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9, 2006년, pp.1133 - 1138  

송희순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박연희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정세흥 (광주보건대학 임상병리과.생명산업기술연구소) ,  김동필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정영희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이미경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문기영 (광주보건대학 임상병리과.생명산업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항산화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민간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청미래덩굴 뿌리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건조된 청미래덩굴 뿌리를 물 및 25%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연구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얻어진 양은 건조시료 1.0 g에서 69.3 mg, 87.9 mg이 각각 얻어졌다. 추출액 1 mL를 동결건조하였을 때 얻어진 양은 23.1 mg과 29.0 mg이었다. 두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건조시료 1.0 g당 약 36 mg으로 추출물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DPPH 라디칼 형성을 50%로 낮추는데 요구되는 추출물의 농도$(SC_{50})$는 물 추출물이 $12.1{\mu}L$, 에탄올 추출물이 $6.3{\mu}L$로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DPPH 소거활성을 보였다. NO 라디칼 소거에 대한 두 추출물의 활성은 $50{\mu}L$에서 물 추출물이 약 75%, 에탄올 추출물이 88%로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두 추출물의 pH를 달리한 조건에서 $NO_2$ 소거활성을 조사한 결과, pH가 낮을수록 $NO_2$의 소거활성이 더 높았다. 동일농도 1 mL의 pH 4.2 및 pH 6.0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 1.2의 강산 조건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두 추출물 모두 98% 이상의 높은 $NO_2$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Vitamin C의 환원력과 비교했을 때, 0.5 mg 농도에서는 두 추출물의 환원력이 vitamin C보다 낮았으나, 0.1 mg 이하에서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훨씬 더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p<0.01).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는 추출물 1 mL에서 물 추출물이 44.6%, 에탄올 추출물이 52.6%로 비교적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두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PPH 및 NO, $NO_2$ 라디칼의 소거활성 효과, 환원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므로 청미래덩굴 뿌리의 경우 페놀화합물 외에도 다른 성분들이 항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ilax china roo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remedy in China and Korea and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natural antioxidants of Smilax china root ex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청미래덩굴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민 간약재에 주로 사용되는 부위인 청미래덩굴 뿌리에 대한 항 산화활성 연구가 아직도 부족한 실정 이 다. 이 에 본 연구에서 는 청미래덩굴의 뿌리를 일반적 조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인 물과 25% 에탄올로 추출하여 총 페놀성분 함량, DPPH, NO 및 NO2 라디칼의 소거활성, 환원능력 및 ty­ rosinase 활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여 청미래덩굴 뿌리의 천 연 항산화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천연 항산화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민간약재 로 사용되고 있는 청미래덩굴 뿌리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 였다. 건조된 청미래덩굴 뿌리를 물 및 25% 에탄올로 추출 하여 얻어 진 추출물을 연구시료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cCord JM. 2000. The evolution of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Am J Med 108: 652-659 

  2.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Nutr 18: 872-879 

  3. Squadriato GL, Peyor WA. 1998. Oxidative chemistry of nitric oxide. Free Radic Biol Med 25: 392-403 

  4. Yildirim A, Mavi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4083-4089 

  5. Davies KJA. 1994. Oxidative stress the paradox of aerobic life. Biochem Symp 61: 1-34 

  6. Fridowich I. 1995. Superoxide radical and superoxide dismutases. Annu Rev Biochem 64: 97-112 

  7. Sun J, Chen Y, Li M, Ge Z. 1998. Role of antioxidant enzymes on ionizing radiation resistance. Free Radi Biol Med 24: 586-593 

  8. Choi KD, Lee KN. 1997. Bibliographic study on the therapy of gastric cancerby intergrated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J Wonkwang Orient Med 7: 147-154 

  9. 최진규. 2001. 약이 되는 우리 풀, 꽃, 나무 1. 한문화, 서울. p 113-125 

  10. 박중곤. 2004. 약이 되는 우리 음식 순례. 소담출판사, 서울. p 316-321 

  11. 장수근. 2003. 몸에 좋은 산야초. 넥서스books, 서울. p 551 

  12. Jin TY, Park JR, Kim JH.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21-625 

  13. Song JH, Kwon HD, Lee WK, Park IH. 1997.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Korean J Biotechnol Bioeng 12: 560-564 

  14. Song JH, Kim HS, Kim YG, Son BG, Choi YW, Kang JS.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from Smilax china. J Agric Technol Dev Inst 3: 163-168 

  15. Shu XS, Gao ZH, Yang XL. 2006.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Smilax china L. aqueous extract. J Ethnopharmacol 103: 327-332 

  16. Lee SE, Ju EM, Kim JH.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enzyme fortify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Exp Mol Med 33: 263-268 

  17. Dykes L, Rooney LW, Waniska RD, Rooney WL. 2005.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grains of varying genotypes. J Agric Food Chem 53: 6813-6818 

  18. Rapisarda P, Tomaino A, Cascio RL, Bonina F, Pasquale AD, Saija A. 1999. Antioxidant effectiveness as influenced by phenolic content of fresh orange juices. J Agric Food Chem 47: 4718-4723 

  19. Marcocci L, Packer L, Dory-Lefaix MT, Sekaki A, Gardes-Albert M. 1994. Antioxidant ac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 Methods Enzymol 234: 462-475 

  20. Chawla SP, Jo C, Kang HJ, Kim MJ, Byun MW. 2003. Bioactivities of citrus (Citrus unshiu) peel extracts subjected to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storage temperatures and irradiation. J Food Sci Nutr 8: 349-355 

  21.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Technol 28: 232-239 

  22.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3. Shin SC. 1989.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Korean lettuce. PhD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Kwangju, Korea. p 39-40 

  24. Park YK, Lee WY, Park SY, Ahn JK, Han MS. 2005.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of Callistemon citrinus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4: 212-215 

  25. Song HS, Lee YJ, Kim SK, Moon WK, Kim DW, Kim YS, Moon KY. 2004. Downregulatory effect of AGI-1120 ( $\alpha$ -glucosidase inhibitor) an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cellular NF- $\kappa$ 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Pharmacogn 35: 92-97 

  26. Song HS, Park YH, Kim SK, Moon WK, Kim DW, Moon KY. 2004. Downregul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Mistletoe (Viscum album) and Pueraria Root (Pueraria radix) on cellular NF- $\kappa$ 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94-1600 

  27. Song HS, Moon KY. 2006.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profiles of $\beta$ -glucans isolated from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Food Sci Biotechnol 15: 437-440 

  28. Jensen FB. 1995. Uptake and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in animals. In Nitrogen metabolism and excretion. Walsh PJ, Wright P, eds. CRC Press Inc., New York. p 299-300 

  29. Alma MH, Mavi A, Yildirim A, Digrak M, Hirata T. 2003. Screening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Origanum syriacum L. growing in Turkey. Biol Pharm Bull 26: 1725-1729 

  30. Jayajothi E, Elavarasu T, Hamasaveni M, Sridhar SK.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riphala churna. Natur Prod Sci 10: 16-19 

  31. Richardson T, Hyslop DB. 1985. Enzymes. In Food chemistry. Fennema OR,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446-447 

  32. Jung SW, Lee N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