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process and HPLC 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s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from Astragali radix. Five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황기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건강개선 기능성 원료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황기의 적정 추출물 제조방법 평가 및 지표성분의 분석법 검증을 통해 원료 표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향후 황기의 기능성 원료를 개발한 후 황기 원료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품질관리를 위한 적절한 지표성분의 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에서 황기 식물 재배지는? mongholicus Hsiao (몽골황기)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을 말한다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황기 식물은 주산지인 한국, 중국, 몽골 둥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최근 충북 제천, 강원도 정선에서 주로 재배하고 그 외 강원도 영월, 경북 봉화 등지에도 재배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식품과 한약재로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대한약전의 기원식물에 대한 황기의 정의는? 황기 (Astragali radix)는 대한약전의 기원식물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콩과의 식물인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황기) 또는 Astragalus membran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몽골황기)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을 말한다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황기 식물은 주산지인 한국, 중국, 몽골 둥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최근 충북 제천, 강원도 정선에서 주로 재배하고 그 외 강원도 영월, 경북 봉화 등지에도 재배하고 있다.
황기의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 중 특히 주요 활성물질로 평가되고 있는 것은? , 2011). 특히 황기의 flavonoid 성분은 다양한 생리활성의 주요 활성물질로 평가되고 있다 (Kim and Kim, 1997; Kim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WCS and Leung KN. (2007).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Cancer Letters. 252:43-54. 

  2. Choi S, Park SR and Heo TR. (2005). Inhibitory effect of Astragali radix on matrix degradation in human articular cartilage.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5:1258-1266. 

  3. Choi SI, Heo TR, Min BH, Cui JH, Choi BH and Park SR. (2007). Alleviation of osteoarthritis by calycosin-7-O- ${\beta}$ -Dglucopyranoside( CG) isolated from Astragali radix(AR) in rabbit osteoarthritis(OA) model.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15:1086-1092. 

  4. Dong TTX, Ma XQ, Clarke C, Song ZH, Ji ZN, Lo CK and Tsim KWK. (2003). Phylogeny of Astragalus in China: Molecular evidence from the DNA sequences of 5S rRNA spacer, ITS, and 18S rRN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6709-6714. 

  5. Du XG, Zhao B, Li JY, Cao XH, Diao MK, Feng HB, Chen XB, Chen ZY and Zeng XY. (2012). Astragalus polysaccharides enhance immune responses of HBV DNA vaccination via promoting the dendritic cell maturation and suppressing Treg frequency in mice.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14:463-470. 

  6. Kajimura K, Takagi Y, Ueba N, Yamasaki K, Sakagami Y, Yokoyama H and Yoneda K. (1996). Protective effect of Astragali radix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fection in mice.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855-859. 

  7. Kim JH, Park SY, Lim HK, Park AY, Kim JS, Kang SS, Youm JR and Han SB. (2007). Quantitative evaluation of Astragali radix through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ioactive isoflavonoids and saponins by HPLC/UV and LCESI-MS/MS.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8:1187-1194. 

  8. Kim JS and Kim CS. (1997).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8:75-79. 

  9. Kim JS, Kim YT and Kim CS. (2002).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I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1:109-111. 

  10. Kim SH, Jun YM, Lim JJ, Kim SH, Chung IM and Kim EH. (2012). Variation of astragalosides contents in cultivated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372-380. 

  11. Kim SP, Kim SM, Ryu HS, Shin JC, Lee DG, Lee OJ, Lee JH and Kim JH. (2012a). The effects of Astraglai radix pharmacopuncture at CV12 on osteoporosis of senescence accelerated mice(SAM) P6.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9:59-71. 

  12. Lee DY, Noh HJ, Choi J, Lee KH, Lee MH, Lee JH, Hong Y, Lee SE, Kim SY and Kim GS. (2013). Anti-Inflammatory cycloartane-type saponi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Molecules. 18:3725-3732. 

  13. Lee YM, Choi SI, Lee JW, Jung SM, Park SM and Heo TR. (2005). Isolation of hyaluronidase inhibitory component from the roots of Astraglus membranaceus Bunge(Astragali radix).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4:263-267. 

  14. Lee YS, Han OK, Park CW, Suh SI, Shin SW, Yang CH, Jeon TW, Lee ES, Kim KJ, Kim SH, Yoo WK and Kim HJ. (2003).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queous-extracted Astragali radix in methotrexate-treated mouse spleen cell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84:193-198. 

  15. Lei H, Wang B, Li WP, Yang Y, Zhou AW and Chen MZ. (2003). Anti-aging effect of astragalosides and its mechanism of action. Acta Pharmacologica Sinica. 24:230-234. 

  16. Liu J, Zhao ZZ and Chen HB. (2011). Review of Astragali radix. Chinese Herbal Medicines. 3:90-105. 

  17. Lv YW, Hu W, Wang YL, Huang LF, He YB and Xie XZ. (2011).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Astragali radix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AD and ESI-MS detection. Molecules. 16:2293-2303. 

  1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3). Production report of industrial crops in 20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85.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3). The Korean pharmacopoei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1228.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3). The functional ingredients recognized status of health functional fo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5. 

  21. Wang XJ and Feng P.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Qizhu tang. Acta Pharmacologica Sinica. 21:1141-1144. 

  22. Zhang WJ, Hufnagl P, Binder BR and Wojta J. (200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stragaloside IV is mediated by inhibition of NF-kappa B activation and adhesion molecule expressi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90:904-914. 

  23. Zhang YD, Wang YL and Shen JP. (1984). Effect of astragaloside IV on inflammatory and hypertension. Acta Pharmacologica Sinica. 19:333-3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