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거주 외국인들의 고기요리에 대한 소비행태
Dining-out Tendencies of Foreign Residents for Meat Dish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5, 2010년, pp.568 - 577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  서상희 (한국식품연구원) ,  권기현 (한국식품연구원) ,  이민아 (한국식품연구원) ,  홍상필 (한국식품연구원) ,  이은정 (신흥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by researching the awareness and consumption tendencies of 180 domestic foreign residents towards Korean meat dishes.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types of food depending on gender; men te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고기요리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소비성향 조사를 통해 외국인대상 한식 고기요리 관련 산업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180명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한국 음식 중 학술적, 상업적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음식으로는 김치, 불고기, 비빔밥, 장류 등을 들 수 있으며(Kim 외 2003), 세계 식문화의 총 집합지라 할 수 있는 미국인의 식생활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민족음식(Ethnic Food)으로 중식, 이태리식, 멕시코식의 순으로 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외 일식, 라틴 아메리카식, 프랑스식, 베트남식, 한식 순으로 보고함으로써 한식의 시장 가능성도 함께 제시된 바 있다(Sloan 2002). 본 연구에서는 한식을 경험한 외국인들의 대상으로 외국인에게 선호도가 높은 고기요리에 대한 한식 고기요리의 소비성향을 파악하여 이와 관련된 외식업체의 개선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5. 한국 음식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맛이 좋다.>건강에 좋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가 한식, 한지, 한복 등 우리 고유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 어떤 정책을 진행하였는가? 이에 따라 정부를 중심으로 학계 및 업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식을 세계화 하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kiko 2006; Jang 2006). 특히 정부는 한식, 한지, 한복 등 우리 고유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한(韓) 브랜드 정책’을 진행하는 등 문화관광부와 농림부 등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세계에 우리 음식의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국내 외식 업체들의 해외 진출 및 이미 해외에 진출해 있는 한식업소들의 성공적인 영업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MIFAFF 2004; MCST 2005; Hong 외 2007).
전반적으로 한식 중에서 어떤 것이 외국인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가? 일례를 들어 중국인들은 불고기, 냉면, 김밥, 나물, 부침개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인들은 비빔밥, 파전, 냉면, 불고기, 두부, 김치를, 서양인들은 불고기, 갈비구이, 잡채, 비빔밥, 파전, 김치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한식 중에도 고기요리(갈비, 불고기, 삼계탕 등)가 외국인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oon 등 1986; Lee 등 1993; Lee & Oh 1995; Jang 등 1996; Lee등 1996; Han 등 1998; Chang & Cho 2000; Joo 등 2001).
국내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고기요리에대한 인식과 기호도 소비성향 조사를 통해 외국인대상 한식 고기요리 관련 산업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1.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76.7%가 한식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고, 22.2%가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다.’라고 응답한 반면 ‘싫어한다.’고 응답한 응답률은 1.1%로 조사대상 국내거주 외국인들의 대부분이 한국 음식을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한국음식을 좋아하는 이유로는 맛, 건강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고기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좋아하지 않는 이유로는 ‘강한 냄새’와 ‘익숙하지 않아서’라는 응답을 보였다. 3. 성별에 따른 한국음식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남, 녀 모두 한국음식을 좋아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좋아하는 이유로는 맛>건강>독특해서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선호하는 음식으로는 남성의 경우 고기류>탕류>밥류의 순으로, 여성의 경우 고기류>밥류>탕류의 순으로 조사되어 성별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4. 한 달 평균 한식당 방문횟수는 12~24개월의 거주자를 제외하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한 달 평균 20회 이상의 한국음식을 섭취한다는 비율이 증가하며 식사를 위해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한국 음식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맛이 좋다.>건강에 좋다.>강한 향신료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보완점으로는 메뉴의 다양성>맛>위생상태>외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6. 먹어 본 경험이 가장 많은 요리는 불고기로 98.9%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갈비(91.7%), 삼겹살(91.1%)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섭취경험을 보인 요리는 수육(66.7%)과 닭볶음탕(67.8%)로 조사되었다. 섭취 경험이 많은 요리는 조리가 비교적 간편한 구이류로 조사되었다. 7. ‘보통이다.’의 응답을 제외한 섭취경험과 ‘좋아한다.’는 응답률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음식은 갈비>불고기>닭갈비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낮은 만족도를 보인 음식은 육개장>수육>설렁탕의 순으로 나타났다. 8. 육류 요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좋아하는 이유로는 ‘맛이 있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싫어하는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를 응답하는 것으로 보아 ‘맛’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외로 등심구이, 소갈비찜, 닭찜, 삼계탕, 닭볶음탕과 같은 요리는 익숙하지 않은 향과 맛을 싫어하는 이유로 응답하였으며, 갈비의 경우 ‘위생적이지 않다.’라는 응답이 조사되었다. 9. ‘보통이다.’와 무응답을 제외한 후 불편한 점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면 음식위생, 옷에 남는 고기 냄새, 구울 때 나는 연기의 경우 중요도가 높은 반면 가스버너의 사용이나 그릇의 그을음의 경우 비교적 중요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kiko O. 2006. Migration of food culture to Japan to Korea, Abstract of 41st symposi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eoul. pp. 81-86 

  2. Chang MJ, N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 15(3):215-223 

  3. Han JS, Kim JS, Kim SY, Kim MS.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1998. Korean J. SOC. Food Sci, 14(2):188-194 

  4.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5. Jang EJ, Lee YK, Lee HG. 1996. The Study for Consciousness, Dietary Life Behaviors on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 11(2):179-206 

  6. Jang SJ. 2006. Industralization of Korean food to food service, Abstract of 42n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eoul. pp. 17-24 

  7. Joo NM, Sim YJ, Lee KA, Jeng HS, Park S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Traditional Food .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6):15-23 

  8. Khoe KI, Powe SJ, Lim HC. 2007.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9(2):375-397 

  9. Kim CJ, Kwon DY, Cho YJ, Chun HS, Hong SI, Jang DJ, Kim MH. 2003. Technology road maps for R&D strategy of KFRI,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Republic of Korea 

  10. Kim Jae Soo. 2006. Korean food to the world. Baek-san publishing Co. 

  11. Kim SH, Lee MA,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75-85 

  12.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13. Kye Sh, Yoon SI. 1988. Food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3(1):78-79 

  14. Lee HG, Oh MY. 1995. Consciousness, knowledge and food preferences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65-87 

  15. Lee KA, Jang YA, Kim WK. 1993.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Opin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4):183-191 

  16. Lee YM, Lee KW, Chang HK. 1996. Eating out behaviors and attitude toward Korean foods in adult. Korean J. Food Culture, 11(3):317-326 

  17. Lee YJ. 2007.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Kyunghee University. pp 125-128 

  18. Lee YJ, Lee SB, Influences of globalization Strategy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Korea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2008.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3):117-135 

  1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4.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traditional foodservice for promoting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2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5. The report of Han (韓)- brand police forum 

  21. Moon SJ, Shon KH, Lee YM and Ahn KM. 1986. Food preferences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pp 67-73 

  22. Na JK. 2008. A study on the Localization models development for the Korean restaurant.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1) 

  23.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Korean Cuisine Restaurant. Korean J. Food Culture, 24(2):126-136, 

  24. Sim YJ, Jung BM, Kim ES, Joo NM. 2000.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S . Korean J. Soc. Food Sci.16(3) 

  25. Sloan AE. 2002. Fast and casual, Today's food service trends. Food Tech, 56(9):34 

  26. Yu DJ, Cho SH. 200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Chinese Tourists. Tourism Management Research Organization, 7(2):7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