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스트 패션을 위한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IQRS-FF)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for Fast Fashion(IQRS-FF)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16 no.3, 2010년, pp.163 - 179  

박현성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e-business 경영학과) ,  박광호 (한양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패션산업에서는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공급 리드타임이 크게 단축됨에 따라 최신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스트 패션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기업간 경쟁도 심화되면서 얼마나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것인가가 패션산업의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신속생산이 강조되는 패스트 패션 산업에서는 트랜드 변화에 신속 대응을 지원하는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 IQRS) 구축 및 지원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패스트 패션 산업 IQRS 구축에서 요구되는 신속대응 프로세스 수립, 지능적 판단을 지원하는 신속대응 기준 및 실행, 신속대응 물량 산정 및 시기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검증할 수 있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설계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제시된 각 모델은 A사의 ERP 구현사례를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the concept of fast fashion is drawing attention as customer needs are diversified and supply lead time is getting shorter in fashion industry. It is emphasized as one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fashion industry how quickly and efficiently to satisfy the customer needs as the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타 신속대응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IQRS 모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모델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특히 A사의 사례는 특정 회사에 국한된 것이므로 타 구현 사례 및 적용모델과는 상반된 결과가 날 수 있다.
  • 둘째, 프리시즌 단계의 신속대응 의사결정 영향요소를 고려하여 인시즌 상의 규칙과 연계된 의사결정 모델로 확장하고자 한다. 현재의 모델은 인시즌 상의 의사결정 영향요소를 중심으로 언급하고 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프리시즌과 연계한 모델로 확장하고자 한다.
  • 특히 A사의 사례는 특정 회사에 국한된 것이므로 타 구현 사례 및 적용모델과는 상반된 결과가 날 수 있다. 따라서, 타 모델과 대상 및 물량산정, 의사결정 시점의 효율성, KPI와 같은 구현성과를 비교하여 IQRS 모델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 즉 고객 니즈 변화에 따라 신속대응 품목을 즉각적으로 추가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신속대응 프로세스 모델과 사전 정의된 규칙에 의한 지능형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평가기준을 보다 상세화하여 신속대응 실행 후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의 정량화된 기준으로 확장 적용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 패션의 신속대응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항목인 신속대응 품목, 의사결정 시점 및 공급물량 산정을 규칙에 의해 지능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인 IQRS-FF(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for Fast Fashion)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성과 평가를 위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정의하여 의사결정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 패션을 위한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즉 패스트 패션에서의 신속대응을 위한 프로세스, 품목 및 물량 선정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A사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 패션의 신속대응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항목인 신속대응 품목, 의사결정 시점 및 공급물량 산정을 규칙에 의해 지능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인 IQRS-FF(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for Fast Fashion)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성과 평가를 위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정의하여 의사결정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셋째, 패스트 패션에서의 전체 생산물량 산정 방식과 매장 배분 시의 배분규칙에 대해서 연계하고자 한다. 신속대응과 연계하고 매장의 진열능력을 고려하여 패스트 패션에서 규칙에 근거한 신속대응 물량산정 방식에 대해서 확장하고, 입고 후 매장 배분할 때 어떻게 배분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 첫째,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 간의 관계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구조로 정리해야할 것이다.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별 확률 값과 효용함수를 추가하여 보다 정확하게 신속대응 품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자 한다. 즉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하여 최적화 모델을 구현하고, 신속대응 의사결정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어떤 조건일 때 가장 최적의 신속대응 대상과 물량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지능형 신속대응 의사결정 모델을 최적화하고자 한다.
  • 셋째, 패스트 패션에서의 전체 생산물량 산정 방식과 매장 배분 시의 배분규칙에 대해서 연계하고자 한다. 신속대응과 연계하고 매장의 진열능력을 고려하여 패스트 패션에서 규칙에 근거한 신속대응 물량산정 방식에 대해서 확장하고, 입고 후 매장 배분할 때 어떻게 배분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신속대응시스템 도입을 위한 주요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속대응시스템 도입 후 신속대응 의사결정항목을 중심으로 지능형 신속대응 모델과 프로세스를 정의하고자 한다. 즉 고객 니즈 변화에 따라 신속대응 품목을 즉각적으로 추가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신속대응 프로세스 모델과 사전 정의된 규칙에 의한 지능형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평가기준을 보다 상세화하여 신속대응 실행 후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의 정량화된 기준으로 확장 적용하고자 한다.
  •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별 확률 값과 효용함수를 추가하여 보다 정확하게 신속대응 품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자 한다. 즉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하여 최적화 모델을 구현하고, 신속대응 의사결정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어떤 조건일 때 가장 최적의 신속대응 대상과 물량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지능형 신속대응 의사결정 모델을 최적화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 간의 관계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구조로 정리해야할 것이다. 신속대응 의사결정 항목별 확률 값과 효용함수를 추가하여 보다 정확하게 신속대응 품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스트 패션은 무엇인가? 최근 패션 유통 업계에서는 급격한 고객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패스트 패션은 시즌단위의 상품기획 및 판매 업무에서 벗어나 고객과의 대면활동을 통해서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품목을 지속적으로 매장에 공급하는 프로세스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한다.
신속대응을 지능적으로 진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항목은 무엇인가? 신속대응을 지능적으로 진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항목은 신속대응 대상, 물량, 시점이다. 판매 중인 전체 품목을 신속대응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은 오히려 판매 이익보다는 과다 재고로 인해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리시즌에 수요 추세를 초기 생산 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리시즌에 수요 추세를 초기 생산 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인시즌에 발생하는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인시즌 동안의 변동요소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고은주, 강희정, "한국형 신속대응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입현황과 도입관련 요인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권 7호(1999), 1052-1063. 

