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95 - 407  

주현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전호선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경 (김해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와 P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440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스트레스 순이었으며, 두 변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34% 였다. 둘째, 자기통제력에 자기효능감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 모두 자기통제력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4시간미만 사용집단과 4시간이상 사용집단 간의 조절효과에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와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모색이 중요하며, 특히 개인별 상황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맞춤식 교육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of the effects of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0 University students in G and P city. Results, Firs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smartphone addictio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주어 스마트폰 중독으로 진행되어지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모형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통해 검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중학생 스마트 폰 중독에 관한 연구[27-28]에서 4시간 이상인 집단과 4시간 미만인 집단에서 차이가 있어, 시간에 따른 집단 간 중독의 경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루 사용시간을 4시간 기준으로 나눴다.
  • 또한 중학생 스마트 폰 중독에 관한 연구[27-28]에서 4시간 이상인 집단과 4시간 미만인 집단에서 차이가 있어, 시간에 따른 집단 간 중독의 경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루 사용시간을 4시간 기준으로 나눴다. 사용시간에 따른 집단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완화시키는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 집단과 4시간 미만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 집단과 4시간 미만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 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통해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G시와 P시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자이다. 구조모형 연구의 표본크기는 측정 변수 당 15명 권장과 최대우도법을 사용하기 위해 200명 이상, G-Power program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
  • 이 현상은 전 세계가 직면 하고 있는 문제이며 그 발생률은 점점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G시와 P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두가지를 외생 변수로, 자기통제력을 내생변수로 정하여 이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구조모형분석 연구로서 설문조사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자기통제력이 가장 큰 요인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다음이 스트레스였고 이 두가지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34%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연구대상은 G시와 P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440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스트레스 순이었으며, 두 변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34% 였다. 둘째, 자기통제력에 자기효능감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 모두 자기통제력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 중독이라 함은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으며 대인관계의 어려움, 사회적 고립, 충동 조절의 어려움, 수면장애, 우울감, 낮은 학업 성취, 스트레스 유발 등의 여러 증세들이 나타나며 손에 스마트폰이 없으면 금단 증상까지 생길 정도로 스마트폰 사용에 집착하는 일종의 행동중독으로 이해할 수 있다[2]. 스마트폰 중독은 이처럼 심각할 뿐만 아니라 높은 발생율과 빠른 성장세 때문에 이미 전 세계적인 쟁점으로 떠오른지 오래이다[3].
스트레스로부터 받는 영향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하여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스트레스로부터 받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스트레스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특히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오래 지속되면 불안이나 우울감과 같은 병적인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14]. 대학생의 심리적 스트레스는 위험한 수준이며 학업 부담, 학비 마련, 불투명한 취업전망, 취업 준비과정, 사회가치관 수용문제, 불확실한 미래 등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고 하였고[15],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고민 및 심리적 갈등을 회피하고 어려움을 잊기 위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스마트폰에 몰입하거나 빠져들 수 있다고 하였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Gokcearslan, C. Uluyol & S. Sahin. (2018). Smartphone addiction, cyberloaf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university students: A path 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91, 47-54. DOI : 10.1016/j.childyouth.2018.05.036 

  2. L. Lian, X. You, J. Huang & R. Yang. (2016). Who overuses smartphones Roles of virtues and parenting style i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5, 92-99. 

  3. S. Jun. (2016). The reciprocal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mobile phone addi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olesc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8, 179-186. 

  4. Y. C. Jung. (2019). 'Homo Smartphonicus', Generational Evolution Rate. KISDI STAT Report 19-14. 1-10. http://www.kisdi.re.kr/kisdi/fp/kr/publication/selectR esearch.do?cmdfpSelectResearch&sMenuType2&cur Page1&searchKeyTITLE&searchValue&sSDate&sEDate&controlNo14594&langdiv1 

  5. S. K. Kim. (2019). Infants and Children Smart Phone Over-Risk Dependent Groups soar. CBS No Cut News, https://www.nocutnews.co.kr/news/5103498 

  6. C. Yildirim, E. Sumuer, M. Adnan & S. Yildirim. (2016). A growing fear: Prevalence of nomophobia among Turkish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Development, 32(5), 1322-1331. http://dx.doi.org/10.1177/0266666915599025 

  7. Z. Jiang & X. Zhao. (2016). Self-control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in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mobile phone use patterns. BMC Psychiatry, 16(1), 2-8. DOI : 10.1186/s12888-016-1131-z. 

