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4, 2008년, pp.497 - 504  

신길만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김동영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약재인 당귀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0{\sim}10%$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일반성분과 제빵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모두 대조구가 낮게 나타났고,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두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구와 당귀 분말 첨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빵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 하였으며, 부피는 감소하였다. 빵 색도 측정 결과 crust와 crumb의 색도는 대조구보다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에서는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은 증가하였고, 부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였다. Crumb softness 측정에서는 1일과 7일 경과 시 당귀 분말 2%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탄력성은 당귀 분말 5%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빵의 저장중 수분활성도는 3일 경과 후 당귀 분말 2%와 3%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7일후에는 모두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 평가에서는 맛, 향미,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 당귀 분말 0.5%와 1%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외관, 입안에서 느낌, 질감에 대한 기호도는 점점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생각할 때 당귀 분말을 $0.5%{\sim}1%$ 정도 첨가는 기능성 빵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powder on bread quality during storage period were evaluated. Bread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 0.5, 1, 2, 3, 5 and 10% of Angelica gigas nakai powder to flour of the basic formulation.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빵의 저장성 향상에 대한 연구로는 솔잎발효액 첨가 찐빵의 저장성 향상(10), B-Glucan 함유 우유빵 저장중 품질특성(11) 등으로 연구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조혈, 항균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당귀 분말을 첨가한다면 빵의 저장기간 연장과 품질이 개선된 기능성 빵 개발을 시킬 수 있을까하는 점에서 실험재료로 선택 하였으며, 당귀 분말을 밀가루에 0~10% 첨가하여 당귀 식빵을 제조하여, 최적의 당귀분말 첨가량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단면 외관 관찰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3에 나타냈다. 당귀 분말 첨가 빵의 대조구의 빵이 가장 크고 색깔이 황금 갈색에 가까 왔으며 기공도 일정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시료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많은 강력분의 량이 많아 글루텐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가스 유지가 많게 되며, 부피가 크고 얇은 세포벽과 기공이 고르고 좋은 내상(29)을 보이게 된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당귀 분말 첨가량이 0.5~10%의 빵에서는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거칠고 불균일하게 나타났으며, 색깔도 어둡고 부피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당귀 분말 10% 첨가 빵은 기공이 거칠고 불균일하며 부피가 가장 작고 색깔이 어둡게 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당귀 분말 의 색소 성분에서 생기는 것으로 꽈배기 모자반 추출물 첨가(30)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당귀 분말에는 단백질 함량이 적으므로 당귀 분말 첨가 량 만큼 밀가루 량이 줄어들게 되어, 단백질 함량 감소, 즉 글루텐 함량이 적어지면 가스 팽창력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 두꺼운 세포벽과 거친 기공을 보이게 된다(31)는 보고 결과와 일치하였다.
당귀는 일반가정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당귀의 약리작용에 관한 국내 연구가 많은데 당귀 및 산형과 식물 중 decursin 정량 연구(3), 품질 검사, coumarin 성분연구(4), 재배지역에 따른 참당귀의 decursin 함량변이(5), 추출물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6), 당귀 추출물의 면역증가 효과(7) 등이 있다. 당귀는 일반 가정에서는 잎으로 쌈, 어린순을 나물로 식용, 가루는 떡에 첨가하며, 뿌리를 차로 마시거나 생 뿌리로는 술을 담가 먹는 등 식품 재료로도 이용되고 있다(8, 9). 오늘날 식문화의 고급화와 더불어 빵 식사의 생활화되어 가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자연식품 및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천연식물 소재를 첨가한 빵의 기능성과 저장성을 증대 활용하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당귀란?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하여 왔다(1). 당귀의 뿌리를 꽃 피기 전에 채취해 건조한 것으로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며 달며, 효능은 생식기능 조절작용, 진정, 진통 작용, 항균작용, 조혈, 설사작용, 비타민E 결핍증, 빈혈증, 진통, 강장 및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an, D.S. (1988) Pharmacognosy. Myung publishing co. Seoul, p.201-203 

  2. Lee, S.L. (1994) Phytology, Young Lim publishing co. seoul, p.578-580 

  3. Kim, K.Y. (1990)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of decursin in Angelica gigantis radix and some umbel life rae plants. MS Thesis, Kyung Hee Univ, Korea 

