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 . 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3, 2007년, pp.235 - 241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김석민 (한국교원대학교) ,  조현준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사용하여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실험수업의 유형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의 타당도는 4.23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100차시, 중등학교에서 30차시의 실험수업이 분석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분석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0.91이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발견실험수업과 확인실험수업이 주요 수업 유형임이, 중등학교에서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주요 수업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대부분 실험절차가 교사나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주어지고 있었다. 실험의 접근방식은 초등에서는 귀납적인 형태가 많았고, 중등에서는 연역적인 형태가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laboratory instruction types with Classification Scheme of Laboratory Instruction (CSLI)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For the purpose,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CSLI was 4.23 and laboratory instructions were collected in 100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이용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실험수업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학교급에서 나타나는 주요 유형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실험수업에 대한 다층적 접근을 통해 현재 초 . 중등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다만,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한 가지 관점 (Gott & Duggan, 1995; Simpson & Anderson, 1981) 이 아닌 보다 다층적 관점이 반영된 분류틀을 사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초 . 중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과학 실험 수업을 분류하여 봄으로써 어떠한 유형의 실험 수업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영신, 정완호 (2001). 과학적 사고력 발달에 영향 을 미치는 변인의 규명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90-608 

  2. 김주훈, 이미경 (2003). 과학과 교육목표 및 내용체 계연구(I).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4, 28-43 

  3.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선 (1999).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 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4. 김희백, 김도욱 (1996)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실 환 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및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0-216 

  5.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1).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58-565 

  6.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석민 (2006a) 실험수업 유 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42-355 

  7. 양일호, 조현준, 정진우, 허명, 김영선 (2006b) 학교 과학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댈파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177-190 

  8.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성 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9. 이혜원, 양일호, 조현준 (2005). 초.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초등과학교육, 24(3), 297-304 

  10. Berg, C. A. R, Bergendahl, V. C. B., Lundberg, B. K. S., & Tibell, L. A. E. (2003). Benefiting from and open-ended experiment? A comparison of attitudes to, and outcomes of, an expository versus an open-inquiry version of the same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3), 351-372 

  11. Bybee, R, & DeBoer, G. (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57-387). New York: 1vfacMillan 

  12. Byee, R. (2000). Teaching science as inquiry. In J. Minstrel & E. H. Van Zee (Eds.). Inquiring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 (pp. 20-46). Washin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3. Chang, C-Y, & Weng, Y-H.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n earth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441-451 

  14. Dana, L. (2001). The effects of the level of inquiry of situated secondary science labcratory activiti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the nature of science, ability to use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toward problem solv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15. Domin, D. S. (1999). A review of labcratory instruction styl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 543-547 

  16. Gott, R., & Duggan, S. (1995). Investigative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Buckingham: Open University 

  17.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 (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18.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enquiry. School Review, 79(2), 171- 212 

  19. Hodson, D.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The School Science Review, 70(256), 65-78 

  20. Hodson, D. (1996).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Exploring some directions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55-760 

  21. Hofstein, A. (2004). The laboratory in chemistry education: Thirty years of experience with developments, implementation, and research. Chemistry Education, 5(3), 247-264 

  22.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2), 201-217 

  23.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24. Kampourakis, C, & Tsaparlis, G. (2003). A study of the effect of a practical activity on problem solving in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4(3), 319-333 

  25. Kapenda, H. M, Kandjeo-marenga, H. U, Kasanda, C. D., & Lubben. F. (2002).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work in science classrooms in Namibia.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1), 53-65 

  26.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7. Lazarowitz, R., & Tamir, R.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94-128). New York: Mac.Millan 

  28. Lock, R. (1988). A history of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and its assessment 1860-1986. School Science Review, 70(250), 115-119 

  29. Millar, R., Le Marechal, J. F, & Bury, C. (1998). A map of the variety of labwork. Working paper 1. European Project: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Contract No. ERB -SOE2-CT-95-2001). The European Commission 

  30. Millar, R., Le Marechal, J. F, & Tiberghien, A (1999). Mapping the domain- Varieties of practical work. In J. Leach & A C. Paulsen (Eds.),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recent research studies. (pp. 33-59) Roskilde University Pres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1. Nott, M (1997). Keeping scientists in their place. School Science Review, 78(285), 49-60 

  32. Psillos, D., Niedderer, H, & Vicentini, M (1999). Case studies on innovative types of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In M Bandiera, S. Caravita, E. Torracca & M Vincentini (Ed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Europe. (pp. 201-20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3. Qualter, A, Strang, J., Swatton, P., & Talyor, R. (1990). Exploration. A way of learning science. Oxford: Blackwell Education 

  34. Roberts, R. (2004). Using different types of practical within a problem solving model of science. The School Science Reivew, 85(312), 113-119 

  35. Simpson, P. D., & Anderson, N. D. (1981). What is scientific literacy? From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New York: Wileye 

  36. Staer, H, Goodrum, D., & Hackling, M (1998). High school laboratory work in western australia: Openness to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2), 219-228 

  37. Tobin, K (1986). Secondary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199-211 

  38. Wellington, J. J. (2000), Teaching and learning secondary science -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39. Welzel, M, Haller, K, Bandiera, M, Hammelev, D., Koumaras, P., Niedderer, H, Paulse, A. C, Becu-Robinault, K, & von Aufschnaiter, S. (1998). Teacher's objectives for labwork; research tool and cross country results. Working paper 6. European project: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Targeted Socio-Economic Research Programme Project PL 95-2002). The Eurpean Commission 

  40. White, R. T. (1996). The link between the laboratory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61-7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