  8. H. Khang, H. J, Woo & J. K. Kim. (2012). Self as an antecedent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 10(1), 65-84. 

  9. H. Khang, J. K. Kim & Y. Kim. (2013). Self-traits and motivations as antecedents of digital media flow and addiction: The Internet, mobile phones, and video gam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2416-2424. 

  10. M. G. Jo & S. G. RYU. (2017). A Study on causalities among multidimensional Factors of the perceived self-control and the perceived internet game addiction. Korea Society & Communication Studies, 61(1), 111-143. 

  11.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W. H. Freeman and Company. 

  12. S. Gokcearslan, F. K.Mumcu, T. Haslaman & Y. D. Cevik. (2016). Modelling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self-regul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cyberloafing in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3, 639-649. 

  13. S. I. Chiu.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aiwanese university student: A mediation model of learning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4, 49-57. 

  14. H. S. Lee. (2017). Influe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cntents association, 17(5), 326-33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326 

  15. C. Regehr, D. Glancy & A. Pitts. (2013). Interventions to reduce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A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48(1), 1-11. 

  16. E. J. Cha & S. H. Lee. (2015). Effects of depression,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on aging anxiety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05-2717. 

  17. M. Y. Sim, D. N. Lee & E. H. Kim. (2016).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227-236. 

  18. G. C. Jeong & M. G. Cho. (2017).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 smartphone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8), 175-185. 

  19. S. S. Aljomaa, M. F. A. Qudah, I. S. Albursan, S. F. Bakhiet, & A. S. Abduljabbar. (2016).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light of some variabl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155-164. 

  20. A. J. A. M. Van. Deursen, C. L. Bolle, S. M. Hegner & P. A. M. Kommers. (2015).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5, 411-420. 

  21. S. J. Ju. (2015).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42, 98-127. 

  22. S. Maya & S. Nazir. (2016). Hawi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23. J. OH. (2015).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4), 998-1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 

  24. A. H. Atas & B. Celik. (2019). Smartphone use of university students: Patterns, purposes, and situations. Malaysian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7(2), 59-70. 

  25. S. Thomee, A. Harenstam & M. Hagberg. (2011)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1, 185-195. 

  26. A. Roberts, L. P. YaYa & C. Manolis. (2014). The invisible addiction: Mobile-phone activities and addiction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 Behav Addict, 3, 1-12. 

  27. J. Y. Kim. (2018).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Variables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28. J. Y. Song. (2016). Effects of Depression and Impulsive Behavior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from peer suppo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9. K. K. Chon, K. H. Kim & J. S. Yi.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30. S. J. Kang. (2014).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pattern, the stress, self-control and family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31. A. Y. Kim. (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 - tolerance and its correlates. Ki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1(2), 1-19. 

  32. H. Y. Park. (2004). Perceived Maternal Discipline style and Self-control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3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The Follow Up Study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34. S. H. Lee & J. G. Bae. (2018).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3(3), 293-302. 

  35. R. Sinha & A. M. Jastreboff. (2013). Stress as a common risk factor for obesity and addiction. Biological Psychiatry, 73(9), 827-835. 

  36. S. H. Kim & Y. N. Choi. (2017).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healthcare related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1), 27-37. 

  37. Q. Q. Liu, D. J. Zhang, X. J. Yang, C. Y. Zhang, C. Y. Fan & Z. K. Zhou. (2018). Perceived stress and mobile phone addiction in Chinese adolesc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7, 247-253. 

  38. N. R. Kim. (2019). The Effect of Stress Relief and InterpersonalCompetence of Participants in a College Street Dance Club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39. M. H. Ryu. (2014).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Leisure-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6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