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기의 산지별 및 연근별 isoflavonoids의 함량분석
Analysis of Isoflavonoid Cont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and at Various Age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3, 2010년, pp.271 - 276  

임경란 ((주)사임당화장품 기술연구소) ,  김미진 ((주)사임당화장품 기술연구소) ,  정택규 ((주)사임당화장품 기술연구소) ,  윤경섭 ((주)사임당화장품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3대 약재의 하나이며 인삼 다음으로 사용량이 많은 약재로서 황기의 성분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황기의 주성분에 대한 표준화가 현재 정확히 마련되지 않은 현 실정을 감안하여 황기의 연근별 및 산지별 isoflavonoids의 함량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지별 5종 황기 (제천, 정선, 영주, 태백, 중국)의 1년 근 및 3년 근 80% EtOH수용액 추출물을 가지고 calycosin 과 formononet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cellulase, $\beta$-glucanase 및 xylanase가 주성분인 Viscozyme L을 가하여 효소처리한 후, calycosin과 formononetin의 함량을 측정하고 아울러 이들의 배당체 함량도 예측하였다. 추출물의 전체 고형분의 양은 산지별로는 중국산 > 영주산 $\geq$ 정선산 $\geq$ 제천산 $\geq$ 태백산으로 상대적으로 중국산의 고형분의 양이 월등히 많았다. 또한 5종의 산지별 황기는 3년근보다는 1년 근의 고형분의 양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Calycosin 함량은 효소처리 전에는 3년 근보다 1년 근에서 높았으며, 정선산 $\geq$ 중국산 > 제천산 > 태백산 > 영주산 순이었다. 효소처리 후에는 1년 근보다는 3년 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제천산 > 정선산 $\geq$ 중국산 > 태백산 > 영주산으로, 이는 제천산의 경우 calycosin 배당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정선산 및 중국산 1년 근의 경우는 효소처리 후에도 calycosin 함량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보아 calycosin 배당체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Formononetin 함량은 효소처리 전 후 모두 전반적으로 calycosin에 비해 낮았으며, 정선산과 영주산은 효소처리 후에도 formononetin 함량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보아 formononetin 배당체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산지별로 isoflavonoids의 함량을 보면 제천산이 가장 높았으며, 고형분 함량을 고려한다면 중국산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근별로 isoflavonoids의 함량을 보면 재배 연수가 오래됐다고 해서 이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지지는 않았다. 지표성분의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연구의 지표성분인 isoflavonoids 함량은 산지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임으로 황기를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원료로 이용할 경우 산지 및 연근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isoflavonoid contents that can be used to index Astragalus membranaceus B.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Isoflavonoid cont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which were cultivated in various areas (Jecheon, Jeongseon, Y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3대 약재의 하나이며 인삼 다음으로 사용량이 많은 약재로서 황기의 성분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황기의 주성분에 대한 표준화가 현재 정확히 마련되지 않은 현 실정을 감안하여 황기의 연근별 및 산지별 isoflavonoids의 함량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배당체 형태의 isoflavonoids를 무배당체의 형태의 isoflavonoids로 전환시키는 방법들이 보고되어 있지만 [26], 이는 수율이 낮고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성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당분해효소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분해효소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제천산 1년 근 황기의 효소별 지표성분의 함량을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황기의 주요 활성 isoflavonoids 무배당체 성분인 calycosin과 formononetin 함량이 효소처리 시 5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일반적으로 황기는 재배 연수에 따라 유통되고 있으며, 황기의 연근별 활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반면, 국내에서 재배하는 황기의 산지별 및 연근별 성분의 변화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기를 산지별 및 연근별로 나누어 지표성분의 함량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기는 무엇인가? 황기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단너삼의 뿌리로 한국, 중국, 몽고 등의 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아프리카의 일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정선과 태백, 경상북도 영주, 충청북도 제천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1-3].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실험에서도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증강효과, 항산화효과, 항노화효과, 항염작용, 강장작용, 이뇨작용, 항종양작용, 항바이러스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10].
한방과 약리 실험에서 보고하는 황기의 효능은 무엇인가? 황기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단너삼의 뿌리로 한국, 중국, 몽고 등의 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아프리카의 일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정선과 태백, 경상북도 영주, 충청북도 제천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1-3].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실험에서도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증강효과, 항산화효과, 항노화효과, 항염작용, 강장작용, 이뇨작용, 항종양작용, 항바이러스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10]. 황기는 오래전부터 인체를 보하는 약재로서 한방에서는 황기건중탕 (黃沂建中湯),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황기계지오물탕 (黃耆桂枝五物湯), 방기황기탕 (防己黃耆湯) 등의 많은 한방 처방에서 황기를 인삼 다음의 보기약으로서 사용하던 재료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이미 확인된 바 있다 [11].
황기의 주요성분으로 보고된 것은 큰 분류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황기의 주요성분으로는 triterpenoids, isoflavonoids, polysaccharides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12]. 황기에 포함된 triterpenoids 성분은 astragalosides와 같은 saponin류의 배당체가 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in, Y., S. I. Heo, M. J. Jung, and M. H. Wang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Pharmacogn. 40: 1-5. 

