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lack Garlic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5, 2010년, pp.503 - 510  

양승미 (경남도립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신정혜 (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남해마늘연구소) ,  김성현 (경남도립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성낙주 (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흑마늘 추출액을 총 재료 중량에 대해 0, 1, 3, 6, 9 및 12%(W/W)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pH는 흑마늘 추출액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져, 흑마늘 추출액을 12% 첨가한 시료에서 $5.46{\pm}0.02$로 가장 낮았으며, 반죽의 밀도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12% 첨가시 $0.95{\pm}0.03\;g/mL$로 가장 낮았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흑마늘 추출액 첨가군에서 $143.08{\pm}0.61{\sim}143.63{\pm}0.25%$의 범위로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소성 후 식빵의 pH는 $6.87{\pm}0.01{\sim}7.75{\pm}0.02$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빵의 비용적은 $2.33{\pm}0.27{\sim}2.74{\pm}0.51\;mL/g$의 범위로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 겉껍질과 내부색 모두 명도값은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은 흑마늘 추출액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277.82{\pm}32.55$였으며, 씹힘성검성은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응집성은 흑마늘 추출액 12% 첨가구에서 가장 높아 $0.33{\pm}0.07$ 이였고, 복원성은 흑마늘 추출액 3% 이상 첨가시 $0.12{\pm}0.04{\sim}0.16{\pm}0.04$의 범위로 대조구 및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맛은 흑마늘 추출액 6%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할 경우 제빵 적성, 빵의 품질 개선 및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식빵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extract(0, 1, 3, 6, 9 and 12%(W/W)) were added to white pan bread,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e pH and density of doug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in the fermentation p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추출액을 비율별로 첨가한 식빵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흑마늘 추출액 첨가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과 흑마늘의 소비 촉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을 제거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과 달리 흑마늘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마늘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으로 인하여 충분한 양을 지속적으로 섭취가 어려우므로 굽거나 찌는 조리법을 활용하여 자극적인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Jeon YS 등 2008). 최근 들어 생마늘의 매운맛과 향을 제거하며,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킨 가공품인 흑마늘이 개발되었는데 흑마늘은 고온에 숙성하면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경우 갈변 반응으로 인하여 색이 검게 변하며, 단맛이 증가하고, 특유의 매운맛은 감소되며, 젤리와 같은 씹힘성을 가진다(Choi DJ 등 2008). 또한 생마늘 보다 항산화력이 상승하고, 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 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2차 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들도 추진되고 있다(Shin JH 등 2008). 흑마늘 2차 가공품과 관련한 연구로 흑마늘 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Kim MH 등 2008),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Lee JS 등 2009), 흑마늘 발효주 개발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Lee HH 등 2010), 흑마늘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Lee JO 등 2009)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제빵 분야에서 흑마늘을 이용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식빵이 주식의 개념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경제적 발전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의 양상은 점차 서구화, 간편화 되고 있는 추세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빵에 대해서도 점차 맛이나 모양 뿐 아니라 기능성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Hong SC와 Choe SN 2009). 그 중 식빵은 당과 유지의 비율이 낮고 단맛이 강하지 않아 주식의 개념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식품을 통해 건강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기호가 반영되면서 기존의 밀가루 외에 기능성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빵에 관한 연구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국내의 기능성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빵에 관한 연구로는 쌀, 보리, 옥수수 가루를 첨가한 식빵(Kwon HR과 Ahn MS 1995, Cho MK와 Lee WJ 1996), 두부비지를 이용한 식빵(Cho BJ와 Rhee SK 2003), 녹차(Im JG와 Kim YH 1999), 솔잎 추출물(Kim EJ와 Kim SM 1998), 감잎 분말(Bae JH 등 2001), 다시마가루(Kim SH 등 1998, Kown EA 등 2003), 발아콩가루(Jung JY 등 2006), 신선초 가루(Choi OJ 등 1999), 양파분말(Bae JH 등 2003) 및 흑미가루(Jung DS 등 2002) 등을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기능성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빵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 중 식빵은 당과 유지의 비율이 낮고 단맛이 강하지 않아 주식의 개념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식품을 통해 건강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기호가 반영되면서 기존의 밀가루 외에 기능성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빵에 관한 연구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국내의 기능성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빵에 관한 연구로는 쌀, 보리, 옥수수 가루를 첨가한 식빵(Kwon HR과 Ahn MS 1995, Cho MK와 Lee WJ 1996), 두부비지를 이용한 식빵(Cho BJ와 Rhee SK 2003), 녹차(Im JG와 Kim YH 1999), 솔잎 추출물(Kim EJ와 Kim SM 1998), 감잎 분말(Bae JH 등 2001), 다시마가루(Kim SH 등 1998, Kown EA 등 2003), 발아콩가루(Jung JY 등 2006), 신선초 가루(Choi OJ 등 1999), 양파분말(Bae JH 등 2003) 및 흑미가루(Jung DS 등 2002) 등을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200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is, St. Paul, MN. USA 

  2. Awazu S, Horie T. 1997. Antioxidants in garlic II. Protection of heart mitochondria by garlic diallyl polysulfide from the doxorubicin-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Nutraceutical: Designer Foods III Garlic, Soy and Licorice(Lanchance P.P. ed.). Food&Nutrition Press, Trumbull, CT. USA pp 131-138 