  4. Ryu, K.S., Hong, N.D., Kim, N.J. and Kong, Y.Y. (1990) Studies on the coumarin constituents of the root of Angelica gigantis. Korean Pharmacognosy, 21, 64-68 

  5. Seong, N.S., Lee, S.W., Kim, K.S. and Lee, S.T. (1993) Environmental variation of decursin content in Angelica gigas. Korean J. Crop Sci., 38, 60-65 

  6. Lee, W.J., Yoon, J.R., Kim, E.K. and Ahn, K.T. (2000)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ntis radix of jin bu area. Korea J. Crop Sci., 45, 13-22 

  7. Yee, S.T, Jeong, Y.R., Ha, M.H., Byun, M.W. and Jo, S.K. (1998) Effect of angelica gigantis radix-water extract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mouse macrophage. Korea J. Crop Sci., 41, 1-8 

  8. Hwang, Y.S., Won, D.H., Yoon, T.B. and No, H.W. (1984) Studies on quality control method of crude drug preparations. Report of NIH Korea, 10, 341-348 

  9. Seong, N.S., Lee, S.W., Kim, K.S. and Lee, S.T. (1993) Environmeental variation of decursin content in angelica gigas. Korea J. Crop Sci. 38, 60-65 

  10. Chio, GM., Chung, S.K. and Lee, D.S. (2007) Shelf life extension of steamed breads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yrup as an 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16-621 

  11. Kang, E.U., Yung, Y.H., Oh, S.H., Lee, J.H., Chang, K.S., Kim, M.K., Cho, H.Y. and Kim, M.R. (2006)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k breads added with B-glucan from Agrobacter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13-621 

  12. Kim, M.L., Park, C.S., An, S.H. (2000) Effect of spice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s. Korean J. Soc. Food Sci., 16, 245-254 

  13.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4. Kim, Y.H. (2004) Effect of silk propert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s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46-256 

  15.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p.891 

  16. Kim, Y.S., Jeon, S.S., and Tung, S.T. (2002) Effect of lout root powder on the backing quality of breads.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8, 413-425 

  17. Kim, E.J. and Kim, S.M. (1998) Breads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9 

  18. Lee, Y.W. and Shin, D.H. (2001) Breads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mume. Korea J. Food Nutr., 14, 305-310 

  19. Sas institute inc. (1998)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03. Sta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0. Shin, G.M. (1999) Breads technology. Shingwang Publishing Co, Seoul., p.80-81 

  21. Chang, K.H., Byun, G.I., Park, S.H and Kang, W.W. (2008)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Preserv., 15, 209-213 

  22. Park, H.S., Choi, K.M., Han, G.D. (2008)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40-646 

  23. Jung, J.Y., Chung, H.J and Kim, W.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erminated soybea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60-1266 

  24. Kim, D.W. and K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monascusanka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9, 39-50 

  25. Kim, H.K. and Kim, S.K. (1997) Wheat and milling industrial.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ial Association., Seoul, p.107-110 

  26. Bowers, J. (1992) Food theory and applcations. Macmillan, 2, 326 

  27. Owen, R.F. (1996) Food Chemistry 3th ed. Dekker., 3, 171-173 

  28. Park, G.S. and Lee, S.J. (1999) Effect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bread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44-1250 

  29. Kim, Y.H., Yook, H.S., Ahn, H.J., Kim, D.H., Kim, J.O. and Byun, M.W.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y of breads preparations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30. Lee, S.Y., Kim, KBWR., Song, E.J, Kim, H.J., Kim, A.R. and Kim, M.J.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90-496 

  31. He, H., and Hon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2-19 

  32. Chio, D.M., Chung, S.K., and Lee, D.S. (2007) Shelf life extension of steamed bread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yrup as an 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6-621 

  33. Chun, S.S. and Kim, M.Y. (2008) Effects of sourdoug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ye-wheat mixed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25-632 

  34. Lee, S.Y., Kim, KBWR., Song, E.J., Kim, H.J., Kim, A.R. and Kim, M.J.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90-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