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거주 독신 외국인의 한국음식 인식 및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Among Unmar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3, 2012년, pp.337 - 347  

곽용화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식생활문화 전공) ,  남유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식생활문화 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식생활문화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one-to-one interviews or group sessions with single un-married foreigners living and working in Korea.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09 were analyzed. This demographic becomes immersed in local cuisine searching for new food dishes and exper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독신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견해와 한국음식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오랫동안 형성되어 왔던 식습관이 우리나라에 거주하면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음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독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국음식과 한식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국 및 동남아 외국인 노동자뿐만 아니라, 북미 유럽 및 아시아의 일반 회사원, 외국어 강사, 전문직 종사자들을 조사대상자로 삼아 나타나는 조사결과를 비교하고, 좀 더 폭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음식 이용 실태 조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중국 및 동남아 외국인 노동자뿐만 아니라, 북미 유럽 및 아시아의 일반 회사원, 외국어 강사, 전문직 종사자들을 조사대상자로 삼아 나타나는 조사결과를 비교하고, 좀 더 폭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음식 이용 실태 조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의 식당운영에 대한 자료뿐만 아니라 외국인 정책의 기초자료 및 세계화를 위한 한국음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독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국음식과 한식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국 및 동남아 외국인 노동자뿐만 아니라, 북미 유럽 및 아시아의 일반 회사원, 외국어 강사, 전문직 종사자들을 조사대상자로 삼아 나타나는 조사결과를 비교하고, 좀 더 폭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음식 이용 실태 조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의 식당운영에 대한 자료뿐만 아니라 외국인 정책의 기초자료 및 세계화를 위한 한국음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이 한국음식을 싫어하는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는 무엇인가? 외국인이 한국음식을 싫어하는 이유는 Table 10과 같다. 주로 냄새(46.3%)와 맛(40.2%)인 것으로 나타났고, 모양(8.5%) 이나 기타(4.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음식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종류 두 가지는 무엇인가? 독신 외국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음식 선호도는 Table 7과 같다.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음식으로는 찌개 또는 전골류(31.1%)와 구이 및 볶음류(30.1%)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김치류(15.5%), 밥류(14.
외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한국음식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음식의 종류는 무엇인가? 외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한국음식에 대한 조사결과는 Table 9와 같다. 젓갈류가 45.2%로 가장 많았고, 장류(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은미, 김지현. 2008. 다인종.다민족 사회의 형성과 사회 조직(서울의 외국인 마을 사례). 한국사회학 42(2):1-35, 231-232 

  2. 김현주. 2006. 국내거주 외국인 소비생활 실태. 한국소비자보호원. pp27-50 

  3. 통계청, 외국인 근로자 고용동향,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01 Assessed April 09. 2012 

  4.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458-468 

  5. Choi JA. 2003. Modernizing Korean traditional table settings. Masterate thesis. The Ehwa Woman's University. pp 29 

  6. Jang KJ. 2007. A research on the design of cooking machine system for solitary household increasing modern society. Korean Soc Basic Design Art 8(1):529-539 

  7. Jung HS, Yoon HH. 2010. Comprehensive study of custo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87-996 

  8. Jung YW.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cuisine. Korean J Culinary Res 16(2):170-184 

  9. Kim S, Lee MA, Kim EM,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619-629 

  10. Lee SY, Hwang SJ. 2003. A Study of the Lifestyle for Single Professional Female. Human Life Sci 6:267-282 

  11. Lee SJ, Kim EM, Lee MA, Kim S. 2006. Consumer survey of foreigners and Korean about Korean and Thai foods and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122-130 

  12. Lee SJ, Lee KH. 2011.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and quality of Korean foods. J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467-478 

  13. Lee SM. 2011. Selection of Korean cuisine restaurants of foreigners living in the Korea. J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379-386 

  14. Lim HJ, Lee IH, Suk WE, LEE JM, Choue R.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6):671-679 

  15. Min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Korean J Culinary Res 16(5):92-102 

  16. Seo KH, Lee SB, Shin MA.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19(6):715-722 

  17.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3):363-3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