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3 no.3, 2010년, pp.581 - 596  

김정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과학센터) ,  서준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과학센터) ,  구교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 및 정보격차 현황의 파악 분석과 정보통신기기 수요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제시와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및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정보격차 실태 및 현황 파악을 위해서,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 사용능력(역량), 활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10*). 본 연구의 수요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전체 응답자 중 약 28% 정도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수의 응답자들이 보조기기의 사용이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답하였다(67%). 정부나 관련기관으로부터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 중 36%로 나타났으며, 기기의 성능 측면에서도 대체로 만족스러웠다는 의견이 전체의 응답의 약 46%로 나타났다. 한편 기능조작 및 사용법 측면에서는 쉽고 편리다고 응답한 경우가 사용 경험자 전체의 36%에 불과했는데,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는 보조기기 조작의 어려움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밖에 정보통신 보조기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은 기기 성능의 안정화, 크기의 소형화, 버튼의 간소화, 무게의 경량화 등이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이용 실태 및 수요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정보화기기 이용 시 보조기기가 필요한 장애인을 위한 보급정책 수립과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됨으로써 정책 실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by surveying the deman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Bnyon, D., Crerar, A., and Wilkinson, S. (2001).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clusive Design. In C. Stephanidis(Ed.), User Interfaces for All: Concepts, Methods, and Too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2. Choi, H., Koo, S., and Lee, J. (2003). Study on index of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7(3), 150-177. 

  3. Hong, K. (2006). The situation of digital education &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KALI 2006. 1, 36. 

  4. Hwang, J. and Lee, M. (2004). Legislation reorganization for indiscriminate digital accessibility, KISDI Issue Report, 2004-12-6. 

  5. Hwang, J. and You, J. (2004).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policies for bridging digital divide corresponding to the 2nd Generation Internet. Korea Informations Strategy Development Institute, KISDI ISSUE REPORT, 1-60. 

  6. Ko, J. (2006). 2006: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KADO ISSUE REPORT, 3(13). 1-42. 

  7.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4). 2004: The trend of bridging digital divide. KADO. 

  8.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2006: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KADO. 

  9.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Industrial Trend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Electronic & Information Access and Communi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ADO. 

  10.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4). 2004: Monthly Issues Report. KADO. 

  11.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7). The survey of the deman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KADO. 

  12.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7). 2007: The survey of the beneficiaries's satisfaction of bridging digital divide environment construction project. KADO. 

  13.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7). The survey for forecasting of the deman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KADO. 

  14.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06). Survey study on informat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2006. KISA. 

  15. Lee, J. and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2006: The collection of analysis on the main results of digital divide index, field survey. KADO. 1-37. 

  16. Office of Research Affairs IACF, Yonsei University and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5). A Study on the A Legal Measure for Effective Promotion of Digital Devide Bridging, 1-198. 

  17. Selwyn, N. (2002). Defining the 'Digital Divide': Developing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equalities in the Information Age. Cardiff University School of Social Science, Occasional Paper 49. 1-22. 

  18. Seo, L. (2002). The digital divide being structured and causing social problem.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ociety, 2. 68-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