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이 중학생의 광합성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Using Analo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the Photosynthesis Concep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2, 2010년, pp.304 - 322  

변춘수 (면목중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합성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을 개발 적용하고, 이 수업이 개념 이해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과 아울러 학습에서 비유가 갖는 역할을 정성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시내 소재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선정한 후, 비유 활용 수업 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과학 개념 이해 검사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의 경우 소집단 토의와 반 구조화된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광합성 개념 이해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 밝혀낸 학습에서의 비유의 역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첫째, 비유는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목표 개념의 구조적 속성에 집중하게 하고, 지식의 정교화를 도움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는 역할을 했다. 둘째, 비유 만들기 활동은 소집단 활동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서 작용하였다. 비 유로 인해 소집단 토의가 촉발되고 활성화되었을 뿐 아니라, 이것이 광합성 개념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비유는 자신의 이해 정도를 점검하게 도움으로써 학생의 메타 인지적 능력을 발달시켜 주는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비유는 학생들의 오개념을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교사가 이에 주목하면 오개념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비유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비유는 학생들이 과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자신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등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using analog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the photosynthesis concep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th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eoul (N=132).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이 개념 이해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과 아울러 학습에서 비유가 갖는 역할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소집단 토의와 반 구조화된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 한 결과는? 과학 개념 이해 검사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의 경우 소집단 토의와 반 구조화된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광합성 개념 이해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 밝혀낸 학습에서의 비유의 역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첫째, 비유는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목표 개념의 구조적 속성에 집중하게 하고, 지식의 정교화를 도움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는 역할을 했다. 둘째, 비유 만들기 활동은 소집단 활동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서 작용하였다. 비 유로 인해 소집단 토의가 촉발되고 활성화되었을 뿐 아니라, 이것이 광합성 개념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비유는 자신의 이해 정도를 점검하게 도움으로써 학생의 메타 인지적 능력을 발달시켜 주는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비유는 학생들의 오개념을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교사가 이에 주목하면 오개념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비유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비유는 학생들이 과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자신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등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많은 과학 개념 영역에서 비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많은 과학 개념 영역에서 비유가 개념 학습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으나, 대부분 교사가 일방적으로 비유를 제시하고 설명하는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최은규, 2004; Calik & Ayas, 2005; Tsai, 1999). 학습은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활동이 요구되는 과정이고 학습자 스스로의 노력 없이는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Richard & Mashiho, 2006), 학생들이 비유 사용의 주체가 되어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 맥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생물학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거나 오개념을 많이 갖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 생물학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거나 오개념을 많이 갖고 있는 분야는 자연 선택, 확산, 유전, 물질대사 등과 같이 직접 눈으로 관찰하거나 경험하기 어려운 추상적 속성을 지닌다(이원경, 김희백, 2007; 정영란, 강경리, 1998; Chi, 2000). 특히, 광합성 개념은 생물의 기본 현상인 물질 대사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정영란, 강경리, 1998), 관찰을 통해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이다(조희형,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4).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87-297. 

  2. 김동렬 (2008).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23-437. 

  3. 김수미, 정영란 (1997).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 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61-271. 

  4. 김희백, 김성하, 이선경, 김형련 (2001). 비유가 수업에 대한 흥미와 세포소기관의 기능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4), 346-353. 

  5. 김희정, 조연순 (2001). 초등학생의 광합성 개념학습에서 TWA 비유 수업모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444-458. 

  6. 류수경 (2005). 과학 교수.학습에서 사용되는 비유 분석과 비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7.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 (1992). 생물의 에너지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33-145. 

  8. 변순화, 김경순, 최숙영, 노태희, 차정호 (2007). 화학 개념 학습에서 물리적 비유를 사용한 학생 중심 비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31-638. 

  9. 이원경, 김희백 (2007). 실험 결과 해석 과정에서 사용한 체계적 비유가 고등학생들의 효소 개념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63-675. 

  10. 정영란, 강경리 (1998). 광합성의 기본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및 오개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1), 1-7. 

  11. 조희형 (1994). 잘못 알기 쉬운 과학개념. 서울: 전파과학사. 

  12. 최경희 (2004). 제 6차.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149-158. 

  13. 최은규 (2004).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유형 분석과 비유 만들기 수업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4. Aubusson, P. J., & Fogwill, S. (2006). Roleplay as analogical modelling in science. In P. J. Aubusson, A. G. Harrison, & S. M. Ritchie(Eds.), Metaphor and analogy in science education, (pp. 91-102) Dordrecht: Springer. 

  15. Baker, W. P., & Lawson, A. E. (1995). Effect of analogic instruction and reason level on achievement in general genetic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0 713. 

