적용된 모형의 경우 수치해석과정이 다소 복잡하지만 비교적 정확한 수치해를 얻을 수 있으며, 계산영역이 지속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범람특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바닥마찰, 압력구배, 비선형 이류항, 질량보존 등을 고려하여 사실적인 범람현상의 재현이 가능해지고 있으나(조용식 등[2001]; Ip et al.
폭풍해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어떤 특성을 구현해야 하는가? 현재의 폭풍해일에 대한 연구는 개념정립과 기술개발의 단계를 넘어 복합 모의체계 구축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재난 대응 및 피해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재해지도(Harzard map) 제작이 주요 연구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태풍 내습시 조석, 폭풍해일 등 장주기 해수위 변동과 고파랑 등에 의한 수면 상승 뿐 아니라 연안역의 얕은 수심에서의 바닥마찰의 영향, 그리고 계산영역이 지속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범람특성 등의 구현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안선 경계에서의 침수/노출을 모의하기 위한 방법은 초창기 폭풍해일모형에 널리 적용된 방법(Flather와 Heaps[1975]; Falconer와 Owens[1987])인 해안선을 따라 가상벽(imaginary wall)을 설정하고 해안선을 통한 흐름을 강제로 차단하는 방법과 Leendertse[1967]의 침수/노출 알고리즘을 근간으로 한 이동경계기법(moving boundary scheme)으로 구분할 수 있다(Xi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4, "해수유동모형에서 조간대 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3B), 259-265. 

  2.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5,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영역 확대의 영향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7(1), 47-54. 

  3. 강주환, 박선중, 김양선, 소재귀, 2009,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57-370. 

  4. 김도삼, 김지민, 이광호, 이성대, 2007, "연안역에서 고파랑과 폭풍해일을 고려한 침수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1(2), 35-41. 

  5. 문승록, 강태순, 남수용, 황 준, 2007,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9(5), 492-501. 

  6.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윤종태, 2006, "MIKE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8(4), 348-359. 

  7. 박선중, 강주환, 문승록, 윤종태, 2009, "이동경계기법을 이용한 해수유동모형의 범람 적용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2), 164-173. 

  8. 박선중, 강주환, 김양선, 문승록, 2010, "조석-해일 결합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2(4). (게재예정) 

  9. 조용식, 서승원, 2001, "이동경계를 이용한 지진해일의 최대 범람구역 추산",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3(2), 100-108. 

  10. 조지훈, 2000, 해안범람 수치모의,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1. 천재영, 이광호, 김지민, 김도삼, 2008, "태풍 매미(0314호)에 의한 마산만 주변연안역에서의 범람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3), 8-17. 

  12. Balzano, A., 1998, "Evaluation of methods for numerical simulation of wetting and drying in shallow water flow models", Coastal Engineering, Vol. 34, pp. 83-107. 

  13. DHI Water and Environment, 2007, "User guide and reference manual", Hydrodynamic Module. 

  14. Falconer, R.A. and Owens, P.H., 1987,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ing and drying in a depth-averaged tidal flow model", Proceedings Institution Civil Engineers, Vol. 83, pp. 161-180. 

  15. Flather, R.A. and Heaps, N.S., 1975, "Tidal computations for Morecambe Bay", Geophysical Journal Royal Astronomical Society, Vol. 42, pp. 489-517. 

  16. Hubbert, G.D. and McInnes, K.L., 1999, "A storm surge model for coastal planning and impact stud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15, No. 1, pp. 168-185. 

  17. Ip, J.T.C., Lynch, D.R. and Friedrichs, C.T., 1998, "Simulation of estuarine flooding & dewatering with application to Great Bay", New Hampshir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47, pp. 119-141. 

  18. Leendertse, J.J., 1967, Aspects of a computational model for long water wave propagation. Memorandum RH-5299-PR,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19. Madsen, H. and Jakobsen, F., 2004, "Cyclone induced storm surge and flood forecasting in the northern Bay Bengal", Coastal Engineering, Vol. 51, pp. 277-296. 

  20. Shibaki, H., Suzuyama, K., Kim, J.I. and Sun, L., 2007, "Numerical simulation of storm surge inundation induced by overflow, overtopping and dike breach", Asian and Pacific Coasts 2007, Nanjing, China. 

  21. Stelling, G.S., Kernkamp, H.W.J. and Laguzzi, M.M., 1998, Delft flooding system (FLS): A powerful tool for inundation assessment based upon a positive flow simulation. 

  22. Xie, L., Pietrafesa, L.J. and Peng, M., 2004, "Incorporation of a mass-conserving inundation scheme into a three dimensional storm surge model",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20, pp. 1209-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