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 제품 개발 동향과 과제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4, 2010년, pp.303 - 310  

서재구 ((주)쎌바이오텍 연구소) ,  이과수 ((주)쎌바이오텍 연구소) ,  김진응 ((주)쎌바이오텍 연구소) ,  정명준 ((주)쎌바이오텍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로바이오틱스는 위장관에서 고유의 생리활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섭취 후 최대한 장까지 사멸하지 않고 도달하도록 하는 코팅이나 encapsulation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함께 제품의 형태도 여러 종류의 유산균이 포함된 multispecies probiotics가 선호되는 추세이며 높은 생균수를 가지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토틱 시장은 현재까지 생균 중심의 제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사균체 제품 또는 박테리오신과 같은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제품 또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생균제와 비교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련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프로바이오틱 제품들은 살아 있는 생균제로서 질환특이적 효능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질환개선 효능 표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품에 사용된 strain의 동정, 안전성 및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임상을 통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검증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헬스클레임에 대한 엄격해진 검증은 앞으로 프로바이오틱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iotics beneficially affect the health of the host via various mechanisms in the intestine. Recent developments in probiotic products have mainly been made to maximize probiotic effects in human. In this regard, probiotic products containing doubly coated or encapsulated cells, multi-species pr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문에서는 생균 제품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프로바이오틱 시장에서 제품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동향과 넓은 의미에서 프로바이오틱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는 사균체를 포함하는 제품과 박테리오신 (bacteriocin) 함유 제품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뿐만 아니라 치료용 약물을 생산, 전달하는 의약품으로서 유산균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설명하고, 최근 프로바이오틱 기업들의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의 안전성과 기능성 표시에 대한 강화된 규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본문에서는 생균 제품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프로바이오틱 시장에서 제품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동향과 넓은 의미에서 프로바이오틱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는 사균체를 포함하는 제품과 박테리오신 (bacteriocin) 함유 제품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뿐만 아니라 치료용 약물을 생산, 전달하는 의약품으로서 유산균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설명하고, 최근 프로바이오틱 기업들의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의 안전성과 기능성 표시에 대한 강화된 규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 사균체 제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유산균 사균체 제품은 생균제품과 비교하여 높은 안전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높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유통기간을 늘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균체 제품은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제, 의약품, 동물사료 등과 같은 기존의 유산균 생균이 적용되어 온 분야 외에도 화장품 원료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사람의 위장관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람의 위장관 (gastrointestinal tract)은 수백 종 이상의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는 복잡한 생태계이며, 이 안에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의 수보다 10배나 많은 수의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장내미생물의 대부분은 소장의 말단인 회장 (ileum)과 대장 (colon)에 서식하고 미생물-미생물 또는 미생물-숙주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에 기여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정의는 무엇인가? 프로바이오틱스는 섭취 시 사람이나 동물에게 건강상의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Lactobacillus나 Bifidobacterium으로 대변되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정장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ssinen, A., L. Krogius-Kurikka, H. Makivuokko, T. Rinttila, L. Paulin, J. Corander, E. Malinen, J. Apajalahti, and A. Palva (2007) The fecal microbiota of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at of healthy subjects. Gastroenterology 133: 24-33. 

  2. Young, V. B. and T. M. Schmidt (2004)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ccompanied by large-scale alterations in the composition of the fecal microbiota. J. Clin Microbiol. 42: 1203-1206. 

  3. Swidsinski, A., A. Ladhoff, Pernthaler, S. Swidsinski, V. Loening-Baucke, M. Ortner, J. Weber, U. Hoffmann, S. Schreiber, M. Dietel, and H. Lochs (2002) Mucosal flora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Gastroenterology 122: 44-54. 

  4. Fasoli, S., M. Marzotto, L. Rizzotti, F. Rossi, F. Dellaglio, and S. Torriani (2003) Bacterial composition of commercial probiotic products as evaluated by PCRDGG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82: 59-70. 

  5. Hamilton-Miller, J. M., S. Shah, and J. T. Winkler (1999) Public health issues arising from microbiological and labelling quality of foods and supplements containing probiotic microorganisms. Public Health Nutr. 2: 223-229. 

  6. Temmerman, R., I. Scheirlinck, G. Huys, and J. Swings (2003) Culture in dependent analysis of probiotic product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9: 220-226. 

