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5, 2010년, pp.430 - 435  

최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균들의 배양액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 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05)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개머루덩굴이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thanol-extract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 was determined by a paper disc method. The extract exhibited grow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성의 염려가 없고 오래전부터 널리 한약 재료로 사용되어온 개머루덩굴 추출물을 사용하여 단체급식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색하여 식품보존료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머루덩굴의 주요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개머루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은 간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탁월하여, 간질환 치료 등의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개머루덩굴의 주요 성분에는 탄닌, 스테롤, triterpenoid, 강심 배당체 등이 있다. 개머루덩굴 뿌리와 줄기의 메탄올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한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리놀산 과산화와 플라스미드 DNA 산화를 억제시켰다(Wu et al.
개머루덩굴추출물의 항균실험에 사용한 균의 생육배지로는 무엇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조건은 무엇인가? 개머루덩굴(Ampelopsis brevipedunculata)추출물의 항균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그람양성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Bacillus subtilis KCTC 2023, 2종과 그람음성세균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Yersinia enterocolitica ATCC 2371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 Proteus vulgaris KCTC 2433, 5종으로 총 7종을 사용하였다. 균의 생육배지로는 모든 균주에 대하여 Tryptic soy broth(TSB, Difco, U.S.A)를 사용하여 30℃, incubator 에서 18∼24시간 배양하였다. 항균성 실험에 사용한 고체 배지는 Tryptic soy agar(TSA, Difco, U.S.A)였다.
개머루덩굴은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개머루덩굴은 포도과 개머루속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예로부터 개머루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은 간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탁월하여, 간질환 치료 등의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J. 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Hedyotis digg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 107-112(in Korean). 

  2. Bae, J. H., M.S. Kim and E. H. kang.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 642-647(in Korean). 

  3. Bae, J. H., H. J. Jang and J. I. Jung.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3): 389-394(in korean). 

  4. Choi, M. Y. 2010. Antibacterial Acivity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1): 13-18(in Korean). 

  5. Choi, M. Y. and T. J. Rhim. 2008.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Origanium majorana L.)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Plant Res. 21(5): 352-356(in Korean). 

  6. Choi, O.B., G.S. Yoo and K. H. Park. 199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 1128-1131(in Korean). 

  7. Chung, K. S., S. Y. Kang and J. Y. Kim. 2003.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l and Lactic Acid Bacteria. Kor. J. Microbial. Biotechnol. 31(1). 32-35(in Korean). 

  8. Chung, H. 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2):160-166(in Korean). 

  9. Chung, H. J. and K. L. Noh. 2000.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6(4), 372-377(in Korean). 

  10. Jeong, M. R., J. D. Cha and Y. E. Le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Ficus carica L.)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 84-93(in Korean). 

  11. Kim, M. H., S. Y. Kim, W. S. Shin and J. S. Lee.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Food Sci. Technol. 35(4): 752-755 (in Korean). 

  12. Kim, Y. D., S. K. Kang, O. J. Choi, H. C. Lee, M. J. Jang and S. C. Shin. 2000.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 1116-1122(in Korean). 

  13. Koh, M. S.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 1098-1105 (in korean). 

  14. Lee H. and J. Y. Lin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229-234. 

  15. Oh, D. H., M. K. Lee and B. K. Park.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 100-106(in Korean). 

  16. Park, C. S. 1997. Effect of Spice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Korean J. Soc. Food Sci. 13(3): 330-337(in Korean). 

  17. Wu M. J., J. H. Yen, L. Wang and C. Y. Weng.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orcelainberry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Am. J. Chin. Med. 32:681-693. 

  18. Yabe N. and H. Matsui. 2000.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itaceae) extract inhibits a progression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injury in the mice. Phytomedicine 7:493-498. 

  19. Yabe N., K. Tanaka and H. Matsui. 1988. An ethanol-extra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itaceae) berries decreases ferrous iron-stimulated hepatocyte injury in culture. J. Ethnopharmacol. 59:147-159. 

  20. Yang, E. J. J. Han and I. S. Lee.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110-114(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