  2. 신상무, "국내 패션산업의 Quick Response System 추진 현황과 문제점", 한국CALS/EC 학회지, 3권 1호(1998), 175-194. 

  3. 안정임, "데이타웨어하우스 기반의 통계자료 관리- 통계분석 및 질의처리 분야의 확장", 통계분석연구, 4권 2호, 1999, 161-186. 

  4. 유동근, 박승미, "신속대응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22권 2호(1997), 107-134. 

  5. 장애란, "소비자 니드를 위한 한국형 SPA의 Fast Fashion", 한국생활과학회지, 16권 5호(2007), 997-1006. 

  6. 정철용, 신상무, 김이정, "국내 섬유, 의류 산업의 신속대응(QR) 시스템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CALS/EC)학회지, 4권 2호(1999), 209-220. 

  7. 홍병숙, 최아란, "의류브랜드의 QRS(Quick Response System) 구축현황과 활용실태",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9), 45-62. 

  8. Adewole, A., "IDeveloping a strategic framework for efficient and effective optimization of information in the supply chains of the UK clothing manufacture industry", Supply chain management, Vol.10, No.5(2005), 357-366. 

  9. Al-Zubaidi, H. and Tyler, H., "IA simulation model of quick response replenishment of seasonal clothing", I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Vol. 32, No.6(2004), 320-327. 

  10. Bertolini, M., Bevilacqua, M., Bottani, E., and Rizzi. A., "IRequirements of an ERP enterprise modeler for optimally managing the fashion industry supply chain", Journal of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Vol. 17, No.3(2004), 180-190. 

  11. Birtwistle, G., Siddiqui, N., and Fiorito, S. S., "IQuick response : perceptions of UK fashion retai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Vol.31, No.2(2003), 118-128. 

  12. Chandra, C. and Kumar, S., "An application of a system analysis methodology to manage logistics in a textile supply chain", Supply chain management, Vol.5, No.5(2000), 234-245. 

  13. Choi, T. M. and Chow, P.S., "IMean-variance analysis of Quick Response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14, No.2(2008), 456-475. 

  14. Fernie, J., and Azuma, N., "IThe changing nature of Japanese fashion : Can quick response improve supply chain efficienc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38, No 7(2003), 790-808. 

  15. Harness, D. R., "IProduct elimination : A financial services mode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22, No.3(2004), 161-179. 

  16. Hayes, S. G., and Jones, N., "IFast Fashion : a financial snapshot",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0, No.3(2006), 282-300. 

  17. Jang, N., Dickerson, K. G., and Hawley, J. M., "IApparel product development : measures of apparel product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9, No.2(2005), 195-206. 

  18. Ko, E., Kincade, D., and Brown, J. R., "IImpact of business type upon the adoption of quick response technologies - The apparel industry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Vol.20, No.9(2000), 1093-1111. 

  19. Lehtonen, J., Holmstro, M. J., and Slotte, J., "IConstraints to quick response systems in the implosive industries", Supply chain management, Vol.4, No.1(1999), 51-57. 

  20. Park, G. and Harlock, S. C., "IThe Analysis of the Apparel Supply Chain Systems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Korean Apparel Organizations of the Overseas and Domestic Brand Products", Fibers and Polymers, Vol. 4, No.1(2003), 38-47. 

  21. Sen, A., "IThe US fashion industry : A supply chain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14, No.2(2008), 571-593. 

  22. Tsan-Ming, C. and Suresh, S., "IInnovative quick response programs :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