  7. Dunne, C., L. Murphy, S. Flynn, L. O'Mahony, S. O'Halloran, M. Feeney, D. Morrissey, G. Thornton, G. Fitzgerald, C. Daly, B. Kiely, E. M. Quigley, G. C. O'Sullivan, F. Shanahan, and J. K. Collins (1999) Probiotics: from myth to reality. demonstration of functionality in animal models of disease and in human clinical trials. Anton. Leeuw. 76: 279-292. 

  8. Rolfe, R. D. (2000) The role of probiotic cultures in the control of gastrointestinal health. J. Nutr. 130: 396S-402S. 

  9.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 J. Appl. Bacteriol. 66: 365-378. 

  10. Lee, Y. K., K. Nomoto, S. Salminen, and S. L. Gorbach. (1999) Handbook of Probio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11. Salminen, S., A. Ouwehand, Y. Benno, and Y. K. Lee (1999) Probiotics: how should they be defined? Trends Food Sci. Technol. 10: 107-110. 

  12. Li, N., W. M. Russell, M. Douglas-escobar, N. Hauser, M. Lopez, and J. Neu (2009) Live an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GG: effects on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chemokines in gastrostomyfed infant rats. Pediatr. Res. 66: 203-207. 

  13. Hirose, Y., S. Murosaki, Y. Yamamoto, K. Muroyama, Y. Miwa, A. Fujishima, and B. Lynch (2009) Safety studies of LP20 powder produced from heat-killed Lactobacillus plantarum L-137. Regul. Toxicol. Pharmacol. 54: 214-220. 

  14. Kabak, B. and I. Var (2008) Factors affecting the removal of aflatoxin M1 from food model b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J. Environ. Sci. Health B. 43: 617-624. 

  15. Kim, D. and M. J. Chung (2004) A probiotics condensate mixture: Novel antimicrobial application. Nutrafoods 3: 11-16. 

  16. Kang, B. S., J. G. Seo, G. S. Lee, J. H. Kim, S. Y. Kim, Y. W. Han, H. Kang, H. O. Kim, J. H. Rhee, M. J. Chung, and Y. M. Park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enterocins from Enterococcus faecalis SL-5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the causative agent in acne vulgaris, and its therapeutic effect. J. Microbiol. 47: 101-109. 

  17. Hillman, J. D. (2002) Genetically modified Streptococcus mutan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ton. Leeuw. 82: 361-366. 

  18. Kruger, C., Y. Hu, Q. Pan, H. Marcotte, A. Hultberg, D. Delwar, P. J. van Dalen, P. H. Pouwels, R. J. Leer, C. G. Kelly, C. van Dollenweerd, J. K. Ma, and L. Hammarstrom (2002) In situ delivery of passive immunity by lactobacilli producing single-chain antibodies. Nat. Biotechnol. 20: 702-706. 

  19. Drouault, S., C. Juste, P. Marteau, P. Renault, and G. Corthier (2002) Oral treatment with Lactococcus lactis expressing Staphylococcus hyicus lipase enhances lipid digestion in pigs with induced pancreatic insufficiency. Appl. Environ. Microbiol. 68: 3166-3168. 

  20. Lee, Y. K. (2009) Probiotic microorganisms. pp. 3-176. In: Y. K. Lee and S. Salminen (eds.). Handbook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John Wiley & Son, Inc., New Jersey, USA. 

  21. Huys, G., M. Vancanneyt, K. D'Haene, V. Vankerckhoven, H. Goossens, and J. Swings (2006) Accuracy of species identity of commercial bacterial cultures intended for probiotic or nutritional use. Res. Microbiol. 157: 803-810. 

  22. Hamilton-Miller, J. M. and S. Shah (2002) Deficiencies in microbiological quality and labelling of probiotic supplements. Int. J. Food Microbiol. 72: 175-176. 

  23. The European Union, Regulations (EC) No 1924/2006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0 December 2006 on nutrition and health claims made on foods. http://eur-lex.europa.eu/LexUriServ/LexUriServ.do?uriCELEX:32006R1924R(01):EN:NOT.(2010). 

  24.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2009)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non-characterised microorganisms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0 1924/ 2006. EFSA Journal 7: 1247. 

  25.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2010)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Bifidobacterium animalis Lafti B94 (CBS118.529) and decreasing potentially pathogen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D 867)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EFSA Journal 7: 1232. 

  26.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2009)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DSM 9843) and decreasing potentially pathogen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D 1084)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EFSA Journal 7: 1242. 

  27.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2010)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DSM 9843) and "immune system" (ID 1081),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EFSA Journal 8: 14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