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 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with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3 no.4, 2010년, pp.60 - 69  

강승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가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 변인 중 어느 변인에서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는 공학계열 3학년에 재학중인 남학생 284명, 여학생 103명이 참여하였다. 학업성취도는 연구대상 학생의 전 학기 학점을 자기보고식으로 취합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학 자기효능감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대한 차이 검증결과 공학계열 여학생과 남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에서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결과 전공영역 효능감, 직무효능감, 팀활동 효능감, 창의성 효능감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는 학업성취도가 아닌 효능감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A total of 387 engineering students (male=284, female=103) completed the self-efficacy and engineering sel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에 나타나는 성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에 나타나는 성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과 특히 최근 개발된 공학 자기효능감 검사(이진령, 2009)를 활용하여 공학 계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일반적인 효능감에서 나타나는지, 혹은 공학이라는 특정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공학계열 여학생 및 더 나아가 이공계열 여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각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던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가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학 자기효능감의 변인을 중심으로 어디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공학계열 여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이론적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 즉, 공학계열 남녀 학생들이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던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남녀 차이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실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차이가 전공 영역과 관련된 능력에서의 차이인지, 혹은 심리적 요인인 정의적 측면에서의 차이인지를 알아보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신감은 무엇인가?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확신 또는 신념의 정도를 의미하고, 자기 조절 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자기조절, 자기 관찰, 자기 반응을 잘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효능 기대라 할 수 있다. 과제 난이도 선호는 어떤 수행 상황에 임해서 목표를 선택하고 설정할 때 어떤 수준의 난이도를 선호하는 가를 측정한다(차정은, 1997).
Bandura는 자기효능감을 초기 이론과 후기 이론에서 어떻게 보았는가? Bandura는 초기 이론(1977)에서 자기효능감을 개인 특성으로 보았지만, 후기 이론(1997)에서는 자기효능감을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자신감인 과제 특수적 신념으로 보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특정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영역 특정적인 효능감인 공학 자기효능감을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공학 계열 대학생의 성차가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 변인 중 어느 변인에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학업성취도는 연구대상 학생의 전 학기 학점을 자기보고식으로 취합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학 자기효능감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대한 차이 검증결과 공학계열 여학생과 남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에서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결과 전공영역 효능감, 직무효능감, 팀활동 효능감, 창의성 효능감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는 학업성취도가 아닌 효능감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교육통계연보(2009). 교육통계연보. http://std.kedi.re.kr/index.jsp 

  2. 김지현(2007) 국내 여성 화학공학 인력의 활용방안. NICE, 25(2): 114-119. 

  3. 김지현(2008). 국내 공과대학 여학생 현황. 공학교육, 15 (3): 16-20. 

  4. 김지현, 오명숙, 정윤경(2007). 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한 여성 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재단 연구보고서. 

  5. 도승이(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6. 도승이, 오명숙(2008). 여학생 공학교육이란 무엇인가? 공학교육, 15(3): 21-28. 

  7. 민무숙(2003). 여성 공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의 과제. 공학교육과 기술, 10(1): 98-102. 

  8. 박지은, 김지현, 정윤경, 오명숙(2009). 해외 여성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9-95. 

  9. 오명숙(2007). 여학생 공학교육의 장벽 및 프로그램 개발. NICE, 25(3): 250-255. 

  10. 윤대희, 한경희(2003). 공학분야 여학생 교육의 현황과 과제, 공학교육, 10(4): 77-82. 

  11. 이진령(2009). 공학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윤경, 오명숙, 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13. 차정은(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Aleman, C.(1998). Women and men of the engineering path: A model for analysis of undergraduate careers. U. S. Department of Education ad the National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15.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16.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7.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18.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9. Bebbington, D.(2002).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 review of the issues. Higher Education Quarterly, 56: 360-375. 

  20. Belenky, M. F., Clinchy, B. M., Goldberger, N. R., & Tarule, J. E.(1986). Women's way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New York: Basic Books Inc. 

  21. Bennett, D., Burnner, C., & Honey, M.(1999). Gender and technology: Designing for d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Center, New York. 

  22. Cozzens, S. E.(2008). Gender issues in U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Equality of what? Science Engineering Ethics, 14: 345-356. 

  23. Glover, J.(2000). Women and scientific employment, Macmillan, New York. 

  24. Goodman Research Group(2002). Final report of the women's experiences in college engineering (WECE) project. Goodman Research Group, Cambridge, MA. 

  25. Hackett, G., & Bets. N. E.(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18: 326-339. 

  26. Hartman, H., Hartman, M.(2009). Do gender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orientations persist when major is controlled? International Journal of Gender, Science and Technology, 1(1): 61-82. 

  27. Hutchinson, M., Follman, D. K., Sumpter, M., & Bodner, G. M.(2006). Factors influencing the self-efficacy beliefs of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5 (1): 39-48. 

  28. Ihsen, S.(2005). Special gender studies for engineering?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0 (4): 487-494. 

  29. Jawitz, J., & Case, J.(2002). Guest editorial-women in engineering: Beyond the stats. International Journal Engineering Education, 18: 390-391. 

  30. Lent, R. W., et al.(2005). Social cognitive predictions of academic interests and goals in engineering: Utility for women and students at historically black universiti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84-92. 

  31. Lent, R. W., Singley D., Sheu, H., Schmidt, J., & Schmidt L.(2007). Relation of social-cognitive factors to academic satisfaction in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1): 87-97. 

  32. Lewis, S., Harris, R., & Cox, B.(2000). Engineering a better workplace: A diversity guide for the engineering profession, National Centre for Gender and Cultural Diversity,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Melbourne, Australia. 

  33. Lin, T., & Cheng Y.(2007). The influence of teaching with situated learning rational on 7th graders' learning in biology. Proceed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onference. New Orleans. 

  34. Lynch, I., & Nowosenetz, T.(2008). An exploratory study of students' constructions of gender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Gender and Education, 21(5): 567-581. 

  35. Maree, D. J. F. & Maree, M.(2007). Assessing the impact of gender training on engineering students. In Gender and engineering: Strategies and possibilities, I. Welpe,, & B. Reschka., & J. Larkin(eds.), 191-210.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36. McIlwee, J., & Robinson. G.(1992). Women in Engineering: Gender, Power and Workplace Cultu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 Mills, J., & Ayre, M.(2003). Implementing an inclusive curriculum for women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9(4): 203-210. 

  38. National Science Board.(2007). Moving forward to improve engineering education(NSB Publication No. 07-122). http://www.nsf.gove/nsb. 

  39. National Science Board.(2008).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8. http://www.nsf.gov/statistics/seind08/. 

  40. Pintrich, P. R., & Schunk, D. H.(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2nd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41. Rosser, S.(1995). Reaching the majority: Retaining women in the pipeline. In S. Rosser(ed.). Teaching the Majority: Breaking the gender barrier in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s.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1-21. 

  42. Schunk. D.H., & Hanson, A.R, & Cox, P.D.(1987). Peer-model attributes and children's achievement behavio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1): 54-61. 

  43. Sen, A.(1992). Inequality reexamin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4. Shackleton, L., & Riordan. S., & Simonis, D.(2006). Gender and the transformation agenda in South African higher education.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9: 572-580. 

  45. Swanson, J. L., & Gore, P. A. Jr.(2000). Advances in vacational psychology theory and research. In S. D. Brown & R. W. Lent(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3rd. ed. pp. 223-269). New York: Wiley. 

  46. Wigfield, A.(1994).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6: 49-78. 

  47. Wigfield, A., & Eccles, J. S.(1992).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2: 265-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