  16. Boujaoude, S., & Tamin, R. (2000). Analogies generated by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types and usefulness. School Science Review, 82(299), 57-63. 

  17. Brown A. L., & Campione, J. C. (1994). Guided discovery in a community of learners. In K. McGilly (Ed.), Classroom lessons: Integrating cognitive theory and classroom practice (pp 229-270). Cambridge, MA: MIT press/Bradford Books. 

  18. Calik, M., & Ayas, A. (2005). An analogy activity for incorporating students' conceptions of types of solution.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6(2), 1-3. 

  19. Chi, M. T. H. (1992). Conceptual change within and across ontological categories: Example from learning and discovery in science. In R. Giere (Ed.), Cognitive models of science: Minnesota studies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pp. 129-160). Minneapolis, MN:Univversity of Minnesota Press. 

  20. Chi, M. T. H. (2000). Cognitive understanding levels. In A. E, Kazdin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Vol. 2, pp. 141-151). APA and Oxford University Press. 

  21. Duit, R. (1991). On the role of analogies and metaphors in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75(6), 649-672. 

  22. Duit, R., Komorek, M., Wilbers, J., & Roth, W. (1997). Conceptual change during a unit on chaos theory induced by means of analog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Dunbar, K., & Blanchette, I. (2001). The in vivo/in vitro approach to cognition: The case of analogy, Trends in Cognitive Science, 5, 334-339. 

  24.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Hawthorn: The Austr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5. Glynn, S. M. (1989). The teaching with analogies model: Explaining concepts in expository texts. In K. D. Muth (Ed.), Children' s comprehension of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Research into practice (pp. 185-204). Neward,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6. Glynn, S. M. (1991). Explanning science concepts: A teaching-with-analogies model. In S. Glynn, R. Yeany, & B.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pp. 219-240).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Hand, B., Lawrence, C., & Yore, L. D. (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enhanc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1021-1035. 

  28. Hesse, M. (1996). Models and analogies in science. Notre Dame, IN: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9.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30. Hofstader, D. (2003). Analogy as the central motor of discovery in physics. Paper presented at a Physics Department Colloquium, Ohio State University. 

  31. Leatherdale, W. H. (1974). The Role of analogy, model and metaphor in science. Amsterdam: North-Holland. 

  32. Lemke, J. L. (2001). Articulating Communities: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3), 296-316. 

  33. Mason, L. (1994). Analogy, metaconceptual awareness and conceptual change: A classroom study. Educational Studies, 20, 267-292. 

  34. Mason, L. (1995). Collaborative reasoning on self-generated analogies: Conceptual growth in understanding scientific phenomen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2 643) 

  35. May, D. B., Hammer, D., & Roy, P. (2006). Children's analogical reasoning in a third grade science discussion. Science Education, 90(2), 316-330. 

  36. Mayo, J. A. (2001). Using analogies to teach conceptual applications of developmental theories.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4, 187-213. 

  37. Orgill, M., & Bodner, G. (2004).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using analogies to teach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5(1), 15-32. 

  38. Pittman, K. M. (1999). Student-generated analogies: Another way of know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 1-22. 

  39. Richard, C., & Mashiho, Y. (2006). Acquisition of Procedures: The Effects of Example Elaborations and Active Learning Exercises. Learning and Instruction, 16(2), 139-153. 

  40. Roth, K. J. (1990). Developing meaningful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cience. In B. F. Jones & L. Idol (Eds.), Dimensions of thinking and cognitive instruction, (pp. 139-176). Hillsdale, NJ: Erlbaum. 

  41. Thiele, R. B., & Treagust, D. F. (1991). Using analogies in secondary chemical teaching.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37(2), 4-14. 

  42. Tronson, D., & Ross, P. (2004). Modell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ith our teaching teams in first-year university.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in Chemistry, 63, 11-15. 

  43. Tsai, C. C. (1999). Overcom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microscopic views of phase change: A study of an analogy activity. Journal of Science Eduction and Technology, 8(1), 83-91. 

  44. Venville, G. J., & Treagust, D. F. (1996). The Role of analogies in promoting conceptual change in biology. Instructional Science, 24(4), 295-320. 

  45. Venville, G. J., & Treagust, D. F. (1998). Exploring conceptual change in genetics using a multidimensional interpretive framewor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9), 1031-1055. 

  46. Vosniadou, S. (1994).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4, 45-69. 

  47. Weller, C. M. (1970). The role of analogy in teaching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0), 986-1024. 

  48. White, R., & Gunstone, R. (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The Falmer Press. 

  49. Wong, E. D. (1993). Self-generated analogies as a tool for constructing and evaluating explanations of scientific phenomen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67-380. 

  50. Zook, K. B., & Maier, J. M. (1994). Systematic analysis of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nalogical misconcep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4), 589-6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