  2. Kim, J. S. and C. S. Kim (1997)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I). Kor. J. Pharmacogn. 28: 75-79. 

  3. Min, S. H. and B. R. Lee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Culture. 23: 228-234 

  4. Xie, Z. F., Z. C. Lou, and X. K. Huang (1994) Classified diction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 374, New World Press, Beijing. 

  5. Rios, J. L. and P. G. Waterman (1997) A review of the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Astragalus. Phytother. Res. 11: 411-418. 

  6. Hikino, H., S. Funayama, and K. Endo (1976) Hypotensive principles of Astragalus and Hedysarum roots. Planta Med. 30: 297-302. 

  7. Tomoda, M., N. Shimizu, N. Ohara, R. Gonda, S. Ishii, and H. Otsuki (1992) A reticuloendothelial system activation Glycan from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hytochemistry. 31: 63-66. 

  8. Zang, Y. D., Y. L. Wang, J. P. Shen, and D. X. Li (1984) Hypotens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tragalus saponin 1. Acta. Pharm. Sin. 19: 333-337. 

  9. Li, C. Y. and H. I. Rhee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J. Agric. Sci. 15: 103-110. 

  10. Baek, N. I., Y. S. Kim, J. S. Kyung, and K. H. Park (1996) Isolation of anti-hepatotoxic agent from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Pharmacogn. 27: 111-116. 

  11. Lee, H. Y., H. K. Ha, D. Y. Jung, J. Y. Choi, N. H. Lee, J. Y. Ma, Y. B. Yu, and H. K. Shin (2008) Study on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ipjeondaebotang by difference in component ratio between Astragali Radix and Cinnamomi cortex. J.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9: 156-166. 

  12. Lin, L. Z., X. G. He, M. Lindermajer, G. Nolan, J. Yang, M. Cleary, S. X. Qiu, and G. A. Cordell (2000)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study of the flavonoids of the roots of Astragalus mongholicus and A. membranaceus. J. Chromatogr. A. 876: 87-95. 

  13. Hirotani, M., Y. Zhou, H. Lui, and T. Furuya (1994) Astragalosides from hairy root cultur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hytochemistry. 36: 665-670. 

  14. T. Wu, T., S. W. Annie Bligh, L. H. Gu, Z. T. Wang, H. P. Liu, X. M. Cheng, C. J. Branford-White, and Z. B. Hu (2005)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ix isoflavonoids in commercial Radix astragali by HPLCUV. Fitoterapia. 76: 157-165. 

  15. Xiao, H. B., M. Krucker, K. Albert, and X. M. Liang (2004) Deter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isoflavonoids in Radix astragali by matrix solid-phase dispersion extraction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and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J. Chromatogr. A. 1032: 117-124. 

  16. Ma, X., T. Zhang, Y. Wei, P. Tu, Y. Chen, and Y. Ito (2002) Preparativ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calycosin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962: 243-247. 

  17. Zheng, H. Z., Z. H. Dong, and Q. She (1998) Modern stud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 3886, Xue Yuan Press, Beijing. 

  18. Yu, D., Y. Duan, Y. Bao, C. Wei, and L. An (2005) Isoflavonoids from Astragalus mongholicus protect PC12 cells from toxicity induced by L-glutamate. Journal of ethnophamacology. 98: 89-94. 

  19. El-Sebakhy, N. A., A. M. Asaad, R. M. Abdallah, S. M. Toaima, M. S. Abdel-Kader, and F. R. Stermitz (1994) Antimicrobial isoflavans from Astragalus species. Phytochemistry. 36: 1387-1389. 

  20. Kim, M. J., K. R. Lim, T. K. Jung, and K.-S. Yoon (2007) Anti-aging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 33-40. 

  21. Jung, T. K., M. J. Kim, K. R. Lim, and K.-S. Yoon (2006) Moisturizing and anti-oxidation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193-200. 

  22. Kim, M. J., J. Y. Kim, S.-W. Choi, J. T. Hong, and K.-S. Yoon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 15-22. 

  23. Kim, M. J., J. Y. Kim, T. K. Jung, S.-W. Choi, and K.-S. Yoon (2006) Skin anti-aging effect of Forsyrhia viridissima L. extract.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44-450. 

  24. Fan, Y., D. Z. Wu, Y. Q. Gong, J. Y. Zhou, and Z. B. Hu (2003) Effects of calycosin on the impairment of barrier function induced by hypoxia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Eur. J. Pharmacol. 14: 33-40. 

  25. Kim, H. J., Y. C. Bae, R. W. Choi, S.-W. Choi, S. H. Cho, S. H. Cho, Y. S. Choi, and W. J. Lee (2002) Bone-protecting effect of safflower seeds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71: 88-94. 

  26. Kao, C. (1992) Production of isoflavonoid. Japan patent 19921907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