  3. Bae JH, Woo HS, Choe HJ, Choe 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8):1124-1128 

  4.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Diospyros kaki L.folium)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0(5):882-887 

  5. Chae MH, Park NY, Jeong EJ, Lee S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 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unufac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1267-1272 

  6. Cho BJ, Rhee SK. 2003. Studied on the preparation of the bread by using soybean cured dregs. J Korean Soc Food Technol 7(1):1-8 

  7.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1(5):541-549 

  8.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soybean curd residuce and makkoll(Ricewine) resid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4):632-636 

  9.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465-471 

  10. Choi OJ, Jung HS, Kang SK, Jung HS, Ko MS, Lee HC. 1999.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ngelica keiskei koidz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118-125 

  11. Chung JY, Kim KH, Shin DJ, Son GM. 2002.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738-742 

  12.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17-19 

  13. Hong SC, Choe SN. 2009. Studies on the munufacture and quality ch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Caposiphon fulvecense powder. J Fish Mar Sci Edu 21(1):28-42 

  14. Hong SY,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 Nutr 21(4): 485-491 

  15. Ichikawa M, Ryu K, Yochida J, Ide N, Yoshia S, Sasaoka T, Sumi SI. 2002. Antioxidant effects of tetrahydro- $\beta$ -carboline derivated identified in aged garlic extract. Bio Factors 16:57-72 

  16. Im JG, Kim YH. 1999.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J Korean Soc Food Sci 15(4):395-400 

  17. Jeon JL, Kim J. 2004.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 during storage added with extract from Ulmus Cortex.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2):180- 186 

  18. Jeon YS, Park SJ, Choi MK, Kang MH. 2008. Oxidation stablity of laver made with garlic-salt and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83-89 

  19. Jeung DS, Lee BS, Eun JB. 2002. Quality ch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rice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34(2):232-237 

  20. Joseph F Zayas. 1997. Functionality of proteins in food. Springer Verlag Berlin Germery pp.268-272 

  21. Jung DS, Lee FJ,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232-237 

  22. Jung JY, Chung HJ, Kim W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erminated soybean powder. J Korea Soc Food Sci Nutr 35(9):1260-1266 

  23. Jung JY, Kim WJ, Chu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9):1260-1266 

  24. Kang WW, Kim GV, Kim JK, Oh SL.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persimmon leave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16(4):336-341 

  25.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y utilizing extract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J Korean Food Sci Technol 30(3):542-547 

  26. Kim MH, Son CW, Kim MY, Kim MR. 2008. Physicochemic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am prepared with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632-1639 

  27. Kim SH, Park HY, Park WK. 199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d of diet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Nutr 17(4):320-325 

  28.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lumbo nucifera G. tea white bread with hemicellula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0):1294-1300 

  29. Kown EA, Chang MJ, Kim S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406-412 

  30. Kwon HR, Ahn MS. 1995. A study on rheological and general baking properties of breads and their rusks prepared of various cereal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11(1):379-486 

  31. Lee HJ, Jung SI, Hwang YI. 2009.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the plain bread added with onion juice. J Life Science 19(6):781-786 

  32. Lee HH, Kim IJ, Kang ST, Kim YH, Lee JO, Rye CH. 2010. Development of black garlic yakju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Food Sci Technol 42(1):69-74 

  33. Lee JO, Kim KH,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ged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71-77 

  34. Lee JS, Seoung YB, Jeoung BY, Yoon SJ, Lee IS, Jeong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1222-1228 

  35.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747-765 

  36. Lee MH,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J Korean Food culture 21(6):685-694 

  37. Lee SJ, Par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 Nutr 21(1):56-63 

  38. Lee SY, Choi JS, Choi MO, Cho SH, Kim KB, Lee HL, Park SM, Ahn DH. 2006. Effect of extract from Glycyo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on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912-918 

  39. Leelarungrayub N, Rattanapanone V, Chanarat N, Gebicki MG.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3):266-274 

  40.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J Korean Food culture 23(2):228-234 

  41. Moon HK, Han JH, Kim JH, Kim GY, Kang WW, Kim K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dried presimmons hot-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723- 729 

  42. Oh HK, Shin MS, Lim HS.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amul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5):643-650 

  43. Park GS, Kim SJ, Park EJ. 2001. Physicochemical and texture of bread added paecilomyces japonica according to storage peri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6):485-497 

  44.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8. Quality characteristic of bread added with powder and concentrate of Prunus mume. Korean J Food Preserv 15(5):682-686 

  45. Park YS, Park GS. 2001. The effect of green tea and black tea powder on the quality of bread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4):305-314 

  46.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 II. Sosland Pub Co Manhathan Kansas pp.891-895 

  47. Roels SP, Cleemput G, Vandewalle X. 1993. Bread volume potential of variable quality flours with contain protein level as determined by factor governing mixing time and baking absorption levels. Cereal Chem 70:318-323 

  48. Shin GM, Kim D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e 15(6):497-504 

  49.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of Life science 18(8):1123-1131 

  50. Shin JW, Shin GM. 2008. Roligocal properties of dough with added of Corni Fructs flours. Korean J Food preserve 15(3): 390-395 

  51. Stajner D, Milic N, Mimica-Dukic N, Lazic B, Igic R. 1998. Antioxidant abiliti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garlic. Phytotheraphy Research 12:S13-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